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recommended science books' suitabil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 과학 추천도서의 적합성 분석

  • Received : 2015.10.12
  • Accepted : 2015.12.19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In this study, science recommended book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the screening tool with a number of criteria was produced. In order to develope a screening tool, we examined several previous studies and references. After that, through discussion and exchange of opinions, the preliminary screening tool was made.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Then, detailing questions and modifications have been made by exchange of ideas. And nine science recommended book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recommended books, explora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were received a low rating. Second, description of the scientific knowledge was not sufficient. This discussio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following. First, when selecting recommended books, care should be taken in exploration and the nature of science. Second, a wide range of science trade books needs to study more.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출판되는 과학 추천도서들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출판되고 있는 과학 학습 도서들의 양과 종류는 상당히 많고 다양하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 학교, 도서관에서는 과학 추천 도서 목록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추천도서들은 선정하는 기관에 따라 각각 다르고 다양하기 때문에, 이들 추천도서들이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고 과학 학습 자료로서 적절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여러 문헌들과 선행연구들을 참고하고 면담 및 의견조사를 통해 기준을 추출하고 검토하여 예비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제작한 예비 검사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및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8명의 초등 과학 교육 석사 및 석사과정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통하여 파일럿 테스트 및 일치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의견교환을 통하여 문항을 상세화하고 수정하여 검사 도구를 제작하였다. 그 후 과학도서 추천도서들을 추천기관, 판매량을 고려하여 9권을 선정하였고, 도서 1권당 3명의 평정자가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검토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추천도 서들은 탐구와 과학의 본성영역이 과학태도와 지식영역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평가를 받았다. 둘째, 몇몇 추천도서들 도서에서 다루고 있는 과학 지식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들이 보였다. 셋째, 편집적인 면에서 일부도서는 딱딱한 어조와 일방적인 설명으로의 지식제공으로 학생들이 부담감을 가지고 흥미를 잃기 쉽게 구성되어 있었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추천도서를 선정함에 있어 과학지식뿐만 아니라 탐구와 과학의 본성 측면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 이어 좀 더 추가적인 사후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애(1998).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와 적용. 교육이론과 실천, 8(1), pp.23-44.
  2. 광주광역시교육청(2012). 학교도서관 운영매뉴얼.
  3. 교육과학기술부(2012).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2007).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
  5. 김남두, 강충렬, 박낙규, 우한영, 허경철, 황규호 (1999). 초.중등학교의 독서자료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 개발 연구. 교육부.
  6. 방인태, 김선민, 전인숙, 배창빈 외(2007). 초등학교 독서 교육. 서울 : 역락.
  7. 이경미, 홍영식(2012). 초등과학도서 대출과 과학 학업성취도와의 연관성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지, 23(4), pp.204-215.
  8. 이경화, 박영민, 김승희, 김혜선, 윤숙현(2009). 교과독서와 세상 읽기 :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 박이정.
  9. 이연옥(2006). 아동 및 청소년도서 선정도구 평가에 관한 연구 - 권장도서목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7(2), pp 47-72.
  10. 임영규(2008). 독서자료 선정과 활용. 서울 : 박이정.
  11. 하민수, 차희영(2006). TV 만화와 아동 과학 도서에 의한 진화의 오개념 분석.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4), 352-362.
  12. Halsey, P., & Elliott, S. (2007). Assessing textbook publishers' recommendations for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science. Electronic Journal of Literacy through Science, 6(1), 26-40.
  13. Rice, D. C. (2002). Using trade books in teaching elementary science: Facts and fallacies. The Reading Teacher, 55(6), 552-5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