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valuation of N.Korean SEZs through Comparing with China's and Vietnam's Initial Cases

중국과 베트남 초기 경제특구와 비교를 통한 북한 경제특구 평가

  • 김미숙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최대식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두환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6.08.19
  • Accepted : 2016.10.15
  • Published : 2016.10.31

Abstract

North Korea(NK) has designated the special economic zones(SEZs) since the first one in Rason. But, why have the SEZs in NK still not been developed successfully? This study comparatively evaluated the SEZs in China, Vietnam and NK, with respect to 'context/purpose', 'development/management system', and 'location/infrastructure.' NK's strategies for the SEZ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China and Vietnam in terms of historical context and development purpose. China and Vietnam chose the market opening policy aiming to reform their national economy, while NK tried the opening policy without the economic reform. This difference made NK's decentralization and location strategies marginal. In spite of the positive land system and tax benefit of NK, the strategies couldn't make a successful result. The implications of this comparativ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NK need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the SEZs in accord with the comprehensive and long-term plan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trustworthy and substantial market-systems' being compatible with outside world. For that, NK has to secure the regime stability in political and diplomatic dimensions. Secondly, NK has to carry out policies of decentralization and location of the SEZs more positively. Third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related to lack of infrastructure capital, NK needs to utilize a BOT scheme.

1990년대 초반 나선특구 지정을 시작으로 추진한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전략이 아직까지 이렇다 할 성과를 내고 있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북한은 중국 베트남의 '점진적' 개혁 개방 또는 경제개발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인가? 그러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중국, 베트남, 북한의 경제특구 사례를 '맥락과 목적', '개발 관리제도', '입지와 인프라 공급'의 범주에서 비교 평가하였다. 사례비교 결과 북한의 경제특구 전략은 먼저 역사적 맥락과 추진 목적 측면에서 중국 베트남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외자유치를 목적으로 하였지만, 북한의 경제특구는 '경제개혁(또는 시장도입) 없는 개방'이어서 중국과 베트남의 경제특구가 가지는 '국가경제 전반의 개혁을 목표로 한 테스트베드로서 개방'과 그 성격을 달리한다. 이러한 차이가 소극적인 분권화 수준과 입지선택으로 귀결되었으며, 상대적으로 토지제도와 세제혜택 등에서 중국, 베트남과 비교해 불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북한 경제특구 전략이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사례비교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경제특구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괄적이고 장기적인 경제개발 계획 하에 경제특구 전략을 배치하여야 한다. 그것의 실내용은 외부 경제체제와 호환되는 '신뢰할 수 있는 시장경제'의 확대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은 정치 외교적 차원에서 체제안정을 확보해야 할 것이며, 역으로 그것이 외부에서 북한의 개방과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조건이 될 것이다. 둘째, 개발관리체계에서 분권화와 입지선택에서 더 과감한 시도를 해야 한다. 대도시 또는 외부와 연계가 용이한 지역의 노동력과 인프라를 활용하는 전략, 분권화를 통해 창조적인 제도 실험이 가능하게 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인프라건설자본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BOT 방식 등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15), 북한 건설.개발제도 및 계획현황 연구.
  2. 권기대(역)(2012), 중국이야기, 민음사, 서울(Henry A. Kissinger (2011), On China, Penguin Books).
  3. 권오혁(2006). "한국과 중국의 경제특구 제도 비교", 지방정부연구, 제10권 제4호(2006 겨울): 283-301.
  4. 권율(1993a), 베트남의 外國人投資政策과 制度分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5. 권율(1993b), 베트남의 輸出加工區 開發政策과 現況, 대외경제정책연구원.
  6. 김근식(2010),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 변화", 통일과 평화,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2): 111-136.
  7. 김미숙, 김용태, 김두환, 이인주 등(2013), 북한경제특구 개발을 위한 사업방식 및 재원조달 방안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8. 김일성(1996), "현시기 정무원앞에 나서는 중심과업에 대하여(1992. 12.14 발표)," 김일성저작집 4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9. 남궁영(1996), "북한의 투자환경: 중국.베트남과의 비교연구-거시적 투자환경을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96년 상반기호(통권 제25호).
  10. 박민규, 왕붕, 강명구(2015), "중국 선전 경제특구 성공에 있어 '연결도시'로서 홍콩의 역할: 북한 경제특구 개발에의 함의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10(1): 57-71.
  11. 박번순, 오승구, 유진석, 김득갑(2001), 사회주의 개방국가의 초기외국기업 진출환경 분석과 시사점, 삼성경제연구소.
  12. 박인성(2000), 중국 션젼 경제특구의 토지관리개혁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13. 박인성(2002), "중국의 경제특구 건설.운영경험 연구", 통일정책연구, 11(1): 287-313.
  14. 법무법인태평양(2006), 심천 경제특구 주요 법제 입법개요, 통일부.
  15. 법무부(2005a), 中國 經濟特區法制 硏究.
  16. 법무부(2005b), 베트남 改革開放法制 槪觀.
  17. 법무부(2008), 개성공업지구 토지이용권 보호방안 연구.
  18. 유기현, 서순탁(2014),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토지구획정리사업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공간과 사회, 24(2): 178-219.
  19. 이무철(2011),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의 발전전략 : 비판적 평가",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3(1) : 317-344.
  20. 이상직, 박기성(2003), 중국 경제특구의 성과와 성공요인, 인천발전연구원.
  21. 이석기(2013), "북한의 경제특구 개발과 남북한 경제협력 과제", 국토, 28-35.
  22. 이석기, 양문수, 정은이(2014), 북한 시장실태 분석, 산업연구원.
  23. 이성수(2005), "중국, 베트남의 경제특구 개발전략", 국토, 통권 290호: 96-108.
  24. 이승욱(2016),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특구전략: 영역화, 분권화, 그리고 중국식 개혁개방?",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1): 122-142.
  25. 임강택(2001), 북한의 개혁.개방정책 추진 전망: 대북 경제협력정책에 대한 시사점, 통일연구원.
  26. 임을출(2010), "체제전환국들의 경제특구 활성화를 위한 법제 비교", 통일문제연구, 2006년 하반기호(통권 제46호) :143-183.
  27. 정형곤(2002), "심천 경제특구의 개발 및 운영정책: 성공요인과 시사점", KDI 북한경제리뷰, 43-44.
  28. 정흥모(2001), 체제전환기의 동유럽 국가 연구 : 1989년 혁명에서 체제전환으로, 서울: 오름.
  29. 조명철, 홍익표(2000), 중국.베트남의 초기 개혁.개방정책과 북한의 개혁방향, 통일연구원.
  30. 조선.평양(1995), 라진-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 투자환경, 김일성 종합대학출판사.
  31. 토지주택연구원(2015), 2015년 북한 건설.개발 동향.
  32. 하연섭(2002), "신제도주의의 최근 경향: 이론적 자기혁신과 수렴", 한국행정학보, 36(4): 339-359.
  33. 한국조세연구원(2006), 개성공단과 중국 경제특구 조세법제의 비교 연구, 통일부.
  34. 한국토지공사(2008), 개성공단개발사.
  35. 허련(2011), "개성공단 개발사업의 성과와 함의", 대한지리학회지, 46(4): 518-533.
  36. 홍익표(2010), "성공적 수행을 위한 발전방향과 북측의 과제 : 중국.베트남과의 비교", 통일경제 10월호.
  37. Goldman Sachs (2009), "A United Korea? Reassessing North Korea Risks(Part I)," Global Economics Paper No.188.
  38. Lee, J. E. (1995), An Examination of Government Investment Incentives and Disincentives : the Case of Vietnam, University of Hong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in Business Administration.
  39. World Bank (2008), Special Economic Zones performance, lessons, learned, and implications for zone development. April 2008 :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Group.
  40. 小田美佐子(2002), 中國土地使用權と 所有權 日本, 京都: 法律文化社.
  41.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홈페이지, https://www.kidmac.com/kor/contents.do?menuNo=100158.
  42. 통일법제 데이터베이스, http://www.unilaw.go.kr/Index.do.
  43.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http://nkinfo.unikorea.go.kr/nkp/overview/nk Overview.do?sumryMenuId=EC204.
  44.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
  45. Taiwan Today 홈페이지, http://www.taiwantoday.tw/ct.asp?xItem=85201&CtNode=103.
  46. TTC 홈페이지, http://ttc-vn.com/about.
  47. World Bank Data, http://data.worldbank.org.
  48. 노동신문(2016.5.8),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 결정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사업총화에 대하여".
  49. 통일부 보도자료(2015.12.24), "개성공단 토지사용료 기준에 관한 합의서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