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과학영재교육정책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Evolution of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1968-2012: 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of Human Resource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과학영재교육정책의 진화, 1968-2012: 과학기술인력정책과 영재교육정책의 상호작용)

  • Woo, Saimi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5 no.2
    • /
    • pp.279-298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the interaction of the policy of human resource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policy of education for the gifted. In Korea, the goals of gifted education seem to have gravitated more toward serving the national perspective of creating a pool of high-quality scientists for economic development, rather than toward helping individuals achieve their educational aspirations and promote their talents.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can be categorized into two: one primarily by the Ministry of Science (MOST) and another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E). So far, the policy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has been written by MOE. Such an imbalance has been created because the two ministries differed in their values and priorities. MOST has designed the science education policy in order to foster the gifted as high-quality 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that can help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MOE has designed the policy for the gifted with educational equity in mind. Although the policy by MOST had have more influence in implementing overall policies of educating the gifted, the two ministries have interacted and formulated the educational system of gifted in Korea.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rocess that MOST has legitimized their science education policy for the gifted by designing it in line with the national and social goals, and has formulated a basis on which the gifted can contribute to R&D for economic development.

영재교육, 주요 정책방향 및 향후 과제

  • 오승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2.05a
    • /
    • pp.51-65
    • /
    • 2002
  • 올 3월1일부터 영재교육진흥법이 시행됨에 따라 영재교육이 공교육차원에서 실시되는 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그간 영재교육에 관해서는 필요성을 공감하면서 부작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어 왔다. 그렇지만 1996년부터 판별도구 개발 및 영재교육 시행방안에 대한연구를 계속해왔고, 최근 사회의 급격한 변동, 그에 따라 우수인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작년부터 관계부처간 협의 및 각계의견을 수렴하여 영재교육 추진방향을 정립하게 되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인적자원개발회의(의장: 교육부총리)에서 영재교육 추진방향에 대한 정부차원의 의견을 모으는 한편, 몇 십년 전부터 영재교육을 실시해온 미국을 각 시.도교육청 담당자들과 방문하여 수업현장을 살펴보고, 이스라엘 영재학교 교장을 면담하는 등으로 영재교육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추진해 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올 4월 10일 인적자원개발회의에 '영재의 조기발굴 및 육성에 관한 2002년도 국가인적자원개발 시행계획'을 보고하고, 5월3일자로 부산과학고를 영재학교로 지정하면서 영재교육은 교육정채그이 한 영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여기에서는 현재까지 정립된 국가차원의 영재교육 시행방안에 대한 설명과 함께 앞으로 영재교육이 공교육 제도 안에서 자리잡도록 하기 위한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 PDF

과학영재들의 노벨상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심규철;박종석;박상태;변두원;김여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7-169
    • /
    • 2003
  • 과학영재 교육의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학영재들의 특성, 과학영재의 판별이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학영재들의 과학, 과학자,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 등 여러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해야 한다. 과학영재교육의 중요한 점 중 하나는 우리가 교육하는 과학영재들이 성장해서 그들의 영재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에 있다. 이는 국가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과학기술의 발달과 국가의 발전은 뛰어난 영재들이 기여를 하였으며 그 업적을 통해 국제경쟁 사회를 선도해 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영재 교육의 성공 기준 중 하나로 노벨상 수상을 기대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노벨상만을 목표로 하는 것은 과학영재교육이 왜곡될 수 있으나, 과학영재교육을 통해서 과학 분야에 뛰어난 인재를 양성하고 이들로부터 과학의 수준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노벨상을 수상할 수 있을 것이다. 2002년 노벨 과학상에서 일본은 물리학과 화학 두 분야에서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특히 노벨 화학상을 받은 다나카 고이치는 박사학위도 없는 40대의 평범한 회사원이었다. 그는 일본 과학계를 장악하고 있는 유명 국립대학의 교수도 아니고, 수상 발표 뒤 대부분의 일본 화학자들이 누군지 몰라 당황했을 정도로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었다. 이러한 사건은 일본인들에게 희망을 안겨주었으며 과학 및 과학자에 대한 관심과 투자에 대한 인식에 있어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노벨상 자체가 국가정책의 목표가 될 수는 없지만, 과학자나 국민 개개인들에게 희망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해마다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시점에서 우리들은 아주 오랫동안 방관자가 되어 왔다. 이제 여러 과학영재교육기관 등을 통해서 과학영재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한다면 조만간 상황이 바뀔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택한 이유는 첫 번째가 사회 봉사와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생활의 안정을 꼽고 있었다. 이외에도 과학적 업적 달성을 위해, 자신의 꿈(이상) 실현을 위해 등의 이유를 들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남자 영재와 여자 영재들간에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거의 유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Pearson $X^2$=2.186, p>0.05). 우수한 능력을 소유한 영재들이 과학관련 분야를 선호하지 않는다면 우리나라의 과학 발전은 그리 낙관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영재들을 과학 관련 분야로 이끌어 그들이 소유한 영재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일 것이다. 이룰 위해서는 과학 영재들이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더욱 높여야 하며 그 능력을 과학관련 분야에 발휘하도록 하기 위한 국가적, 사회적,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 노력이 필요하다.~42.1mg$CO_2$/kg.hr였으며 12$^{\circ}C$에서 2.5~8.2mg$CO_2$/kg.hr로 일반적으로 보고되고 있는 토마토 호흡속도와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다.환원당인 sucrose 함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fructose, glucose, sorbitol의 함량(추황의 sorbitol을 제외)은 생장이 촉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총당과 환원당의 측정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의 성장에 따라 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당 함량은 증가하였다.luco-pyranoside, quercetin 7-O- -glucopyranoside, acacetin 7-O-$\beta$-D-glucuronide and apigenin-6-C-$\beta$

  • PDF

A Study on the Gifted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북한의 영재교육 제도 고찰)

  • 강경석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3
    • /
    • pp.221-24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ifted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The study analysed various literature, articles, and internet resources concerning education in general and gifted education in North Ko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cent years North Korea has emphasized gifted education to advance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science. Second, North Korea already introduced the gifted education system by establishing music schools, foreign language schools, art schools, dance schools, and athletics schools in 1960. Third, North Korea has established speci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since 1984. The schools play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the country's science and technology. Fourth, in North Korea there are special cours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the gifted in various fields. Fifth, North Korea has implemented the consistent and interrelated system of gifted education from kindergarten level to higher education level.

  • PDF

Analysis of Trend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과학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 Kim, Hye Won;Jhun, Youngseok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0 no.3
    • /
    • pp.283-29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science gifted education-related research for the last 5 years using LDA topic model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404 keywords of 292 domestic academic papers were analyzed using RISS, KISS, and DBpi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e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has been decreasing since 2019. I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research, the top 10 keywords were 'students', 'program', 'elementary school', 'class', 'creativity', 'gifted education', 'awareness', 'teacher', 'education', and 'activity'. Secon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analysis, 10 topics were derived. Research topics mainly conducted in science gifted education for the past five years ar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Education programs of science gifted high school',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s', 'Policy of science gifted educatio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creativity', 'Research conducting education by science gifted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choice of science gifted students', 'Science concept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the past, the proportion of specific topics was relatively high, but the proportion between topics does not differ significantly as 2019 approaches.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more recent it comes, the mor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evenly without being biased toward one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