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alyzing Research Trend of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in Korea

  • 투고 : 2016.02.01
  • 심사 : 2016.02.06
  • 발행 : 2016.02.15

초록

우리나라 수학교육에서 당면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가 수학 학습에서의 학생들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심각한 불균형으로 인식되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정의적 영역 측정 도구 개발, 정의적 영역 개선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11년간(2005~2015년)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Korea Citation Index) 등재(후보) 학술지에 실린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논문 103편을 분석하고 관련된 논의와 이슈 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방향 설정 및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관련 연구 편수가 특별히 증가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사회적 관심도에 비해 학계의 관심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 방법은 통계를 이용한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연구 대상으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초등학생 대상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 주제는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요인 분석, 정의적 영역 인식 변화, 정의적 영역 측정 및 분석이 고르게 이루어졌으며, 특히 프로그램(활동, 문제해결 등) 적용에 따른 정의적 영역 변화(효과)에 대한 분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배경 요인들이 함께 고려된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 인식 변화를 위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실효성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해 교사, 학생, 학부모 등의 소통 공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Correcting an imbalance between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mathematics in schools is recognized as a crucial issue with regards to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Therefore, research and studies about affective aspects have been increasing and themes relating to affective aspects were diverse. Their theme included the improvement of affective aspect, investigation of factors of affective aspect, and development of measurement tools for affective asp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organize the research that has been done with respect to affective aspect and drive trend, implication, and their instruction to mathematics education. This study has investigated 103 studies released from 2005 to 2015 on KCI, Korea Citation Ind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since released research of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s has not increased in number in the last 11 years, academic interest in the affective aspects seems lower than recent interest arousing in Korea. Second, most studies utilized quantitative research as a tool to analyze phenomena and the cause and effect of affective aspects. Thir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common subjects of the studies,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urth, the studies had various themes such as analyzing the cause and effect of affective aspect, recognizing changes of affective aspects, and measuring affective aspects. The studies, especially, focused most on analyzing how to improve affective aspects by applying it to programs such as mathematic activities and solving mathematic problems. It is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to have a long-term perspective and to provide a space for communication. Research should not only focus on how recognize affective aspects differently, which is based on its cultural background, but also to draw affective solutions from them.

키워드

참고문헌

  1. 공민숙.강윤수 (2014). GeoGebra를 활용한 극한 지도가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697-716. (Kong, M.-S., Kang, Y.-S. (2014), Effects of Teaching of Limit Using GeoGebra to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4), 697-716.)
  2. 권나영.전미현.황규찬 (2014).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 주도권과의 관계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8(4), 475-492. (Kwon, N.-Y., Jeon M.-H., Hwang, K.-C. (2014), Affective Charateristics in Mathematics and Relational Analysi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nitiative in Mathematics Learning,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4), 475-492.)
  3. 권덕용 (2007). 놀이 활동을 이용한 수학학습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연산능력과 수학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학습장애연구, 4(2), 71-91. (Kwon, D.-Y. (2007), The Effects of Mathematical Learning through the Play Activities on Computation Abilities and Mathematical Attitudes of Low-Achieving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4(2), 71-91.)
  4. 권정은.최재호 (2008). 우리나라 초등수학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49-163. (Kwon, J.-E., Choi, J.-H. (2008), An Analysis of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Focussing o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in Korea-, Jo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2(2), 149-163.)
  5. 김리나.신항균 (2015). 초등학생의 수학불안 요인 분석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6(1), 83-101. (Kim, R.-N., Shin, H.-G. (2015), An Analysis of Causes of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6(1), 83-101.)
  6. 김문희.권혁진 (2009). 문제중심학습이 중.상위권 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2(2), 171-193. (Kim, M.-H., Kwon, H.-J. (2009),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s of the Middle and High Class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2(2), 171-193.)
  7. 김부미 (2014).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유형 및 수학 학습 동기의 관계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16(1), 157-180. (Kim, B.-M. (2014),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Stress, Academic Motivation Types and Mathematics Learning Motiv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6(1), 157-180.)
  8. 김부윤.정두영.정원경 (2005). 문제중심학습(PBL)을 통한 수학적 태도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19(1), 253-269. (Kim, B.-Y., Jeong, D.-Y., Jeong, W.-K. (2005), A Study on the Students' Attitudes to Mathematics via PBL,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9(1), 253-269.)
  9. 김선희 (2009). 예비교사 교육에서 수학 학습 일지 쓰기의 적용,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9(2), 289-306. (Kim, S.-H. (2009), Journal Writ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2), 289-306.)
  10. 김선희.김기연 (2011b). 수학 교육의 정의적 목표에 대한 재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1(2), 149-163. (Kim, S.-H., Kim, K.-Y. (2011b), Reconsideration on the Affective Goal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2), 149-163.)
  11. 김선희 (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15(1), 61-75. (Kim, S.-H. (2013), Many-sided Analysis on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al Learning,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5(1), 61-75.)
  12. 김선희 (2014).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외국 교육과정의 탐색 : 일본, 대만, 홍콩, 핀란드, 중국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4(4), 481-498. (Kim, S.-H. (2014), Analysis of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a of Japan, Taiwan, Hongkong, Finland, and Chin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4(4), 481-498.)
  13. 김수진.김현경.박지현.진의남.안윤경.서지희 (2012). 수학과학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TIMSS 2011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Kim, S.-J. and others, Findings for TIMSS for Korea :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Seoul: K o r e 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2)
  14. 김수진.김경희.박지현 (2014). 중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 변화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3), 683-701. (Kim, S.-J., Kim, K.-H., Park, J.-H. (2014), The effect of mathematics achievement on changes in mathematics interest and valu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8(3), 683-701)
  15. 김영국 (2007). 수학 기피유형의 분류 및 수학 성취 수준과의 상관성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7(1), 33-50. (Kim, Y.-K. (2007), Math-disliking Type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athematical Achievements and Them-Focused on the 8th Grader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7(1), 33-50.)
  16. 김응환.최성은 (2006). 활동중심 수업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2), 209-227. (Kim, E.-H. Choi, S.-E. (2006), A study of the effect of activity oriented class aboutthe character of the student with learning disabilityof the mathematic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9(2), 209-227.)
  17. 김화수 (2010). 4D 프레임을 활용한 공간도형탐구 담화에 나타난 과학적 소양,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595-618. (Kim, H.-S. (2010), Scientific Qualifications Reflected in the Exploration of Space Geometry Utilizing 4D Frame,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3(4), 595-618.)
  18. 나귀수 (2005). PISA 2003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소양의 특징,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5(2), 147-176. (Na, G.-S. (2005), A Profile of Mathematical Literacy on Korean Students in PISA 2003,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5(2), 147-176.)
  19. 박만구.김은혜.황성환.이동희 (2013), 기초셈하기 G-러닝 콘텐츠의 효과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7(2), 225-243. (Park, M.-G., Kim, E.-H., Hwang, S.-H., Lee, D.-H. (2013), An Analysis on the Effects of Basic Computational Skills Using G-Learning Content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7(2), 225-243.)
  20. 박선영.김원경 (2011),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0(3), 285-308. (Park, S.-Y., Kim, W.-K.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n Research Trends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between Korea and Overseas, J .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3), 285-308.)
  21. 박성선 (2013). 초등학교 영재교육대상자의 수학적 신념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23(6), 947-963. (Park, S.-Y. (2013), A Study on Elementary Gifted Children's Mathematical Belief,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3(6), 947-963.) https://doi.org/10.9722/JGTE.2013.23.6.947
  22.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1), 19-31. (Park, J. (2007), The Tren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variables toward Mathematics and Its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s,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1), 19-31.)
  23. 박형서 (2006). 비행기 만들기 체험 활동 중심의 수학.과학.기술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실과교육연구, 12(2), 239-255. (Park, H.-S. (2006), Development of a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tegrated Hands-on Program for an Airplan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2(2), 239-255)
  24. 방정숙.선우진 (2014). 수학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대한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를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16(2), 335-353. (Pang, J.-S., Sunwoo, J. (2014),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by the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6(2), 335-353)
  25. 서정은 (2012). 인지-초인지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교수 프로그램이 경도 지적장애학생의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수행능력.태도.귀인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7(3), 93-119. (Seo, J.-E. (2012), Effects of instruction program with cognitive-metacognitive model on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attitudes.attribution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7(3), 93-119.)
  26. 설정현.백석윤 (2007). 수학동화 쓰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1(2), 137-160. (Seol, J.-H., Paik, S.-Y. (2007), An Analysis on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in Mathematical Fairy Tale Writing Activities, Jo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1(2), 137-160.)
  27. 송상헌.방정숙.임재훈.강옥기.강현영.권나영 외(2013).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연보 수학 교육학 연구 방법, 서울:경문사. (Song, S.-H. and others, A Study method on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Yearbook 2013, Seoul: Kyungmoon, 2013)
  28. 송정범.이태욱 (2011).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 교과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5(1), 11-22. (Song, J.-B., Lee, T.-W. (2011), The Effect of STEM Integration Education Using Educational Robo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5(1), 11-22.)
  29. 송정화.이종희 (2007). 그래프에서 교사와 학생의 의미 구성에 대한 사례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9(3), 375-396. (Song, J.-H., Lee, C.-H. (2007), A Case Study on the Making the Meaning of a Teacher and a Student in a Graph,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9(3), 375-396.)
  30. 안윤경.김선희 (2011). 수학 문제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감정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1(3), 295-311. (Ahn, Y.-K., Kim, S.-H. (2011), The Variation of Emotion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3), 295-311.)
  31. 연보라.김홍찬 (2012). 새터민 청소년의 수학학습 실태 및 적응 요인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467-486. (Yeon, B.-R., Kim, H.-C. (2012), An Analysis on the State of Adjustment on Mathematical Education for Adolescent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5(3), 467-486.)
  32. 위정현.조두영 (2010). 수학 교과에서 G러닝이 학습자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0(6), 37-45. (Wi, J.-H., Cho, D.-Y. (2010), The Effect of G-Learning Towards a Student's Affective Domain in Math Subject,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10(6), 37-45.)
  33. 이경언 (2015). 수학 은유 분석을 통한 대학생들의 학교 수학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조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9(1), 51-72. (Lee, K.-E, (2015), A Survey on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School Mathematics by analysis of metaphor about mathematics,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1), 51-72.)
  34. 이종희.김선희 (2010a).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의 차이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4), 759-785. (Lee, C.-H., Kim, S.-H. (2010a), Analysis on Differences between Affective Achievemen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4(4), 759-785.)
  35. 이종희.김수진 (2010b).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12(2), 219-237. (Lee, C.-H., Kim, S.-J. (2010b), Analysis of Affective Factors on Mathematics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ISA2003,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2(2), 219-237.)
  36. 이종희.김선희.김수진.김기연.김부미.윤수철.김윤민 (2011a). 수학 학습에 대한 정의적 성취 검사 도구 개발 및 검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0(2), 247-261. (Lee, C.-H. and others (2011a),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n affective inventory in Mathematical Learning, J .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2), 247-261.
  37. 이현영.정예원 (2011). 쓰기활동을 적용한 대학수학 미분방정식 수업,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7(2), 141-161. (Lee, H.-Y., Joung, Y.-W. (2011), Applicable writing activities for differential equation courses in university,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7(2), 141-161.)
  38. 이희정.박천건.허난 (2012). 학생의 배경 요인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TIMSS 2007 자료를 활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85-603. (Lee, H.-J., Park, C.-G., Huh, N. (2012), Effect of Contextual Variables on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Analysis of TIMSS 2007 Using Path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5(3), 585-603.)
  39. 전수빈.장환영.이효정(2015). 수석교사제 연구 동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31(4), 113-137. (Jeon, S.-B., Jang, H.-Y., Lee, H.-J. (2015),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Master Teacher Policy,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4), 113-137.)
  40. 최계현.한혜숙 (2013).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2(3), 423-442. (Choi, K.-H., Han, H.-S. (2013),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2(3), 423-442.)
  41. 최승현.박상욱.황혜정 (2014).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23-43. (Choi, S.-H., Park, S.-W., Hwang, H.-J. (2014),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7(1), 23-43.)
  42. 하수현.박정숙.주미경 (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9(1), 67-83. (Ha, S.-H., Park, J.-S., Joo, M.-K. (2010),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5 Years,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9(1), 67-83.)
  43. 하정숙.박종호 (2010). 동료 멘토링이 초등학교 수학 학습장애아동의 사칙연산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1(2), 93-109. (Ha, J.-S., Park, J.-H. (2010), The Effect of Peer Mentoring on Four Rules of Arithmetics Ability and Learning Attitude of Children with Mathematics Dis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1(2), 93-109.)
  44.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BD15120005. (KOFA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roduction to 2015 National Math Education Curriculum, BD15120005, 2015.)
  45. 한혜숙.최계현 (2011).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4), 491-518. (Han, H.-S., Choi, K.-H. (2011),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recognition of the affective domain and analysis of condition in mathematics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4(4), 491-518.)
  46. 황우형.이유나 (2009).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3(1), 1-38. (Hwang, W.-H., Lee, Y.-N.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Regular Students in Perfectionism and the Affective Traits, J .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1), 1-38.)

피인용 문헌

  1. 수학교사의 전문성 개발영역 관련 연구 동향 분석 vol.32, pp.4, 2016, https://doi.org/10.7858/eamj.2016.034
  2. 스크래치 활용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이 수학교과 흥미와 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 vol.21, pp.2, 2016,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2.199
  3. 소설을 소재로 한 수학학습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vol.32, pp.2, 2016, https://doi.org/10.7468/jksmee.2018.32.2.191
  4.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실태 조사 vol.33, pp.4, 2016, https://doi.org/10.7468/jksmee.2019.33.4.455
  5. 가치 연구의 동향 분석: 수학적 가치와 수학 교육적 가치를 중심으로 vol.58, pp.4, 2016, https://doi.org/10.7468/mathedu.2019.58.4.609
  6.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외 수학교육 연구 동향 비교 연구 vol.59, pp.1, 2016, https://doi.org/10.7468/mathedu.2020.59.1.63
  7. 예비 수학교사의 멘·튜터링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vol.37, pp.2, 2021, https://doi.org/10.7858/eamj.20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