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ntifying Research Issues for ICT-Enabled Bright Society Initiative: A Delphi Study of Korean Academics

Bright ICT 지향을 위한 경영정보학 연구 동향: 연구자 그룹을 통한 델파이 분석

  • Hyunjeong Kang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Hongik University)
  • Received : 2016.10.12
  • Accepted : 2016.12.31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arrival of the Smart Age has allowed the matur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which increasingly affects our societies and daily lives. Aligned with the contextual background, the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which comprised MIS professors, selected ICT-enabled Bright Society Initiative as a future agenda in December 2014. This study employs the Delphi method, which involves the three steps of brainstorming, clustering, and ranking, to deliver the main purposes of the research: finding the agenda items to examine the Bright ICT Initiative, ranking these items strategically, and discussing the subprograms. The research findings discover 11 major issues, and the importance of each issue is ranked by analyzing the survey. Furthermore, how the levels of the importance of each issue that affects individuals, corporations, and societies/nations differ according to age and gender is studied.

스마트 시대로 접어들면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성숙기에 이르고 우리의 삶과 사회에 ICT가 미치는 영향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영정보학(MIS) 교수들이 중심이 된 국제정보시스템학회(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AIS)에서 2014년 12월에는 "ICT-enabled Bright Society Initiative(약칭 Bright ICT)"를 미래 비전 아젠다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right ICT Initiative에서 수행할 연구 아젠다 아이템들을 찾아내어 전략적 우선순위를 정하고 세부 프로그램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brainstorming, clustering, ranking 의 단계를 거치는 델파이 스터디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11개의 주요 이슈를 발굴하였고 이어지는 설문조사를 통해 각 이슈들의 중요도 순위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각 이슈가 개인, 기업, 사회/국가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도에 있어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Bright ICT 연구를 제안하고 주도하시는 이재규 교수님과 연구의 기획과정에 참여하신 이정우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또한 델파이 연구에 참여하신 Bright ICT 연구회 회원 교수님들과 복수의 설문조사에 기꺼이 참여해 주신 KMIS 연구자 여러분께도 감사드립니다.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NRF-201502230002)과 홍익대학교 학술진흥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입니다.

References

  1. 강혜빈, 이성원, 서길수, "자기 준거 진단 인터페이스와 사회적 준거 진단 인터페이스가 정보 편식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 뉴스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7권, 제2호, 2015, pp. 219-238. 
  2. 권영옥, 김병도, "정보보안 사고와 사고방지 관련 투자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9권, 제1호, 2007, pp. 105-120. 
  3. 김용영, "온라인 게임에서 상호작용이 충만감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오프라인 의존성의 조절효과",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2권 제3호, 2010, pp. 117-139. 
  4. 민진영, 김병수,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적용한 SNS 지속 사용 의도에 대한 연구: 페이스북과 카카오톡 사례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5권, 제1호, 2013, pp. 105-122. 
  5. Brancheau, J. C., B. D. Janz, and J. C. Wetherbe, "Key issues in information systems management: 1994-95 SIM Delphi results", MIS Quarterly, Vol.20, No.2, 1996, pp. 225-242. 
  6. Hasson, F., S. Keeney, and H. McKenna, "Research guidelines for the Delphi survey techniqu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2, No.4, 2000, pp. 1008-1015. 
  7. Kappelman, L., E. McLean, J. Luftman, and V. Johnson, "Key issues of IT organizations and their leadership: The 2013 SIM IT trends study", MIS Quarterly Executive, Vol.12, No.4, 2013, pp. 227-240. 
  8. Kappelman, L., E. McLean, V. Johnson, and N. Gerhart, "The 2014 SIM IT key issues and trends study", MIS Quarterly Executive, Vol.13, No.4, 2014, pp. 237-263. 
  9. Linstone, H. A. and M. Turoff, The Delphi method: Techniques and applications, Addison-Wesley, Boston, MA, 1975. 
  10. Rivard, S. and L. Lapointe, "Information technology implementers' responses to user resistance: Nature and effects", MIS Quarterly, Vol.36, No.3, 2012, pp. 897-920. 
  11. Venkatesh, V., S. A. Brown, and H. Bala, "Bridging the qualitative-quantitative divide: Guidelines for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in information systems", MIS Quarterly, Vol.37, No.1, 2013, pp. 21-54. 
  12. Wu, S. P. J., D. W. Straub, and T. P. Liang, "How information technology governance mechanisms and strategic alignment influe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sights from a matched survey of business and IT managers", MIS Quarterly, Vol.39, No.2, 2015, pp. 497-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