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영재교육정책의 진화, 1968-2012: 과학기술인력정책과 영재교육정책의 상호작용

The Evolution of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1968-2012: 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of Human Resource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 투고 : 2015.03.19
  • 심사 : 2015.04.28
  • 발행 : 2015.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정책 목표가 교육에 의한 영재성 발휘보다 국가 사회 발전을 위한 인재양성으로 편향된 것이 과학기술행정부처의 과학영재교육정책에 기인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과학영재교육정책은 과학기술행정부처 중심 정책과 교육행정부처 중심 정책으로 나뉜다. 교육행정부처는 교육적 형평성을 실현을 목표로 영재교육정책을 세웠다. 이와 달리 과학기술행정부처는 경제 발전을 위해 산업에 투입할 고급 과학기술인력양성이라는 관점에서 과학영재에 주목했다. 이들은 상호작용하여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체제를 형성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행정부처가 과학영재교육의 국가 사회적 목표를 강조함으로써 과학기술행정부처의 과학영재교육정책 수립에 대한 정당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보이고, 연구생산성이 높을 시기에 과학영재들이 실질적으로 연구개발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행정부처가 정책적 토대를 만들었다는 것을 보인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of human resource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policy of education for the gifted. In Korea, the goals of gifted education seem to have gravitated more toward serving the national perspective of creating a pool of high-quality scientists for economic development, rather than toward helping individuals achieve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and promote their talents.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can be categorized into two: one primarily by the Ministry of Science (MOST) and another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So far, the policy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has been written by MOE. Such an imbalance has been created because the two ministries differed in their values and priorities. MOST has designed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in order to foster the gifted as high-quality 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at can help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MOE has designed the policy for the gifted with educational equity in mind. Although the policy by MOST had have more influence in implementing overall policies of educating the gifted, the two ministries have interacted and formulated the educational system of gifted in Korea.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that MOST has legitimized their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by designing it in line with the national and social goals, and has formulated a basis on which the gifted can contribute to R&D for economic develop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감, 김명환, 이상천, 하종덕 (2002). 과학영재 교육체제 구축방안에 과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2(1), 61-76.
  2. 경기개발연구원 (2006). 경기도 과학인재 양성방안 연구: 경기과학영재학교 설립 타당성 및 설립 방안을 중심으로. 위탁연구 2006-02. 수원: 경기개발연구원.
  3. 경기과학고등학교 (1988). 경기과학고등학교 5년사. 수원: 경기과학고등학교.
  4. 경향신문 1970. 4. 30일자 2면(사회) 기사: 과학원 신설은 대학발전을 저해.
  5. 경향신문 1979. 8. 2일자 7면(정치) 기사: 중.고과정 영재교육 확대.
  6. 경향신문 1983. 3. 11일자 1면(사회) 기사: 20대 박사과정이 생긴다.
  7. 과학기술기본법. 법률 제6353호. 2001. 1. 16. 제정.
  8. 과학기술기본법. 법률 제9088호. 2008. 6. 5. 일부개정.
  9. 과학기술기본법시행령. 대통령령 제17303호. 2001. 7. 16. 제정.
  10. 과학기술부 (2008a). 과학기술 40년사. 과천: 과학기술부.
  11. 과학기술부 (2008b). 2007 과학기술연감. 과학기술부.
  12. 과학기술부 (200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08-'12) 수정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 10. 23. 제25회 제1호 심의.
  13. 과학기술부 외 (2005). 창조적 인재강국 실현을 위한 이공계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안)(2006-2010년). 과학기술부.
  14. 과학기술부,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2005). 2006년도 과학신동프로그램 추진계획(안). 과학기술부 2005. 12. 22 발표.
  15. 과학기술진흥법. 법률 제4402호. 1991. 11. 22. 전부개정.
  16. 과학기술진흥법시행령. 대통령령 제13645호. 1992. 5. 18. 전부개정.
  17. 과학기술처 (1970). 과학기술연감 1970. 과학기술처.
  18. 과학기술처 (1986a). '86 과학기술연감. 과학기술처.
  19. 과학기술처 (1986b). 제6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계획-과학기술부문계획 1987-1991. 과학기술처.
  20.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8 과학기술연감. 교육과학기술부.
  21. 교육부 (1998). 교육50년사(1948-1998). 교육부.
  22.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교육부.
  23.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08-'12). 교육인적자원부.
  24. 국가과학기술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공계지원 특별법. 법률 제7204호. 2004. 3. 22. 제정.
  25. 교육과학기술부 외 (2008). 인재대국 실현을 위한 이공계인력 육성.지원 기본계획 수정(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8. 11. 18. 제33회 제2호 심의.
  26.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1994). 선진국의 교육 경쟁력 핵심으로서 창의성 영재 교육의 제도화. 제13회-(2) 대통령자문보고.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7.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1999). 과학영재 교육체제 확립 및 운영방안. 대통령 자문보고 99-02.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8.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법률 제4361호. 1991. 3. 8 제정.
  29. 기획재정부 외 (2008). 선진일류국가를 향한 이명박정부의 과학기술기본계획. 교육과학기술부.
  30. 기획재정부 (2011). 창의적 과학기술인재대국을 위한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11 - '15)(안). 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11. 4. 19. 제2회 제2호 심의.
  31. 동아일보 1970. 6. 9일자 6면(과학) 기사: 현대학원강화가 급선무.
  32. 동아일보 1991. 12. 2일자 11면(사회) 기사: 고급두뇌양성과학고교 대학서 설립 지도해야.
  33. 매일경제신문 1971. 1. 28일자 5면(과학) 기사: 70년대의 과학한국.
  34. 매일경제신문 1979. 4. 14일자 7면(사회) 기사: 전국민과학화 부처별로 전담부서설치.
  35. 매일경제신문 1983. 2. 12일자 1면(사회) 기사: 과기처보고 영재교육과정 신설.
  36. 매일경제신문 1984. 10. 18일자 11면(사회) 기사: 과학기술대 86년 개교.
  37. 매일경제신문 1997. 12. 13일자 10면(기획) 기사: 과학기술혁신 5개년 사업계획.
  38. 미래창조과학부 (2013).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13-'17)(안). 국가과학기술심의회. 2013. 12. 19. 제4회 제4호 심의.
  39. 박성익 (2002a). 충분한 이론적 기초와 효과적 실천방안, 미국의 영재교육. 구자억 외 6인 공저 (2002). 동서양 주요국가들의 영재교육. 서울: 문음사, 10-84.
  40. 박성익 (2002b). 평등주의 사회체제에서 매우 다양한 제도와 프로그램 운영, 호주의 영재 교육. 구자억 외 6인 공저 (2002). 동서양 주요국가들의 영재교육. 서울: 문음사, 333-378.
  41. 서정만 (1983). 과학우수학생을 위한 국가정책: 과학영재교육 실천계획 중심으로(상). 과학과 기술, 171, 58-63.
  42. 안미숙 (2002). 일반 교육과 개별화 교육의 조화, 영국의 영재교육. 구자억 외 6인 공저 (2002). 동서양 주요국가들의 영재교육. 서울: 문음사, 85-131.
  43. 영재교육진흥법. 법률 제12844호. 2014. 11. 19. 타법개정.
  44. 오승현 (2002). 영재교육, 주요방향 및 향후 과제. 영재교육연구, 12(2), 81-91.
  45. 오영주 (1998). 대학 부설 영재교육센터의 설립 및 운영 방안. 영재교육연구, 8(2), 149-173.
  46. 이군현 (1990). 한국의 과학영재교육 체제확립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대학.
  47. 이순주 (2002). 개혁과 변화의 원동력, 러시아의 영재교육. 구자억 외 6인 공저 (2002). 동서양 주요국가들의 영재교육. 서울: 문음사, 235-286.
  48. 재정경제부 외 (2001). 과학기술기본계획 2002-2006. 과학기술부.
  49. 재정경제부 (2003). 참여정부의 과학기술 기본계획. 과학기술부.
  50. 재정경제부 (2007). 제2차 과학기술기본계획('08-'12)(안). 과학기술부.
  51. 정부조직법. 법률 제8852호. 2008. 2. 29. 전부개정.
  52. 조석희 (2002). 과학과 예술의 만남, 이스라엘의 영재교육. 구자억 외 6인 공저 (2002). 동서양 주요국가들의 영재교육. 서울: 문음사, 133-185.
  53. 조황희, 이은경, 이춘근, 김선우 (2002). 한국의 과학기술인력 정책. 정책연구 02-18.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4. 카이스트신문 2011. 2. 15일자 344호 (기획.특집) 기사: 한국 최초 이공계 전문대학원의 "위대한 탄생".
  55. 한국과학기술대학의조직과학사운영에관한규정. 대통령령 제11705호, 1985.6.11. 제정.
  56. 한국과학기술대학의조직과학사운영에관한규정. 대통령령 제12135호, 1987.4.7. 일부개정.
  57. 한국교육개발원 (1984).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정책방안연구. RR 84-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8. 한국교육개발원 (2004). 영재교육백서. RM 2004-6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9. 홍성주 (2010). 한국 과학기술정책의 형성과 과학기술 행정체계의 등장, 1945-1967.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60. 홍창기 (1988). 과학고등학교의 교육. 서울: 배영사 .
  61. 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 http://www.imo-official.org/organizers.aspx (검색일: 2015.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