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Instruction Consulting System in Universities and its Implications

대학 수업컨설팅 체제 분석 및 시사점

  • Received : 2016.08.01
  • Accepted : 2016.09.24
  • Published : 2016.11.28

Abstract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has emerged as an important teaching development program in university. So,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system in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four-year-course universities and deduce implications from it. To this end, focusing on instruction consulting program types, status, and example cases for promotion, homepages were reviewed and phone interview was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1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9 types of instruction consulting system in universities were found. Second, the status of offering the programs and implementing them did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Third, universities were mainly using in-school consultants. Fourth, universities had various ways of using the results and reward systems. Lastly, as for the example cases, through various consulting programs, consultant pools, use of results and reward system, and connection with other programs, it was found that instruction consulting system was operated organically. The implications that the research result offers are as follows. First, there should be accurate diagnosis of instructors and customized consulting systems based on needs. Second, there should be supports inside schools and cooperation between external organizations that can help raise consulting teams of various backgrounds. Third,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should be made through joint considerations and reflections of instructors. Fourth, universities should provide systematical support for instructional consultation and have higher awareness about it.

대학에서 수업컨설팅이 중요한 교수지원 프로그램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4년제 대학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수업컨설팅 체제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업컨설팅 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7-8월, 홈페이지 조사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대학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유형, 실태, 활성화 사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은 9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제공 현황과 실행 현황은 일치하지 않았다. 셋째, 주로 대학 내부 인력을 컨설턴트를 활용하여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넷째, 다양한 결과 활용과 보상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수업컨설팅의 활성화 사례를 살펴보면, '다양한 컨설팅 프로그램-컨설턴트 pool-결과 활용 및 보상제도-타 프로그램 연계'를 통해 수업컨설팅 체제가 유기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수업컨설팅 체제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교수자를 정확히 진단하고 요구에 기반한 맞춤형 컨설팅 체제 구축, 다양한 배경을 지닌 컨설팅단을 양성할 수 있는 대학 내 지원과 외부 기관 간 협력, 교수자들이 공동으로 성찰 반성해나가는 수업컨설팅, 대학 차원에서 수업컨설팅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길재, 이정미, "대학교육 만족도 및 교수학습 성과 영향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33권, 제1호, pp.105-127, 2015.
  2. 이병식, 최정윤, "다층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능력 개발의 영향요인 분석: 대학교육 과정과 대학 특성 변인의 영향," 한국교육, 제35권, 제2호, pp.243-266, 2008.
  3. 서민원, "다층모형의 논리적 구조와 적용: 대학교육의 효과 측정과 분석," 교육평가연구, 제16권, 제2호, pp.43-64, 2003.
  4. 강대현, "학교현장에 적용가능한 사회과 수업컨설팅 유형 및 사례연구," 사회과교육, 제46권, 제3호, pp.213-234, 2007.
  5. 김영순, 김효남, 신애경,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31권, 제8호, pp.1092-1109, 2011.
  6. 김혜련, 부경순, "초등영어 수업컨설팅 적용연구," 초등영어교육, 제13권, 제2호, pp.33-64, 2007.
  7. 이지혜, "IPA를 활용한 컨설팅장학 생활지도 영역 컨설턴트의 역량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4권, 제5호, pp.498-511, 2014.
  8. 박수정, "학교경영컨설턴트의 역량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4호, pp.425-434,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4.425
  9. 홍각표, 나민주, 정재훈, 강미혜, 류관희, "컨설팅 장학을 위한 온라인 컨설턴트 교육 시스템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7호, pp.18-28,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018
  10. 이상수, "학습부진 해소를 위한 수업컨설팅," 한국교육사상연구회, 제45회 학술논문집, pp.1-15, 2009.
  11. 최정임, 장경원, 성지운, 이사은, 장선영, 이지연, "국내 수업컨설팅 연구동향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31권, 제1호, pp.95-127, 2015.
  12. 홍성연, 전영미,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안 탐색," 한국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305-33, 2013,
  13. 김경이, "대학에서의 수업컨설팅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컨설팅연구, 제1권, 제1호, pp.46-76, 2013.
  14.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11 대학교육개발백서,"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한림대학교 교육개발센터, 2012.
  15. S. A. Rosenfield, Instructional consultation, Hillsdale, 1987.
  16. 심미자,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의 새로운 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9권, 제2호, pp.371-396, 2012.
  17. 박양주, 우영희, 성지훈, 정영숙, "원격대학 수업컨설팅에서 수업체제분석 도구로서의 활동체제모형에 대한 이론적 탐색," 교육공학연구, 제30권, 제3호, pp.361-383, 2014.
  18. 송윤희, 남민우, 엄미리, "델파이 조사를 통한 대학 수업컨설턴트 역량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제45권, 제2호, pp.1-24, 2014.
  19. 남민우, 박성열, 이해듬, "대학 수업컨설팅 분석도구 타당화 및 구성요인 간 구조적 관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7권, 제1호, pp.97-123, 2015.
  20. 전영미, "대학 수업의 수월성을 위한 교수 학습센터의 역할 탐색: 우리나라와 미국 대학 교수 학습 센터의 홈페이지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제24권, 제4호, pp.153-180, 2006.
  21. 고은미, 이희경, 한은옥, "전문대학 수업유형별 강의평가도구 개발 연구," 인문학논총, 제31집, pp.365-394, 2013.
  22. 김홍자, 서윤경, 조용개, "교수자 중심의 수업분석 상담 사례연구-대화분석적 수업분석: 상담기법을 중심으로,"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제8회 동계 심포지엄 자료집, pp.43-53, 2010.
  23. 유정아, "대학교원을 위한 교수법 증진 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c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343-367, 2009.
  24. 이용숙, "수업컨설팅의 방향, 교수-학습개선을 위한 세미나: 교수-학습개선을 위한 수업컨설팅 어떻게 할 것인가?," 연구보고 OMR 2006-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p.1-28, 2006.
  25. 이용숙, "대학수업의 개선을 위한 수업컨설팅 방법과 사례-미국 대학교수-학습개발센터에서의 참여관찰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동계심포지엄(서울여대. 2007. 2. 1.) 발표 자료집.
  26. 이용숙, "수업구조분석법과 실제학습시간분석법 재개발연구," 열린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21-49, 2007.
  27. 이용숙, "수업 컨설팅의 방향," 열린교육실행연구, 제10권, pp.3-31, 2007.
  28. 이용숙, "대학 수업 개선을 위한 자기분석 방법개발 연구," 열린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1-34, 2011.
  29. 이용숙, "대학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디자인의 새로운 접근 방법 개발 연구: 원인연쇄분석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4호, pp.729-770, 2012.
  30. 이은화, 현경석, 조용개, "교수력 향상을 위한 수업 컨설팅 프로그램 운영 사례,"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제8회 동계 심포지엄 자료집, pp.43-53, 2010.
  31. 이상수, "수행공학을 적용한 수업컨설팅 모형," 교육공학연구, 제26권, 제4호, pp.87-120, 2010.
  32. 이재덕, "수업컨설팅을 위한 코칭 기법의 특징과 활용 방안," 초등교육연구, 제21권, 제2호, pp.307-332, 2008.
  33.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수자와 학생 면담 연구," 교육과정연구, 제22권, 제4호, pp.165-187, 2004.
  34. 이재경, "수업컨설팅 분석 준거에 의한 대학 수업사례 분석 결과 및 개선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2호, pp.663-689, 2015.
  35. 천호성, 수업분석의 방법과 실제: 질적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학지사, 2009.
  36. 홍성연, "대학 강의 개선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pp.97-127, 2010.
  37. 노혜란, 최미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교수 역량 모델 개발," 직업능력개발연구, 제7권, 제2호, pp.1-28, 2004.
  38. 민혜리, 김진호, "수업컨설팅 전문가를 위한 교수 교육역량 평가지표 연구," 교육컨설팅연구, 제1권, 제1호, pp.1-45, 2013.
  39. 임우섭, 대학 교수의 핵심 교수역량 모델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40. 임우섭, 김용주, "대학 교수의 핵심 강의역량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제25권, 제4호, pp.413-434, 2007.
  41. 민혜리, 윤희정, "대학수업 개선에 있어서 수업 컨설팅의 기능: 대학 교수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제20권, 제1호, pp.251-276, 2012.
  42. 기초교양교육원, "고등교육 환경변화에 따른 온.오프라인 수업 환경 및 수업 질 관리 발전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기초교양교육원 정책연구보고서, 2016.
  43. 이석열, "마이크로티칭 적용에서 나타난 신입교수의 수업행위 분석," 교육종합연구, 제12권, 제4호, pp.105-126, 2014.
  44. 조용형, 서영희, "마이크로티칭 경험이 신임교수에게 주는 의미 탐색,"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4권, 제5호, pp.721-738, 2012. https://doi.org/10.13000/JFMSE.2012.24.5.721
  45. 문창배, 박정환, 전경애, 김해영, 마지순, "수업행동 분석 포트폴리오 시스템을 경험한 교수자의 행동변화가 주는 의미," 순천향인문과학논총, 제26집, pp.275-311, 2010.
  46. 지은림, 장정아, "대학 교수자를 위한 강의자가 진단도구 개발의 타당화 및 관련변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제19권, 제1호, pp.51-71, 2006.
  47. 김성숙, 김학일, "학기 중 적용을 위한 강의진단 평가도구 개발과 타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제21권, 제1호, pp.55-78, 2008.
  48.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정보공유를 위한 교수학습센터 현황조사 결과(2015. 9. 30.),"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