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Overview of Cultural Heritage Research and Policy in Central Eurasia

유라시아 문화유산 연구와 정책 동향

  • Park, Pilho (International Institute for Central Asian Studies)
  • 박필호 (유네스코 중앙아시아학 국제연구소)
  • Received : 2015.08.04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Common issues in research and policy on cultural heritage can be extracted among Eurasian countries although countries in the region show different colors of policies and studies. Among them one thing peculiar to Central Asian countries is that in general they do not have well delineated laws and regulations on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It may be because they had no enough time and experience to legislate and implement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ever since they got independence.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in Central Asian countries is often made in cooperation with foreign institutions. As shown in archaeological excavation projects in Central Asian countries, cooperative projects exceed noncooperative ones in terms of size and longevity. UNESCO, through its projects on the Serial and Transboundary World Heritage Nomination of the Silk Roads in Central Asia, also supports countries in Central Asia and others along the Silk Road in order to facilitate inclusion of their cultural heritages in the Tentative List of the World Heritage. With regard to activities on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while respective countries in Central Asia have made good efforts, they could not produce effective outcomes due to short of budget and specialized manpower. They have rich resources of cultural and documentary heritage but their registered heritages on the UNESCO's World Heritage List and Memory of the World are under-represented because of short of technology and experience among other things. A new trend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that combined cultural heritage with tourism has merged in recent years. While some critics have raised some negative questions, this new fashion became popular and will continue with the support of governments of Silk Road countries. In conclusion, Korean institutions are further encouraged to organize cooperative networks for research and policy with respective Eurasian countries.

유라시아의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와 정책 동향을 조명한다면 그 범위가 너무 넓어 한두 가지 맥락으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나름대로 공통적 특성은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일부 국가들의 경우 정책수단의 근본이 되는 문화유산 관련 법령이 잘 갖추어지지 않은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들이 독립국가가 된 것이 오래되지 않았고 일부 국가들에서 볼 수 있듯이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법령을 정교하게 다듬어 집행할 여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문화유산에 대한 연구도 자체 능력보다는 외국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발굴사업의 예에서 보듯이 유럽을 중심으로 한 외국 연구기관과의 협력 아래 진행하는 연구가 다수를 차지한다. 유네스코에서도 중앙아시아 실크로드 문화유산의 일련번호 지정사업을 통해 중앙아시아 및 실크로드 국가들이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향후 잠정목록에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문화유산의 보호 활동은 국가별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보아 예산과 전문 인력 등의 부족으로 효과적인 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세계문화유산이나 기록 유산의 등재 활동은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음에도 상당히 미약하여 향후 이런 분야에 대한 협력을 강화해야할 것이다. 근래에 문화유산과 관광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정책 수립과 연구방향이 시도되고 있다. 다소의 부정적 측면이 있음에도 중앙아시아 및 실크로드 국가들은 이런 시도를 환영하고 있다. 향후 우리나라는 이들 국가들과 연구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문화유산 정책과 연구활동의 많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것이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