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Rules of Origin and Origin Implementation Procedure in KORCHINA FTA and Main Korea's Existing FTAs - Focused on KORUS·KOREU·KORASEAN FTA -

한·중 FTA와 기(旣)체결 주요 FTA의 원산지 규정과 절차 비교연구 - 미국·EU·ASEAN FTA 중심으로 -

  • 임목삼 (국제원산지정보원 FTA인재개발팀) ;
  • 임성철 (배화여자대학교 국제무역과)
  • Received : 2016.02.02
  • Accepted : 2016.02.19
  • Published : 2016.02.29

Abstract

The reviewing of an analysis of the Korea-China FTA due to guidance introduced for the new regulations or exceptional regulations compared to the KORUS, Korea-EU, Korea-ASEAN FTA. Commodity sectors in the Korea-China FTA and the KORUS, Korea-EU, Korea-ASEAN FTA(the majority in the country and trade criteria analysis result)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rules of origin and the customs clearance procedures of origin, preferential tariff rate of origin and the origin preferential specific rules are somewhat difference, but customs and trade facilitation regulations are already quite consistent with the Korea customs system. Relatively important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alculation of the regional value content in KORCHINA FTA is that I'm to use the deduction method can comprehensively reflect a regional value ratio, with respect to the materials acquired originating status as the FTA in the US and EU use the product non it's not to consider the value of the originating materials originating materials can be utilized for intermediate goods. Second, even if a non-treaty country in the middle with the exception of direct transport rules, and acknowledge the country of origin are under customs control, there are provisions for the period are temporarily stored in a non-treaty countries separately, that period goods imported into the non-treaty countries and up to three months from the day. If the situation of the occurrence of force majeure be greater than three months, but has so exceed six months. Third, the materials acquired originating status in the Korea-China FTA not to consider the value of non-originating materials used in its products as the KORUS FTA and Korea-EU FTA, that can be utilized originating materials for intermediate goods. It is expected that higher utilization of rules of origin. Meanwhile, Korea-China FTA has provisions to allow requests for preferential tariff applied on imports Customs declaration of intention to apply pre-condition for a preferential tariff applied to the importer. In other words, if the import customs tariff preference when applying post-intention not to advance is to be noted that any preferential treatment to prevent the later appli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권순국, "누적기준을 활용한 FTA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3권, 한국관세학회, 2012.
  2. 권순국.오현석, "우리나라의 기체결 FTA 원산지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27권 제4호, 한국국제상학회, 2012.
  3. 김한성 외 3인, 한국 FTA 원산지규정의 특성 및 활용전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8.
  4. 김제남, "한.중 FTA 쟁점과 재협상의 필요성", 국회의원 자료집, 2015. 6. 17.
  5. 노덕률, "한국 FTA 특혜관세 활용에 있어 스파게티보울 현상의 결정 요인", 관세학회지 제11권 제1호, 한국관세학회, 2010.
  6. 문준조 외 4명, 한.중 FTA 체결에 따른 분야별 법제도 연구, 한국법제연구원.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 12.
  7. 박철구.최장우, "FTA 원산지정보 유통문제에 관한 연구", 무역연구, 제8권 제4호, 한국무역연구원, 2012.
  8. 안병수 외 4명, "각국의 FTA 통관절차 및 원산지 규정 비교 연구", 한국관세학회, 2004. 12.
  9. 이기평.임목삼 외 9명, "한.중 FTA 분야별 법제이슈 분석.연구", 글로벌법제전략연구, 법제연구원, 2015. 10.
  10. 이영달, "한.중 FTA 원산지 규정 등에 관한 고찰", 관세와 무역 제47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2015. 4.
  11. 이영수.권순국, " FTA 원산지규정 위반 판정사례와 시사점", 무역상무연구 제49권, 한국무역상무학회, 2011.
  12. 임목삼, "중소기업의 원산지 관리 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38권 5호, 한국무역학회, 2013.
  13. 임목삼, "중소기업의 FTA 수출증대를 위한 무역보험제도 도입에 관한 연구", 무역보험연구 제14권 3호, 한국무역보험학회, 2013.
  14. 정인교 외 3명, 우리나라 FTA 원산지규정(ROO) 연구 및 실증분석, 한국경제연구원, 2005. 11.
  15. 정재호 외 2명, 무역원활화를 위한 중국의 FTA 통관 규정 연구, 조세연구원, 2012. 8.
  16. 최미수.임목삼, "한국의 FTA 효과와 추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제16호 제1호, 한국관세학회, 2015.
  17. 국제원산지정보원, FTA 무역 리포트, 2015. 4.
  18. 국제원산지정보원, FTA인재개발팀, 원산지관리사 원산지결정기준, 2015. 2.
  19. 산업통상자원부, 한.중 FTA 상세 설명자료, 2014. 11.
  20. 산업통상자원부, 한.중 FTA 활용방안 설명회 자료집, 2015. 4.
  21. 해양수산부, 한.중 FTA 협상결과 및 향후 대응 방향, 2015. 3.
  22. 중소기업청, 한.중 FTA 협정문 및 관세 양허표, 2015. 3.
  23. 한.중 FTA 협정문(http://okfta.kita.net, 2015. 7월 방문).
  24. 한.미 FTA 협정문(http://okfta.kita.net, 2015. 7월 방문).
  25. 한.EU FTA 협정문(http://okfta.kita.net, 2015. 7월 방문).
  26. 한.ASEAN FTA 협정문(http://okfta.kita.net, 2015. 7월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