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ification of moderation effect that job characteristic h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ity Guar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경호원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특성의 조절효과 검증

  • 김창호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 염대관 (경기대학교 경호보안학과)
  • Received : 2016.05.18
  • Accepted : 2016.06.20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extrinsic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losely examine a moderation effect that job characteristic variable has, focusing on workers in private security guard industry. In order to attain the above-mentioned objectives, a purpo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as sampling method. Data on 207 people were used for analysis. A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ultiple group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made by utilizing SPSS 21.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intrinsic satisfaction, sub-factor of intrinsic extrinsic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altruism. Second, it was shown that intrinsic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onscientiousness. Third, it was shown that intrinsic satisfac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participation. Fourth, it was shown that extrinsic satisfaction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altruism. Fifth, it was shown that extrinsic satisfaction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conscientiousness. Sixth, it was shown that extrinsic satisfaction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Seventh, it was shown that skill variety had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which intrinsic satisfaction had with altruism and participation. Eighth, it was shown that task identify had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which intrinsic satisfaction had with altruism and participation. Ninth, it was shown that task significance had a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which intrinsic satisfaction had with altruism, conscientiousness and participation.

본 연구는 민간경호경비산업의 경호원을 중심으로 내 외재적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특성 변인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표본 추출방식은 유의표집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0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2.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 외재적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내재만족은 이타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만족은 양심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재만족은 참여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재만족은 이타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외재만족은 양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외재만족은 참여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기술다양성은 내재만족과 이타행동, 참여행동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여덟째, 직무정체성은 내재만족과 이타행동, 참여행동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아홉째, 직무중요성은 내재만족과 이타행동, 양심 행동, 참여행동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완(2013). 민간경비압의 조직특성과 조직윤리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36, 7-28.
  2. 김두한, 배철수(2015). 민간경호업체의 효율적 경영을 위한 개선요인. 한국위기관리논집, 11(11), 185-198.
  3. 김미선(2009). 조직정치지각과 조직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 직무긴장,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대학원.
  4. 김영인, 이계석, 김희규 (2007). 민간경호 종사지의 상사 리더십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13, 91-112.
  5. 김영현, 박길준(2015). 민간경비원의 조직윤리,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 42, 59-85.
  6. 김인재, 조성진(2012). 민간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 한국경호경비학회, 32, 65-93.
  7. 김홍기, 이종원(2013). 자원기반 이론과 AHP 방법을 활용한 민간 경호경비 기업의 전략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36, 177-200.
  8. 김환목(2014). 한국경호조직의 리더십 유형이 심리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 10(4), 49-72.
  9. 민왕식, 박준석, 오세광(2009). 무도수련과 경호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민간경비학회, 14, 73-127.
  10. 민재기, 김창호(2007). 경호,경비업체 서비스 지향성이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14, 141-160.
  11. 박길준 (2014). 민간경비원의 조직윤리,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의 구조적 관계-개인.조직 적합성의 조절효과-.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12. 백완종(2009). 대학교 직원의 조직만족도에 관한 연구-직장, 직무, 사회적 평가요인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13. 안황권, 박영만(2009). 민간경호 산업의 경영환경(SWOT)분석과 활성화 전략. 한국경호경비학회, 20, 229-248.
  14. 양문승, 오세연, 윤경희(2015). 특수경비원이 지각한 조직 내 의사소통이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효과를 통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 45, 91-112.
  15. 오응수, 신영균, 한종훈(2011). 스포츠센처 지도자의 내-외재적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3(3), 15-23.
  16. 이창욱, 손근, 장영철(2014). 서비스 종사자의 서번트 리더십지각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 연구: 직무특성지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산업혁신연구, 30(1), 1-36.
  17. 정남주(2011). 민간 경비업체의 조직구성원 조직 환경 조직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 29, 251-278.
  18. 최해수(2013). 호텔기업의 직무특성, 집단 효능감,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 연구. 관광연구, 28(3), 119-143.
  19. Ahn, H. K., & Park, Y. M. (2009). The Activation Strategy and Diagnostic Issues through Business Environment(SWOT) Analysis for Private Security Industry. Korean Security Science Review, 20, 229-248.
  20.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38-246.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21. Brown,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lifornia: Sage, 136-162.
  22. Carmines, E. G., & McIver, J. P. (1981). Analyzing Models with Unobserved Variables, Social measurement: Current Issue, Beverly Hills: Sage.
  23.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y Measurement, 63, 636-645. https://doi.org/10.1177/0013164403251332
  24. Oawis, R. V. & Lofquist, 1. H. (1984).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ηt: An individual-differeces model and its applications.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5. Price, J. L., Charles. W., & Mueller. (1986). Handbook of Organizational Measurement. Pitman Publishing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