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재교육에서의 ICT 교육 도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Teachers' Recognition on Enhancing ICT-related Capabilities of Gifted Students

  • 투고 : 2015.03.08
  • 심사 : 2015.04.06
  • 발행 : 2015.04.30

초록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있어서의 ICT 교육 요소의 도입과 관련하여 영재학생을 지도해야 할 담당 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해 봄으로써, 교사들이 영재교육에서의 ICT 교육에 대한 어떤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 또 그러한 교육을 위해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지 등을 살펴보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영재교육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다양한 학교급의 교사 그룹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1)교사들이 미래사회의 인재를 육성해야 할 영재교육에서 ICT 소양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교사 스스로의 ICT 역량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2)영재교육 활동 중 학생들의 ICT 활용은 자료검색이나 발표자료 제작 등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속히 변화하고 발전하는 ICT의 특성 상, 영재교육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ICT소양교육을 위해서는 SW 프로그래밍 등의 수준 높은 활동이 가능하도록 ICT 능력을 갖춘 교사의 양성 및 현직 교사의 재교육과 함께 HW 및 SW 구비 등 학교 현장의 관련 인프라 확충에 힘쓸 필요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what attitude teachers have toward adopting ICT education to educational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and how ready they are for carrying out ICT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surveyed 191 teachers that are currently working for gifted students in various school levels, from elementary schools to junior high and high school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most teachers recognized that enhancing ICT-related capabilites of gifted students is very important, and (2) ICT-related activities in current education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are limited to the basic level, such as web searching for collecting information and making visual presentations using well-known commercial software. Based on the common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ICT-related capabilites for gifted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training teachers, as well as employing well-trained teachers, should be the first and most important step for ICT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혜숙(2014). 우리나라의 교육정보화 수준과 시사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슈리포트.
  2. 디지털타임스(2014.3.19). 한국 교통카드시스템 유럽 첫 진출.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4032002010151727001
  3. 이재호(2013a). ICT기반 창의적 인재양성: 사람이 CORE다! 정보문화포럼 정책세미나. 5-15.
  4. 이재호(2013b). ICT기반사회에서 발명영재교육. (사)한국영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3-55.
  5. 이재호(2013c). ICT기반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 모델 : CORE2. 정보문화포럼 정책 세미나. 3-23. 2013. 11. 25.
  6. 이재호, 박경빈(2013). 초등 정보과학 및 수과학 분야 영재학생들의 ICT 활용실태 분석.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1), 63-71.
  7. 이재호(2014). 생활속 ICT의 발견. 도서출판 정일.
  8. 이재호, 박경빈(2014). 발명영재들의 ICT 관련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24(3), 463-477. https://doi.org/10.9722/JGTE.2014.24.3.463
  9. 전우천(2010). 초등정보영재 교육과정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347-368.
  10. 전자신문(2014.4.28). LG CNS, 말레이시아 우정공사 우편물류 솔루션 수출. http://www.etnews.com/201304280134
  11.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2014). ICT산업의 GDP 비중. http://www.itstat.go.kr/
  12. Amdreessen, M.(2011). Why Software Is Eating The World. The Wall Street Journal. 2011.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