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Managem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about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for High School Teachers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창의 공학 설계' 단원 수업에 대한 교수·학습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 Received : 2016.01.29
  • Accepted : 2016.03.12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research data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and the teaching learning capability of high school teachers by analyzing the teaching learning managem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lesson for high school teach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eaching learning management status, the survey questionnaires from 63 teachers were collected from high school teachers who teach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currently and analyzed by statistical program SPSS 2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contents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the highest mean of response was 'creative thinking method'(M=4.22). In the learning activities, th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idea concept' highly. Second, in the management of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th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secure of tool, material budget, and practice space for the lesson highly. In the teaching capabilities, the teacher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 preparing teaching learning strategy most($$M{\frac{._-}{.}}4.14$$). Third, the teachers preferred to product for making uncomfortable things better in life and the other production outside from the content of textbook. Fourth, in the ratio of practice:theory lesson, they perceived the ratio of 3:7(36.5%), 4:6(25.4%), and 2:8(23.8%) are appropriate. In the assessment, the combination of production, portfolio, and presentation was preferred most. Fif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interest and satisfaction and contents about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between groups divided by the existence of practice space, certification held(technology teacher, non technology teacher), etc.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about the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the secure of space for technology practice and material budget were required. In addition, training and seminars program for improving the teaching capability for 'creative engineering design' lesson were required.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기술 가정 교과'창의 공학 설계' 단원 수업에 대한 교수 학습 운영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를 통해 교수 학습 능력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현재 고등학교 기술 가정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 6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 e-mail 등을 통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 조사 도구는 문헌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 2인이 공동으로 개발하여 전문가 4인의 검토를 받아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하여 통계 프로그램(SPSS, Ver. 20)을 활용하여 분석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 가정과 교사들은 '창의 공학 설계' 수업 내용으로 '창의 사고 기법' 교육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주요 학습 활동 내용으로 '아이디어 구상'에 촛점을 두고 있었다. 둘째, 기술 가정과 교사들은 '창의 공학 설계' 수업 운영을 위해서 '실습 공구 및 재료비 확보' 및 '수업 공간 확보'를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단원의 특성에 맞는 '교수 학습 전략의 수립'이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기술 가정과 교사들이 기대하는 학생 작품 수준은 '교과서 이외의 아이디어 작품'과 '생활 속 불편함 개선을 위한 작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기술 가정과 교사들은 '창의 공학 설계' 단원의 수업 시 '실습 : 이론 수업 시간 비율'을 3:7(36.5%), 4:6(25.4%), 2:8(23.8%)이 적절하다고 하였으며, 평가 방안으로 '작품+포트폴리오+발표'의 형태를 가장 선호하고 있었다. 다섯째, '창의 공학 설계' 단원의 교수 학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인 실습실 여부, 교사의 성별, 표시 과목에 따라 교사의 흥미와 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창의 공학 설계' 단원의 수업에 대한 흥미와 만족도를 높이려면 학생들이 실습할 수 있는 공간과 재료비의 확보가 필요하고, 교사들은 창의 공학 설계 수업에 대한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연수와 세미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종표 (2011). 창의 공학 설계 기법에 의한 초등 예비교사의 실과 실천적 과제의 창의적 구상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3), 281-303.
  2. 곽문규(2004). 창의적 공학설계 교육 현황 및 발전 방안. 동국대학교 자료.
  3. 교육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4. 교육부(2015). 고등학교 교육과정(I, II, III).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4] 629-642.
  5. 김성일(2014). 예비 기술 교사들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 14(1), 91-110.
  6. 김지숙(2014). 기술학에서의 융합교육(STEAM) 실현. 한국실과교육학회 학술대회논문집, 69-88.
  7. 송동주(2010). 서언: 창의적, 체계적인 공학설계 교육의 필요성. 공학교육, 17(1), 17.
  8. 송윤섭, 유기완(2013). 창의공학설계. 복두출판사.
  9. 이건상, 김강(2012). 창의적 공학설계방법론 교육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5(4), 94-100.
  10. 이재민 (2015). 창의설계교육을 위한 교과과정 및 종합설계실 구축 방안.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6(1), 53-61.
  11. 이창래, 문석현(2015). 창의적 종합설계 경진대회 우수작. 공학교육, 22(2), 65-72.
  12. 이태식 외(2009). 공과대학 캡스톤 디자인(창의공학설계)교육과정 운영실태 및 학습 만족도 조사. 공학교육연구, 12(2), 36-50.
  13. 이창훈(2008). ADDIE 모형에 터한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 방안. 한국기술교육학회지, 8(1), 131-146.
  14. 임철일(2012). 공과대학 학생들의 창의성교육에 관한 인식. 공학교육연구, 15(2), 30-37.
  15. 임철일 외(2014). 국내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연구동향과 발전과제, 공학교육연구, 17(5), 33-40.
  16. 정은수 외(2008). 국내외 공과대학들의 교육목표 분석. 공학교육연구, 12(4), 4-53.
  17.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16). Retrieved Jan. 28, 2016 from http://www.abeek.or.kr.
  18.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9). Engineering K-12 Education: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