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ssue of the Korean-Chinese Poetic Criticism in 1990's - Focusing on the Magazine Literature and Art(Munhakwayesul), Zhangbaikshan

1990년대 중국조선족 시문학 비평의 쟁점들 - 『문학과 예술』, 『장백산』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5.08.10
  • Accepted : 2015.09.08
  • Published : 2015.09.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ssue of criticism in Korean Chinese literature in 1990's. This is transitional time why China introduced a market economy system. It had an important effect on Korean Chinese society not the cultural climate but also literature. Besides,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gave an impulsion to changing literature. So this study tried to take note of directionality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through the Korean Chinese magazine Literature and Art(Munhakwayesul) and Zhangbaikshan. First issue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in early 1990's is crisis and restoration of criticism genre. At that time criticism faced with what is modernity. Some critics insisted that criticism should to improve. So it was necessary to accept foreign theory. Then they were concerned postmodernism and deideology tendency. What was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would find their culture identity. So few critics tried to communicated with world literature. Especially they emphasized communication with Korean writer who lives in other country. Ultimately they thought that Korean Chines literature must get literal universality and ethnic speciality. For example poet Nam-YoungJeon's totem poetry is representative work. The issues of Korean Chines criticism in 1990's are not directivity of literature but also directivity of culture identity. Korean Chines literature had departed from Socialistic realism little by little and had getting diversity. Above all things criticism aimed for international sense and ethnic culture identity.

본 논의는 변화와 개혁의 시기였던 1990년대 중국조선족 문학의 쟁점들을 시문학 비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의 사회적 변화는 조선족문학이 기존의 문예 이론이나 문학적 경향에서 탈피하여 새로움을 추구하는 동시에 존립의 방향과 정체성을 재점검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고는 "문학과 예술", "장백산"에 실린 비평들을 통해 이 시기 조선족문학의 상황과 시대적 문제의식 그리고 그들이 추구한 방향성은 무엇이었는지에 주목해보았다. 사회 문화적 개방화의 물결 속에서 조선족 비평가들은 비평의 위기와 극복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적 창작 방법을 추구했던 기존의 작품들과 달리 변화하는 현실과 그것을 반영한 작품들을 보면서 평단은 비평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무엇보다 지식과 이론의 수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했다. 이런 움직임은 사회주의 문예이론을 완전히 탈피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었지만 비평의 질적 발전을 위해 다양한 이론의 섭수가 중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비평 이론에 대한 갈망과 요구는 시문학 비평에서 현대성에 관한 논의로 이어졌다. 비평가들은 문예지를 통해 서구의 문예이론을 소개하는 한편, 포스트모더니즘이나 탈이데올로기적 추세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며 조선족문학이 추구해야 하는 현대성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방향을 모색했다. 조선족문학의 현대성 논의는 조선족의 문화적 전통 및 특수성을 보여줄 수 있는 문화정체성 형상화에 대한 모색으로 이어졌다. 한편 조선족 비평은 민족문화와 민족정신을 계승하고자 하는 목표 아래 세계 문학과의 교류와 소통을 제기하기도 했다. 비평가들은 세계 문학과 공감할 수 있는 문학의 보편성을 획득하는 동시에 조선족 민족문화의 특수성을 형상화하고자 했다. 남영전의 토템시는 그러한 노력의 성공적인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1990년대 조선족 비평은 조선족문학만이 아니라 조선족 사회의 위기 앞에서 균열과 해체의 시대를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이런 조선족 비평의 움직임은 중국이나 북한, 한국과 차별화되는 한글문학의 한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조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