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ison of Environment Clauses under Korea-China FTA and Korea-U.S. FTA

한·중 FTA 및 한·미 FTA의 환경조항 비교

  • 박명섭 (성균관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
  • 김상만 (덕성여자대학교 국제통상학과) ;
  • 우정욱 (한국교통대학교 철도경영물류학과)
  • Received : 2016.01.30
  • Accepted : 2016.02.19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Korea-China FTA and Korea-U.S. FTA are the most significant FTA in volume and economic effect for Korea's perspective. Developed countries have dealt with environmental issues one of the main issues in FTA negotiation, while developing countries have been reluctant to it. Both Korea-China FTA and Korea-U.S. FTA have separate environment chapter respectively. A separate environment chapter was firstly introduced in Korea-U.S. for Korea's perspective. Both environment chapters provide high level of environment protection, recognition of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enforcement of environmental laws, and environmental cooperation. Both environment chapters require that each party make effort to improve environmental laws and measures. Korea-China FTA provides establishment a "Committee on Environment and Trade", and Korea-U.S. FTA provides establishment a "Environment Council" to oversee th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 clauses. Korea-China FTA and Korea-U.S. FTA have very similar provisions on environment and trade,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environment protection. However, a lot of provisions are somewhat declaratory rather than mandatory. Therefore, further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encouraged to achieve the goals and objectives of the environment clauses and FTA.

Keywords

References

  1. 강준하, "한국-EU FTA 환경분야에 관한 연구", 국제법평론 제31호, 국제법평론회, 2010.
  2. 강준하, "한국-미국 FTA 환경챕터에 관한 연구", 홍익법학 제11권제1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3. 김정곤.금혜윤, 주요국의 FTA환경협정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4. 관계부처 합동, 한.미 FTA 상세 설명 자료, 2012. 6.
  5. 박영도.안성경, 주요국가의 입법평가 관련제도(I), 한국법제연구원, 2007.
  6. 박명섭 외, "지구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유럽연합(EU) 신규 승용차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규칙"에 대한 고찰", 무역상무연구 제63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4.
  7. 산업통상자원부, 한.중 FTA 상세 설명 자료, 2015. 6.
  8. 손우식.박명섭, "탄소배출권 거래 분쟁과 중재를 통한 분쟁해결", 무역상무연구 제46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0.
  9. 송백훈, "녹색성장과 FTA", 한국경제연구 제28권 제1호, 한국경제연구학회, 2013.
  10. 오선영, "한국-중국 FTA 환경과 무역챕터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국제경제법연구 제13권 제3호, 국제경제법연구학회, 2015.
  11. 외교부, 기후변화 바로알기, 외교부, 2015.
  12. 윤성원, "FTA 환경협정에 따른 환경무역 동향 분석과 정책의 시사점: 한-EU FTA를 중심으로", EU연구 제37호,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2014.
  13. 윤성혜,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에서 환경규정", 법학논총 제20집 제2호,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14. 윤이숙, "한미자유무역협정의 환경규정과 정책적 함의", 환경정책 제17권 제3호, 환경정책학회, 2009.
  15. 이은정.박명섭, "탄소배출 감축제도하의 녹색기후기금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제58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3.
  16. 이재영.김문홍, "FTA체제하에서 환경규정의 제정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제15권 제2호, 국제지역연구센터, 2011.
  17. 정복영.오근엽, "한국 FTA 협정의 환경분야 특성 분석과 적용", 무역학회지 제40권 제4호, 한국무역학회, 2015.
  18. 조은래, "한.미 FTA 환경협정의 내용과 이해", 비교법학 제19집, 부산외국어대학교 비교법연구소, 2008.
  19. The Evaluation Partnership, "Evaluation of the Commission's Impact Assessment System", Final Report, 2007.
  20. United Nations, ADOPTION OF THE PARIS AGREEMENT, 2015.12.12., FCCC/Cp/2015/L.9/Rev.1,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