An Analysis of the Concentration Ratios and the Shift Effect of Korean Container Ports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와 변이효과 분석

  • 김은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연구본부) ;
  • 이수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항만연구본부)
  • Received : 2016.02.22
  • Accepted : 2016.03.22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ntration ratios (CR) and the shift effect in the system of Korean container ports that concern the export and import of container cargos, especially from/to 5 overseas origin/destination (O/D) regions, using the Hirshmann-Herfindahl Index (HHI) and the Shift-Share Method. The results shows that the CR has decreased during the last 20 years, from 0.86 to 0.44, mainly because cargos from/to the Far-East/South-East Asian regions have become more dispersed to several domestic container ports, especially from the Port of Busan. This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re has been little change in the CR for all cargos, like the value of -0.3%, in the last 5 years. However the change in CRs for the cargos from/to the North America and Europe is positive, with the value of 7.6% and 6.6%, respectively. It can be inferred that the future development of medium- and small-sized container ports in Korea is not very likely.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CR and the shift effect of the Korean container ports for the cargos by the domestic O/D regions should be analyzed in the future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in great detail.

우리나라 수출입 컨테이너물동량은 1995년 3,942천 TEU에서 2014년 14,601천 TEU로 증가했고, 부산항의 처리 비중은 92.4%에서 63.4%로 상당 수준 낮아졌다. 현재 우리나라 33개 무역항 중 11개 항만에서 컨테이너 전용부두가 운영되는 있으며, 2014년 항만별 컨테이너부두 시설 확보율은 심한 편차를 보이고 있다. 즉 부산항, 인천항은 각 83.3%, 48.0%로 시설 부족현상을 보이나, 광양항 196.7%, 울산항 188.8%, 군산항 583.3%, 마산항 1,666.7% 등 시설 과잉이 심각한 항만도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허쉬만-허핀달지수(HHI)와 변이할당법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와 차별적으로 5대 해외 기종점 권역별로 수출입 컨테이너화물의 항만 집중도와 변이효과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경쟁 구도 및 항만정책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는 지난 20년간 0.86에서 0.44로 완화되었으나 최근 5년간은 큰 변화가 없었다. 5대 수출입 해외 권역, 즉 극동아시아, 동남아시아, 일본, 북미 및 유럽 지역 컨테이너화물의 세부적인 항만 집중도 분석 결과, 2014년 극동아시아 0.290, 동남아시아 0.375로 가장 낮았고, 이는 전체 항만 집중도를 0.44로 낮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즉 아시아 수출입 물동량이 과거에 비해 국내 여러 항만에서 분산 처리되면서 우리나라 전체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를 낮추게 된 것이다. 또한 2010년 이후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는 거의 변함이 없고 북미 및 유럽항로에서는 오히려 집중도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에 정부는 컨테이너 부두시설의 효율적인 개발 및 운영 정책 수립을 위해 항만의 집중도 및 변이효과 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컨테이너 물동량 대비 하역능력에 충분한 여유가 있는 항만임에도 불구하고 양(+)의 변이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경우, 그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향후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의 내륙 기종점별 항만 집중도나 동북아시아 항만에 대한 환적화물의 집중도 등에 관한 후속적인 연구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근섭.곽규섭 (2008), "동북아지역 항만간 경쟁에서 부산 항의 포지셔닝 분석",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2권 제3호, 173-178. https://doi.org/10.5394/KINPR.2008.32.3.173
  2. 김성국 (2014), "대중국 무역에서 우리나라 항만의 집중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39권 제5호, 139-159.
  3. 박노경 (2001a), "우리나라 항만의 집중도에 관한 실증분석: Rimmer, Hoyle, Hirshmann-Herfindahl 모델 적용", 해운연구: 이론과 실천, 2001년 가을, 49-79.
  4. 박노경 (2001b), "한국항만도시의 입지, 인구성장과 화물집중도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7권 제2호, 61-87.
  5. 박노경 (2002),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이용한 국내항만의 화물집중도 연구", 무역학회지, 제27권 제3호, 285-304.
  6. 박노경 (2004), "엔트로피지수에 의한 국내항만의 화물집중도 측정",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0집 제1호, 139-159.
  7. 이정윤 (2012), "수출입 화물 특성과 무역관문의 위상에서 본 부상항의 변화, 1991-2010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8권 제1호, 55-70.
  8. 조삼현 (2006), "북중국 주요항만과의 서해안 항만간의 교역 컨테이너 유통경로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2권 제3호, 161-188.
  9. 추봉성.이지훈 (2009), "일본의 항만정책 변화와 슈퍼중추 항만프로젝트", 동아시아물류동향, 부산발전연구원, 102-109.
  10. 여기태.이태휘 (2013), "환황해권 컨테이너항만의 집중도 분석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28권 제2호, 55-71.
  11. 하태영 외 (2013), 컨테이너 하역시장 경쟁구도 정상화 방안, 기본연구 2013-07,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2. 해양수산부 (2015), 2015 항만편람, 해양수산부 (항만국).
  13. Ducruet, C. and T. Notteboom (2012), The worldwide maritime network of container shipping: Spatial structure and regional dynamics. Global Networks, Wiley-Blackwell.
  14. Haezendonck, E., A. Verbeke and C. Coeck (2006), "Strategic Positioning Analysis for Seaports," in Port Economics, Research in Transportation Economics, Vol.16, 141-169. https://doi.org/10.1016/S0739-8859(06)16007-2
  15. Hoyle, B. and J. Charlier (1995), "Inter-port Compet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n East African Case Study,"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3 No.2, 87-103. https://doi.org/10.1016/0966-6923(94)00007-C
  16. Lee, T. W., G. T. Yeo and V. V. Thai (2014), "Changing Concentration Ratios and Geographical Patterns of Bulks Ports: The Case of the Korean West Coast," The Asian Journal of Shipping and Logistics, Vol.30 No.2, pp. 155-173. https://doi.org/10.1016/j.ajsl.2014.09.002
  17. Notteboom, T. (2010), "Concentration and the Formation of Multi-port Gateway Regions in the European Container Port System: An Update,"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18, 567-583. https://doi.org/10.1016/j.jtrangeo.2010.03.003
  18. Notteboom, T. (1997), "Concentration and Load Centre Development in the European Container Port System,"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Vol. 5, No.2, 99-115. https://doi.org/10.1016/S0966-6923(96)00072-5
  19. Kuby, M. and N. Reid (1992), "Technological Change the Concentration of the U.S. General Cargo Port System: 1970-88," Economic Geography, Vol.68 No.3, 272-289. https://doi.org/10.2307/144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