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view of the TCM Papers about Direct Moxibustion Therapy Used in the Treatment of Warts

우(疣)치료에 사용된 직접구(直接灸) 요법의 중의(中醫) 논문 고찰

  • Park, Ji-Hyun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
  • Son, Hyeon-Eui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
  • Seo, Hyung-Sik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Korean Medicine)
  • 박지현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손현의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 서형식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6.01.15
  • Accepted : 2016.02.09
  • Published : 2016.02.25

Abstract

Objective :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report the chinese published papers on the results using the direct moxibustion to treat warts.Methods : Searching chinese published papers, we classified the results involved in the direct moxibustion treatment about warts. And analysed remedy methods, periods, cure rate, etc.Results : According to chinese published papers, the direct moxibustion itself may be effective in patients with warts. In all paper, the direct moxibustion showed more than 90% cure rate. The recurrence rate was low.Conclusion : We introduce a variety of wart treatments with the direct moxibustion which is made in China and report meaningful results. We hope to this paper contributes to various studies on cauterization of direct moxibustion.

Keywords

1. 서 론

사마귀는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으로 피부 및 점막의 양성 증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노출 부위인 손, 발, 다리, 얼굴에 주로 발병하며 성 접촉을 통해 성기에도 발생하고1), 발생부위와 형태에 따라 심상성 사마귀(尋常疣), 편평 사마귀(扁平疣), 수장족저 사마귀(跖疣) 등으로 분류 된다2).

사마귀 치료와 관련하여 국내 연구 자료들을 살펴 보면 양의학계에서는 냉동요법, 레이저요법 등의 파괴적인 치료 방법과 salicylic acid, 5-fluorouracil, dinitrochlorobenzene(DNCB) 같은 약제를 도포하는 비파괴적인 치료 방법이 사용 되고 있으며3), 한의학계에서는 한약치료, 침치료, 약침치료 등의 비파괴적인 치료 방법이 주로 사용 되고 있다4-8). 직접구를 이용한 사마귀 치료 연구 보고도 있으나, 한약, 침, 약침 및 부항과 함께 치료가 진행되어9,10) 직접구만의 단독처치에 의한 파괴적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 보고는 진행된 바는 없다.

灸法은 온열한 藥力을 이용하여 經絡을 소통시키고, 瘀血을 제거시키는 한편 국소 병변조직을 태워 직접 파괴시키는 작용이 있는 외과적 치료 방법이며11), 灸法중 직접구(반흔구)의 일종인 소작구는 국소 병변조직을 태워 직접 파괴시키는 작용으로 주로 사마귀, 티눈과 같은 불필요한 조직을 제거하는데 적용 된다12). 그러나 국내 연구 중 직접구 단독 처치만을 적용한 논문들은 요통, 슬관절 통증, 완관절 통증 등을 경감시키는 내용이었으며13-15) 직접구만을 시행하여 사마귀를 제거하는 논문 보고는 없었다.

이에 국소 병변조직을 태워 없애는 파괴적 치료방법인 직접구만을 적용하여 사마귀를 제거한 中醫 논문을 검색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2. 연구방법

중국학술정보원(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에서 제공하는 검색사이트(www.cnki.net)에서 검색기간은 설정하지 않고 검색어 “疣”로 최초 검색한 결과 17,191편의 자료가 검색되었다. 검색된 자료 중에서 다시 “直接灸”로 재검색한 결과 13편의 자료가 검색되었으며, 그중 3편은 제공되지 않았고, 1편은 뜸 치료의 열량과 관련된 학위논문으로 주제가 부합하지 않았으며, 3편은 間接灸와 치료가 병행으로 이루어져 제외하였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자료는 6편으로 모두 증례 보고였다.

Fig. 1.Flow chart of the article selection process

 

3. 결 과

1) Clinical Experiences of Warts Treatment by Moxibustion (Table 1)

Table 1.Clinical Experiences of Warts Treatment by Moxibustion

跖疣와 絲狀疣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이며, 跖疣는 小艾炷 직접구를, 絲狀疣는 玫瑰香灸를 활용하여 치료를 하였다. 跖疣는 매일 1회, 20분 동안 50壯, 6회를 1치료 주기로 하여 진행 되었다. 10일후 母疣와 주위의 가피가 탈락하였으며 母疣 탈락 후 子疣도 소실되었으며 1년 동안 재발은 없었다. 絲狀疣는 1회, 1차 치료 3일 후 疣體가 전부 탈락하였다. 저자는 사마귀의 생장은 어혈과 관련이 있으며, 이에 溫通散瘀와 扶正祛邪의 효과가 있는 灸法을 직접적으로 환부에 적용하여 면역기능을 증가시키고 어혈을 제거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 된다고 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 냉동치료, 레이저치료, 국소 화학약물 치료보다 뜸 치료가 사마귀를 직접적으로 제거하는 효과와 함께 면역기능을 증가시키는 부분에서 우수하다고 제시하고 있다.

2) Advances in the Moxibustion Treatment of Viral Warts (Table 2)

Table 2.Advances in the Moxibustion Treatment of Viral Warts

尖銳濕疣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이며, 艾柱灸로 사마귀의 頂端에 연속적으로 3壯을 수포가 생기도록 3일 간격으로 1-3회 시행하였다. 치료 결과 尖銳濕疣는 35례 중 34례에서 치유되어 유효율 97.1%의 결과를 보였다. 저자는 사마귀의 생장이 면역기능과 관련되어 있음을 언급하고 있으며, 灸法은 活血化瘀, 行氣通絡과 함께 면역기능을 증가시켜 바이러스성 질환에 유효하며 재발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3) Verruca filiformis Treatment by Rose Incense Stick Moxibustion (Table 3)

Table 3.Verruca filiformis Treatment by Rose Incense Stick Moxibustion

絲狀疣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이며, 내분비실조 개선, 피로 개선, 창상 치료와 調氣血의 효능이 있는 장미 향료로 제작된 線香을 이용하여 1회 시행하였다. 1회 치료 3일 후 사마귀가 탈락하였다. 저자는 직접구의 溫通散瘀, 扶正祛邪하는 효과와 장미 향료의 活血祛瘀, 溫潤肌膚의 효과를 통해 기존의 직접구보다 발전된 형태로 보다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4) 23 Cases of the Verruca Plantaris Treatment by Direct Moxibustion using Small Mugwort Stick (Table 4)

Table 4.23 Cases of the Verruca Plantaris Treatment by Direct Moxibustion using Small Mugwort Stick

跖疣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이며, 1일 1회, 20분 간, 약 50壯의 小艾柱를 이용, 직접구 방법으로 6일 치료를 1치료 과정으로 1-2회 시행하였다. 9례는 1치료 과정 후에, 14례는 2치료 과정 후에 치유되었다. 저자는 正氣가 虛한 것이 跖疣 발생의 주요 원인이며, 痛, 脹, 拘攣 등의 증상은 瘀血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고, 이에 扶正祛邪와 溫通散瘀의 효능이 있는 灸法을 직접적으로 환부에 적용하여 正氣를 회복시키고 邪氣를 제거하며 瘀血을 통하게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灸法은 면역분자, 면역기관, 면역세포들을 조절하는 기능을 통해 면역기능을 증가시켜 바이러스성 질병을 치료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5) Moxibustion Efficacy of Verruca Vulgaris and Verruca Plantaris Treatment (Table 5)

Table 5.Moxibustion Efficacy of Verruca Vulgaris and Verruca Plantaris Treatment

尋常疣와 跖疣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이며, 艾條灸로 사마귀의 頂端이 焦黑으로 변할 때까지 1-2회 시행하였다. 57례의 尋常疣와 跖疣 환자 모두 1-2회의 치료로 3주 이내에 치유되었다. 동통이 가장 흔한 부작용이나 감내할 수 있는 정도이었으며, 수포 1례, 속발성 감염 1례, 색소침착 1례가 발생하였으며 3개월 후 모두 소실되었고 반흔을 형성하지는 않았다. 저자는 사마귀의 발병이 면역기능의 저하와 관련됨을 언급하고 있으며, 艾灸를 燒炭하면 기혈을 溫煦케 하고 신체의 기능을 조정하여 溫經通絡, 活血化瘀, 行氣의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국소혈위의 艾灸는 Th 세포 수와 IL-2를 상승시켜 치료율과 재발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艾灸는 尋常疣와 跖疣를 치료하는 이상적인 치료법임을 제시하고 있다.

6) 40 Cases of the Verruca Vulgaris Treatment by Barleycorn Size Moxibustion(Table 6)

Table 6.40 Cases of the Verruca Vulgaris Treatment by Barleycorn Size Moxibustion

尋常疣 40례를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이며, 사마귀가 여러 개인 경우 비교적 큰 것 또는 가장 먼저 발생한 母疣를 선택하고, 사마귀가 큰 경우는 온수에 15분간 浸泡하여 각질층을 연화시키고 시행하였다. 사마귀 위에 艾柱를 놓고 연소시키는 직접구 방식으로 10-15壯을 시행하여 사마귀 根部가 연화되고 치료 다음날 화농이 되게 하면 약 1주일 후 탈락이 되며, 만약 탈락이 되지 않는 경우는 1회 다시 시행한다. 치료 결과 39례에서 사마귀가 소실되어 유효율은 97.5%였으며, 6개월간 재발은 없었다. 저자는 직접구의 活血化瘀、去腐生新 효능으로 치료목적에 도달하였으며 사마귀의 크기에 따라 艾柱의 수를 달리 하고, 사마귀의 根部가 연화될 때까지 시행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4. 고찰 및 결론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인한 사마귀는 피부질환에 대한 통계적 고찰에 의하면 전체 피부과 외래환자의 2.2~2.4%를 차지하고, 가장 흔히 발생하는 15개 피부 질환에 포함될 정도로 임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피부질환이다.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에는 세포성 면역반응과 체액성 면역반응이 모두 관여하며, 체액성 면역 반응은 재감염에 대한 저항성과 관련이 있고 세포성 면역반응은 사마귀 병변의 소실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사마귀 발생과 치료에 있어서 면역력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10).

사마귀 질환과 관련하여 한의학계에서도 일찌기《靈樞·經脈》의 “⋯ 虛則生疣 ⋯”와《諸病源候論》의 “⋯ 此多由風邪 客于皮膚 血氣變化所生 ⋯”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체의 정기가 虛한 상태에서 風邪의 감촉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면역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인식하였던 것으로 보인다4).

사마귀 치료와 관련하여 국내 연구 자료들을 살펴 보면 양의학계에서는 냉동요법, 레이저요법, 화학 물질의 국소 도포와 같은 파괴적인 치료 방법과 salicylic acid, 5-fluorouracil, dinitrochlorobenzene(DNCB), diphenylcyclopropenone(DPCP) 같은 약제를 도포하여 지연성 과민 반응을 증가시키는 비파괴적인 치료 방법이 사용 되고 있었으며3), 이와 같은 치료법은 완치율이 약 50% 정도이며 재발률은 평균 25~50%로 보고되고 있다9). 한의학계에서는 한약치료, 침치료, 약침치료 등의 비파괴적인 치료 방법이 주로 사용 되고 있었으며4), 침과 약을 이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5-8), 직접구를 이용한 사마귀 치료 연구 보고도 있었으나, 한약, 침, 약침 및 부항과 함께 치료가 진행되어9,10) 직접구만의 단독 처치에 의한 파괴적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 보고는 진행된 바가 없다. 灸法은 艾絨(뜸쑥) 또는 기타약물을 병증에 상응한 부위에 놓고 소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온열자극과 피부 조직의 연소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에 의한 자극 등을 이용하여 경락을 소통시키고 어혈을 제거하며, 국소의 병변 조직을 태워 직접적으로 파괴하는 작용을 보이는 韓醫의 외치법 중 하나이다11,12,16).

灸法은 신경계통의 기능 개선, 혈액의 유형성분의 변화, 항히알루로니다제 작용, 혈관과 혈압의 변화, 아드레날린 및 아드레날린 유사물질 효과, 부신피질 기능 항진, 면역반응 개선, 칼슘과 칼륨 함유량의 변화, 혈중 콜레스테롤 변화, 조직학적 변화, 위 및 장의 운동 항진, 방사선치료 부작용 감소 등의 작용 기전을 통해 인체에 다양한 효과를 발휘하며17), 이에 대한 연구 보고가 국내외에서 발표되고 있다18,19).

사마귀 질환의 발생과 치료에 면역력이 중요 요인으로 관여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의학계는 면역력 개선보다는 파괴적인 치료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한의학계는 비파괴적인 면역력 개선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면역력을 개선하면서 파괴적인 치료가 함께 이루어진다면 보다 나은 치료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6편의 증례 보고 모두 다른 치료와의 병행 없이 직접구만의 단독 치료법에 의해 심상성 사마귀, 족저 사마귀, 성기 사마귀, 사상성 사마귀 등이 짧은 시간 내에 소실되고 재발이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자들은 灸法의 溫通散瘀와 扶正祛邪를 효과적인 치료법이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직접구는 파괴적 치료 술기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하는 외치 방법이다. 뜸쑥 5g이 탈 때는 412~450℃의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직접구를 거듭 여러 장 시행하면 국소의 피부, 피하조직은 파괴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17,20). 즉 直接灸法에 의해 사마귀 조직이 파괴되고 이와 함께 溫通散瘀와 扶正祛邪의 효능이 발휘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사마귀 치료와 관련된 直接灸法의 작용기전은 크게 면역반응 개선과 조직학적 변화에 의한 것으로 면역력 개선과 파괴적 치료가 함께 이루어 진 효율적인 치료법으로 볼 수 있으나, 6편의 논문 모두 溫通散瘀와 扶正祛邪라는 기능적 효과만을 언급하고 국소 병변조직을 태워 없애는 파괴적 술기에 대한 기술이 없어 아쉬운 점이라 할 수 있다. 향후 파괴적 치료 술기인 燒灼灸에 초점이 맞추어진 다방면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저자 기여도

모든 저자는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박지현, 손현의는 논문 작성에 동등하게 기여하였음.

References

  1. Shin SH, Yun JM, Heo JE, Ko WS, Yoon HJ. The Efficacy of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Recalcitrant Hand and Foot Warts with an Experience of Cryotherapy.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33-44. https://doi.org/10.6114/jkood.2015.28.2.033
  2. Yun JM, Shin SH, Yoon HJ, Ko WS. A Statistical Study of Patients visited Wart Clinic.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2):192-200.
  3. Kim MS, Youn SH, Na CH, Shin BS. Clinical Study of Intralesional Immunotherapy Using Measles, Mumps and Rubella Vaccine in Various Warts. Korean J Dermatol. 2014;52(5):326-32.
  4. Yun YH, Choi IW. A Case report of Verruca Plana. J Korean Oriental Med. 2008;29(3):161-8.
  5. Yun JM, Shin SH, Yoon HJ, Ko WS. Combination therapy with gwakhyangjeonggisangamibang and sojangjeonggy for the treatment of verruca plan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0;23(1):169-81.
  6. Lee KY, Lee E, Cho NK. Two Cases Report of Verruca Plana That Developed after Laser Hair Removal.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112-20. https://doi.org/10.6114/jkood.2015.28.2.112
  7. Park JB. Experience Example of Systemic Warts. J Somun Oriental Med Sci. 1999;5:47-8.
  8. Lee JC, Choi JH, Park SY, Choi JH, Kim JH. A Case of Treatment of Verruca Plan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2;25(2):76-82. https://doi.org/10.6114/jkood.2012.25.2.076
  9. Moon YK, Jeong WY, Shin JH, Kim YB, Nam HJ, Kim KS. Three Cases of Verruca Vulgaris Treated Mainly with Gwakhyangjeonggisangamibang and Moxibustion.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93-101. https://doi.org/10.6114/jkood.2015.28.2.093
  10. Lee JH, Shim GS. Five Cases of Viral Warts Treated by Korean Medicine.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5;28(2):121-9. https://doi.org/10.6114/jkood.2015.28.2.121
  11. Reu BY. Practical Dermatology. People's health Publisher:Beijing. 1984:100.
  12. Seong RG. Mordern Acupuncture. Haengrim:Seoul. 1987:57.
  13. Choi Jh, Ko YJ, Lee SH, Kang SKl, Lee YH. Case Report of Moxibustion Therapy for a Osteoarthritis Patient with Stroke. Assoc Spine & Joint Korean Med. 2005;2(1):27-34.
  14. Park HA, Lee CH, Lee SN. Chronic Low Back Pain Treated with Direct Moxibustion : A Case Report. Assoc Spine & Joint Korean Med. 2009;6(1):9-14.
  15. Lee DW, Shin MS. Case Series of 5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Direct Moxibustion Therapy. Korean J Acupuncture. 2011;28(3):233-44.
  16. Choi YT et al. The Acupuncture and Moxibution. Seoul:Jipmoondang. 1988:1051.
  17. Lee DG, Hwang DC. Korean Medicine Specialist Series. Seoul:Haedonguihaksa. 1997:200-7.
  18. Yu GW, Min S, Park JK, Kim JH, Kang GG. The Effects of Moxibustion on Cornell Medical Index in the Elderly. J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7;13(2);79-91.
  19. Bergersen T.K, Eriksen M., Walloe L. Effect of local warming on hand finger artery blood velocities. Am journal of Physiol Med. 1995;269(2);325-30.
  20. Jang IS, Sun SH, Nam DH, Kum SH, Seo HS. Comparison between Moxibution and the Intense Pulsed Light (IPL) and the Clinicla Application of Photo-moxa.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10;23(3):7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