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excellence of Korean traditional paper

전통한지의 제조 기술 및 우수성에 관한 논고(論考)

  • Jeong, Seon Hwa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정선화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Received : 2015.02.25
  • Accepted : 2015.03.02
  • Published : 2015.03.30

Abstract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is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highly praised, even to this date, for its importance and technology by craftsmanship of our ancestors; it is a product of a combination of craftsmanship, well-established technologies, natural paper mulberry fiber and eco-friendly and durable natural materials and mucilages. Origin of the word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is from handmade paper made of bast part of the paper mulberry; as paper manufacturing with paper machines introduced in Japan was adopted in late Joseon, paper produced previously was called 'Hanji' and paper produced with western machines was called 'Yangji(machine made paper)'. Hanji has been called by many different names and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materials and production methods; and the functions varied. Hanji, from the era of three states to Joseon era, has been praised for its unique and excellent quality in three Asian countries(Korea, China and Japan); its unique excellence continues to this date in many paper-related national cultural heritages. Also total of 11 cases are registered to UNESCO Memory of the World for its importance, 8 of which are associated with traditional Korean paper: Hunminjeongeu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ikjisimcheyojeol, Seungjeongwon Ilgi,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Donguibogam, Ilseongnok and A War Diary. To examine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conservation science in Hanji, many studies have been developed. By developing analysis and manufacturing technologies, the excellence of our Hanji should be re-verified scientifically and the tradition should continue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cultural heritages.

한지는 우리의 옛 선조들의 뛰어난 기술과 장인정신으로 오늘날에도 그 가치와 기술을 높게 평가받고 있는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이는 그 시대의 장인정신과 축적된 기술, 한지제조에 적합한 천혜의 자연조건인 닥섬유와 물과 햇빛과 더불어 환경친화적이고 보존성이 우수한 천연자숙제 및 점질물 등이 잘 어우러진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한지는 닥나무 껍질(저피(楮皮))을 가공하여 손으로 만든 종이를 일컫는 것으로 조선 말엽 일본을 통하여 서양식 기계로 제조한 종이가 생산되면서 그간의 종이는 한지라 하고 서양의 종이를 양지라 구분하여 부른다. 한지는 재료 및 초지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불리고 사용되어져 왔으며, 그 기능 또한 다양하게 활용되어져 왔다. 또한 한지는 과거 삼국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동양 3국(한국, 중국, 일본) 중에서 독특하고 우수한 품질로 각광을 받아왔고, 오늘날 한지 특유의 우수한 보존성으로 수많은 국가지정 지류문화재들이 지금까지 잘 전승되고 있다. 아울러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한 UNESCO 세계기록유산에 한국은 모두 11건이 등재되었는데 그 중 전통한지로 구성되어 있는 기록물은 8건으로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직지심체요절, 승정원일기, 조선왕조의궤, 동의보감, 일성록, 난중일기"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러한 한지의 우수한 보존과학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 사업들이 진행되어져 왔다. 한지에 대한 분석기술과 제조기술개발, 복원기술연구 등을 통하여 우리 전통한지에 대한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재입증하고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유산의 하나로써 그 명맥을 유지해 나가야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