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cess, Governance, and Performance of Creative-City Related Policies of Suncheon City, Korea

순천시 창조도시 관련정책의 추진과정, 거버넌스, 성과

  • Lee, Jeong-Rock (Department of Geography, College of Soci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6.11.15
  • Published : 2016.12.31

Abstract

The Suncheon city has new city image and brand as eco & garden city in national wide. This paper reviews the process, governance, and performance of creative-city related policy in Suncheon city, Korea. The new city image and brand, eco & garden city, were as a result of the related urban policies and its efforts to reserve and utilize the Suncheon Bay Wetlan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Green Suncheon 21, the Reed Festival of Suncheon Bay, the ecological park creation projects for Suncheon Bay Wetland, the ICEXPO 2013, and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since 1995. The Dongsa Research Institute has been played very import roles in the process of civic movement for Suncheon Bay Wetland reservation. After holding the ICEXPO 2013, the Suncheon city has achieved various performances such as new city image and brand, the Suncheon Bay National Garden, social and physical infrastructure to pursue future creative-city related policies.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개최한 이후, 순천시는 생태 정원도시라는 새로운 도시 이미지와 브랜드를 갖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1995년 이후 순천시가 추진한 환경 중시 정책을 창조적인 도시정책으로 간주하고, 관련된 도시정책의 추진과정 거버넌스 성과 등을 고찰하는 것이다. 순천시가 생태 정원도시라는 도시 브랜드를 갖게 된 것은 순천만습지 보전과 활용을 비롯해 환경을 중시하는 도시정책을 추진한 결과이다. 1996년 그린순천21 의제 설정, 1997년 시작된 순천만 갈대제, 2002년 시작된 순천만 생태공원화 사업,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유치와 성공적 개최, 2015년 박람회장 부지의 국가정원 지정 등이 대표적이다. 전남동부지역사회연구소는 순천만 보전을 위한 지역사회 거버넌스 구축과 활동과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순천만 보전과 환경을 중시한 창조도시 관련정책의 구체적인 성과는 2013년 개최된 정원박람회였고, 이를 통해 생태 정원도시라는 새로운 도시 이미지 형성, 순천만국가정원이라는 새로운 공공재, 창조도시 관련정책을 추진할 물적 사회적 기반 등을 확보하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상철. 2013. "창조도시의 지역적 변용: 제주 세계 평화의 섬과 평화 산업 사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2), pp.17-29.
  2. 권태근, 2014, 2013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한 방문객 의식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인철.장채열.이돈기, 2013, 순천만, 대원사.
  4. 남기범, 2014, "창조도시 논의의 비판적 성찰과 과제," 도시인문학연구 6(1), pp.7-30
  5. 문미성, 2014, "창조경제와 지역: 창조도시의 세 가지 원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46-659.
  6. 서순복.함영진, 2008, "협력적 지역문화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영국 버밍엄 문화영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15(3), pp.241-267.
  7. 순천시, 1996, 2016년 순천도시기본계획.
  8. 순천시, 2002, 민선3기 순천시 발전 4개년 계획.
  9. 순천시, 2003, 순천비전 2020.
  10. 순천시.그린순천21추진협의회, 2006, GREEN순천21 10년: 순천의 희망을 일구다.
  11. 순천시그린순천21추진협의회, 2008, 순천만백서.
  12. 이정록, 2006, 광양만권 잠재력과 비전, 한울아카데미, 서울.
  13. 이정록.안영진, 2006, 지방도시의 변화와 발전동인: 순천시를 사례로, 전남대학교 출판부.
  14. 이정록, 2014a,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정책과 과정과 동인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9(2), pp.849-864.
  15. 이정록, 2014b, 왜 순천정원박람회를 성공했다고 하는가, 광주매일신문 칼럼(2014년 8월 25일자).
  16. 이정록.남기범.지상현, 2015, "대형이벤트 개최가 도시 이미지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사례로," 국토지리학회지 49(1), pp.101-115.
  17. 이정록.남기범.지상현.안종현, 2015,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가 순천시 도시이미지 변화에 미친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2), pp.273-285.
  18. 이정록.박종천, 2016, "생태관광지 방문객의 행태와 태도: 순천만습지와 순천만국가정원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2), pp.300-312.
  19. 이종호, 2014, "창조경제와 지역발전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논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24-631.
  20. 임상오.신두섭.오남숙. 2013. "창조도시의 모법사례와 정책과제: 한국의 창조지역사업을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16(3), pp.61-81.
  21. 전남동부지역사회연구소, 2013, 시민의 땀방울, 순천만 보전 운동사.
  22. 정순관.하정봉, 2014, "정책의 창(Policy Window) 모형을 적용한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개최과정 분석,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6(4), pp.245-268.
  23. 조충훈, 2014, 순천을 세계의 정원으로 만들다: 에코 CEO 조충훈, 행성비.
  24. 최병두, 2014, "한국의 창조경제와 창조도시에 관한 정책과 담론,"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4), pp.601-623.
  25.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조직위원회, 2013, 2013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 백서.
  26. Campbell, P., 2011, "Creative industries in a European Capital of 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17(5), pp.510-522.
  27. Garcia, B., 2004, "Cultural Policy in European Cities: Lessons from Experience, Prospects for the Future," Local Economy, 19(4), pp.312-326. https://doi.org/10.1080/0269094042000286828
  28. Flew, T. 2012. "Creative suburbia: Rethinking urban cultural policy: the Australian case,"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al Studies, 15(3), pp.231-246. https://doi.org/10.1177/1367877911433746
  29. Hawkins, John. 2002. The Creative Economy: How People Make Money from Ideas. Penguin Global.
  30. Scott, A. J., 2006, "Creative cities: conceptual issues and policy questions," Journal of Urban Affairs, 28(1), pp.1-17. https://doi.org/10.1111/j.0735-2166.2006.00256.x
  31. Scott, A. J., 2010, "Cultural economy and the creative field of the city," Geografiska Annaler: Series B, Human Geography 92(2), pp.115-130. https://doi.org/10.1111/j.1468-0467.2010.00337.x
  32. Storper, M. and Scott, A. J., 2009, "Rethinking human capital, creativity and urban growth,"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9(2), pp.147-167. https://doi.org/10.1093/jeg/lbn052
  33. UNCTAD, 2010, Creative Economy: report 2010.

Cited by

  1. Promotion Process and Governance for Establishment of the Union of Kansai Governments: A Case of the Kansai Economic Federation vol.20, pp.3, 2017, https://doi.org/10.23841/egsk.2017.20.3.386
  2. 일본 간사이광역연합 설립 논의과정과 추진체계: 간사이경제연합회를 사례로 vol.20, pp.3, 2016, https://doi.org/10.23841/egsk.2017.20.3.388
  3. 순천만국가정원 물빛축제의 방문객 행태와 경제적 효과 분석 vol.21, pp.3, 2018, https://doi.org/10.23841/egsk.2018.21.3.219
  4. 광양만권 트라이앵글 도시의 공간구조 변화: 중심지형에서 네트워크형으로 vol.23, pp.1,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1.93
  5.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Yeoja Bay, Korea : A Review on a Basis of Previous Studies vol.23, pp.4, 2016, https://doi.org/10.7846/jkosmee.2020.23.4.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