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rket Structure and R&D Activities in the Manufacturing Sector : Geographic Scope of Market Structure

시장구조와 제조업 연구개발활동 : 시장구조의 지리적 범위

  • 홍성효 (공주대학교 경제통상학부) ;
  • 임준홍 (충남발전연구원 지역도시연구부)
  • Received : 2014.12.23
  • Accepted : 2015.02.16
  • Published : 2015.03.31

Abstrac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structure and R&D activities. Especially, the outcome of R&D activities could be imitated or plagiarized by nearby competitors before it is protected legally through patenting, it would work as a club good and its market structure need to be defined at the geographic level of city, county or ward rather than the whole nation. According to the regression results of this study using Survey on Technology Statistics of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ndividual firms' R&D investment is more active when market structure of area(city, county, or ward)-industry(two-digit industry) is monopolistic or oligopolistic rather than competitive. However, as the variable representing market structure is redefined over a geographic scope of 16 metropolitan areas or provinces, 6 regions, or the whole n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structure and R&D activities seems to become weak. Moreover, when the R&D expenditure is divided by its source, more active R&D spending in a less competitive market is observed as long as it is procured by internal fund of the firm in question.

본 연구는 시장구조와 연구개발활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연구개발활동의 성과가 특허 등을 통해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기 전까지 지리적으로 인접한 경쟁기업들에 의해 모방이나 도용이 가능하다면, 이는 클럽재(club good)와 같아서 이의 시장구조를 정의함에 있어 지리적 범위가 국가 전체가 아닌 시군구로 한정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를 이용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지역-산업 내 경쟁이 아닌 독과점의 시장구조가 형성될 때 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보다 활발히 이뤄진다. 하지만, 시장구조를 나타내는 변수를 시군구가 아닌 16개 광역시도, 6개 권역, 혹은 국가 전체에 걸쳐 정의하는 경우 이러한 시장구조와 연구개발활동 간의 관계가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더불어, 연구개발투자를 이의 조달처에 따라 구분하는 경우 해당 기업의 내부 자금에 의한 연구개발투자에 한해 독과점 시장에서 연구개발투자가 보다 활발함을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