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Propensity for Conflict Resolu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NS Users, Usages and Conflicts

SNS 사용자 유형 및 이용방식과 갈등유형에 따른 갈등해결 성향 분석

  • Received : 2015.08.31
  • Accepted : 2015.09.23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making study model using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and established hypothesis and then analysed propensity of conflict resolu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SNS users, usages and conflicts. The results of study, active users of SNS have propensity of resolution for their own conflicts through SNS. The users having conflicts between person and person are same with active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referenced to other researches for resolving conflicts in or between people in the future.

논문에서는 SNS 사용자들이 SNS를 통하여 자신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성향을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아젠(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TPB)을 근거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SNS 사용자 유형, 서비스 이용방식, 갈등유형이 SNS 사용자의 갈등해결 의도와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SNS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일수록, 개인과 개인 간의 갈등이 높은 사용자일수록 SNS를 통하여 자신의 갈등을 해결하려는 성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윤영민 (2013), 소셜 미디어 시대의 인간 상호작용: 가능성과 위험,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12(1), 71-81. https://doi.org/10.3923/itj.2013.71.79
  2. 김종기, 김진성 (201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화정책, 18(3), 25-49.
  3. 이재현 (2013), SNS의 열 가지 얼굴, 커뮤니케이션 북스.
  4. 김유정 (2013),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교 연구, 언론과학연구, 13(1), 5-32.
  5. 양혜승, 김진희, 서미혜 (2012), 페이스북은 우리의 관계를 윤택하게 하는가?, 한국언론학보, 56(5), 270-297.
  6. 임선규, 송인철, 김명호 (2010), 행위 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 성향 및 사용자간 친밀도 분석 기법, 학술발표논문집(C), 37(2), 10-15.
  7. 김성식 (2013), SNS 의사소통 유형 분류에 따른 커뮤니케이터 특성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장재문 (2014), 인간관계에서 오는 갈등의 상징적 표현,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재휘 (2013), 설득 심리 이론, 커뮤니케이션북스.
  10. 차유희 (2012), 여성 직장인의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계획된 행동이론의 적용,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Daniel L. Schacter, Daniel T. Gilbert, and Daniel M. Wegner (2011), "Psychology", Sigmapress.
  12. Ajzen Icek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