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관적 수준에서 초등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Elementary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in the Intuitive Stages

  • 투고 : 2015.03.12
  • 심사 : 2015.09.21
  • 발행 : 2015.09.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직관적 수준에서 초등학생들의 수학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와 연산, 도형 및 측정 영역을 대상으로, 알고리즘에 의한 해결에서부터 직관적 판단에 의해 해결이 가능한 8문제로 구성된 검사 도구를 제작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직관적 수준에 따른 결과 분석에서는 본 연구에서 설정한 분석틀을 따랐다. 분석 결과, 직관적 수준에서 해결 가능한 문제에 대한 정답률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내용 영역별로 살펴보면, 수와 연산 영역에서는 알고리즘 수준에 의한 정답률이 높았지만, 도형 및 측정 영역에서는 직관적 수준에 의한 정답률이 높았다. 결과 분석을 통해 알고리즘 적용에 필요한 요소가 문제에 제시되지 않은 경우에 학생들은 문제 구조에 대한 통찰을 통해 답을 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통찰을 통해 직관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의 개발과 직관적 원리에 의한 교육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udents' mathematics problem solving process in the intuitive stages. For this, researcher develop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problems in relation to intuitive an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73 fifth grade and 66 sixth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 got the conclusion as follows: Elementary students' intu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s very low. The rate of algorithmic problem solving is higher than that of intuitive problem solving in number and operation areas. The rate of intuitive problem solving is higher in figure and measurement areas. Students inclined to solve the problem intuitively in that case there is no clue for algorithmic solution. So, I suggest the development of problems which can be solved in the intuitive stage and the preparation of the methods to experience the insight and intui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익선(역)(1997). 산수 100가지 난문.기문. 서울: 전파과학사.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3. 김영아, 김성준(2013).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에 따른 오류 유형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1), 113-139.
  4. 김창일, 전영주(2014).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교육학 키워드 중심 학습 효과. 한국학교수학회 논문집, 17(4), 493-506.
  5. 김해규(2012). 수학 문제해결과정에서 보이는 초등교사의 직관 수준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4(4), 579-598.
  6. 온기찬(2001). 직관적 사고와 교육. 서울: 학지사.
  7. 윤여주, 강신포, 김성준(2010). 시각화가 초등기하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4), 655-677.
  8. 이대현(2001).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고등학생들의 직관적 사고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이대현(2010).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직관의 특징에 의한 영향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197-215.
  10. 이대현(2011). 초등수학에서 직관적 원리에 의한 교육 내용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283-300.
  11. 이대현(2014). 직관적 수준에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문제해결 과정 분석. 학교수학, 16(4), 691-708.
  12. 전평국, 박성선(2009). 수학교육연구방법-이론과 실제-. 서울: 교우사.
  13. 한명수(역)(1994). 수학 퍼즐 랜드. 서울: 전파과학사.
  14. Davis, P. J., & Hersh, R. (1981). Mathematical Experience.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15.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pp.42-53),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16. Fischbein, E. (1987). Intuition in science and mathematics: An Educational Approach. Dordrecht: D. Reidel Publisching Company.
  17. Hadamard, J. (1945). An essay on the psychology of invention in the mathematical field. Pri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18. Hersh, R. (1997). What is Mathematics, Really? 허민(역)(2003). 도대체 수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경문사.
  19.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 Leikin, R. (2009). Exploring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In R. Leikin, A. Berman, & B. Koichu(Eds.), Creativity in Mathematic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pp. 129-145). Sense Publishers.
  21. Poincare, H. (1908). Science et Methode. 김형보, 오병승(공역) (1982). 과학의 방법. 서울: 단대출판부.
  22. Tall, D. (1991). The Psychology of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In Tall, D.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pp. 3-21).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Tirosh, D. (1991). The Role of Students' Intuitions of Infinity in Teaching the Cantorian Theory. In Tall, D.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pp. 199-214).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