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대학생들의 학습 과정 분석에 기초한 학습지원 방안 연구 : 수도권 S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Learning Support based on the analysis of learning process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 투고 : 2014.08.12
  • 심사 : 2014.12.26
  • 발행 : 2015.01.31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습과정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가정 아래, 공과대학생들의 학습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습지원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학습과정 분석은 다섯 가지 영역-수업내활동, 수업외활동, 상호작용, 학습성과, 학습지원체제-으로 이루어졌으며, 수도권에 위치한 S대학의 공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T-test, Anova, 위계적선형모형을 활용한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과 교양 수업 만족도는 높았으나,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이나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낮았으며, 고등사고력 활동에 많이 참여하고 있지 않았고 학습성과 역시 낮았다. 학습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수와의 상호작용, 고등사고력 활동, 수업에의 적극적인 참여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고등교육의 질 개선을 위해 수업에의 적극적 참여와 고등사고력 활동을 강조하고 글쓰기 지원 및 교수-학생간 상호작용 활성화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direction to support learning of students in college of engineering. It results from the assumption that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should come with assess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To analyze th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analyzed 5 categories - involvement in and out of instruction, faculty-student interaction, teaching-learning outcomes, and the system of student support. The Research method was questionnaire, and T-test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Major-level of satisfaction in teaching-learning and optional-level of satisfaction in teaching-learning are good. But the degree of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faculty interaction is low, and writing attitude and learning outcomes are not good. Student-faculty interaction, high-order thinking activities and active involvement have a good influence on learning outcomes. So this study suggests to enhance active involvement in instruction, high-order thinking activities, writing skills, and interaction with faculty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higher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진숙, 강소연, 최금진(2009). 공학교육프로그램 인증기준 비교 연구-초기 Washington Accord 가입국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2(4). 1101-1132.
  2. 권오양(2009).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성장 2004-2009. 공학교육, 16(3). 20-29.
  3. 고준환(2009). 공학인증에 대비한 학부 GIS 교과과정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지, 17(1). 145-157.
  4. 기정훈, 주재현, 박재현(2011. 구조방정식을 통한 공학교육인증제도의 성과분석: 공과교육인증 프로그램 졸업생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11(3). 29-45.
  5. 김성광(2010).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에 대한 위계적선형모형의 활용. 호서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6. 김안나.이병식(2003). 대학생들의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요인 분석. 한국교육, 30(1). 367-392.
  7. 김옥란(2010). 공학교육인증제에 따른 교수와 학생의 인식 분석. 금오공과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8. 김은경(2008). 한.미 대학생 학습경험 비료. 교육학연구, 46(3). 1-26.
  9. 김정국, 박재현, 박강(2001). 한국공학교육 인증원 인증기준에 의한 명지대학교 전자공학 전공의 교육요소 및 교과과정 개발. 한업기술연구소논문집, 29. 612-617.
  10. 서정화.백정하(2001). 대학평가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고등교육연구, 12(1). 269-298.
  11. 신선경(2009). 대학 글쓰기 교육과 계열별 글쓰기:공학인증과 공학 글쓰기 교육의 새로운 모델. 27. 63-88.
  12. 신효정.민혜리(2009). 대학생의 학습인식과 교육만족도의 관계: 인문사회계열과 자연.이공계열의 비교. 교육학연구, 47(3). 50-72.
  13. 오성삼 외(1999). 국내 대학평가기구의 발전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연구보고 99-7-184호.
  14. 유현숙고장완.임후남(2011).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및 종합적 사고력에 영향을 주는 학습과정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9(4). 321-339.
  15. 유현숙 외(2010).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16. 유현숙 외(2011).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 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17. 유현숙 외(2012).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 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18. 유현숙 외(2013). 대학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19. 이강우, 박진철(2011).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 건축, 5(6). 66-70.
  20. 이경희, 권혁홍, 이정례, 이성진(2010).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13(6). 57-71.
  21. 이병기(1997). 한국 공학교육 인증위원회(ABEEK) 설립. 공학교육, 4(4). 12-15.
  22. 전영일(2001). 동국대학교 시범인증 경험을 통하여 본 한국공학교육인증 발전을 위한 제언. 공학교육, 8(3). 39-42.
  23. 전주현(2013). 공학교육인증제도 참여 대학생의 공학핵심역량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청구논문.
  24. 전효진, 김학진, 김영욱(2013). 공학교육인증 졸업생과 비인증 졸업생의 취업률 비교 분석. 공학교육연구, 16(1). 64-74.
  25. 주재현.기정훈.임형백(2010).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효과성 평가: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 졸업생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4(3). 55-78.
  26. 최정윤 외(2008). 한국대학의 질적 수준 분석 연구(II). 한국교육개발원.
  27.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3a). 공학인증기준2005(KEC2005). ABEEK-2006-AB-020.
  28.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6b). 공학인증기준2005 설명서. ABEEK-2006-AB-021.
  29. Diseth, A., Pallesen, S., Hovland, A. & Larsen, S. (2006). Course experience, approaches to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 and Training, 48(2/3). 156-169. https://doi.org/10.1108/00400910610651782
  30. Ning, H. K., Downing, K.(2010). Connections between learning experience, study behavior and academic performance: A longitudinal study. Education Research, 52(4). 457-468. https://doi.org/10.1080/00131881.2010.524754
  31. NSSE. (2010). NSSE 2010 Overview. Retrieved from http://nsse.iub.edu/2010_Institutional_Report/pdf/NSSE%200verview2010/pdf
  32. Vygotsky, L.S.(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3. http;//nsse.iub.edu/pdf/nsse_benchmarks.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