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성공적인 성취자의 심층 면담을 통한 영재교육의 방향성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through Deep Interview of Socially Succeeded People

  • 투고 : 2015.02.03
  • 심사 : 2015.04.29
  • 발행 : 2015.04.30

초록

이 연구는 사회적으로 성공한 인사들의 성취에 영향을 준 요인을 조사하고 영재교육의 개선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성취자 60명을 대상으로 6개 분야(교육, 전공, 가정 및 부모, 대인관계, 여가시간, 업적 및 성공요인)에 대해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성취자들은 적극적인 학생이었으며, 가정은 화목하고 자율적이었고, 차별화 교육 및 학생 중심의 교육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개인적으로는 멘티를 지도하고 있지 않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전공 결정 및 교육은 재능과 흥미의 발견 시기에 맞춰 이뤄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여가시간 활동으로는 운동, 음악, 독서를 중요시하였으며, 성취의 원동력이 된 것은 호기심, 자신감 등 개인 내적 특성이었다. 영재교육을 수혜한 성취자들은 영재교육의 경험이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면담 결과를 영재교육의 개선 방향과 관련지어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ed achievement of socially succeeded people, and to draw ways to improve gifted education. To do this, we interviewed 60 achievers. The interview was administrated as semi-structured deep interview about 6 areas - education, major, family and parent, personal relationship, leisure time activity, achievement and motivation of success. The results showed that achievers were active students during their school days. They thought differentiated education and student-centered lessons are important. Many achievers answered they do not have any personal mentee, and decision of majors and education should be matched with the perception of one's potential and interest. Exercises, music, and reading books were strongly suggested as leisure time activities, and the key inner factors for success were curiosity and self-confidence. Beneficiaries of gifted education perceived their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chievement. Based on the these results, ways to improve gifted education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13 -'17).
  2. 김언주, 이군현, 문정화 (2000). 과학고등학교 졸업생에 대한 추적 조사 연구. 영재교육연구, 10(1), 55-74.
  3. 문윤희, 한기순 (2010). 창조적 성취자를 키운 동서양 양육자의 특성 비교. 영재교육연구, 20(2). 395-426.
  4. 미래창조과학부 (2013).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13 -'17).
  5. 박경빈 (2010). 한국 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https://doi.org/10.9722/JGTE.2012.22.4.823
  6. 심재영, 김언주, 김종득 (2006). 과학영재관련 제2차 종단 연구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인재 양성현황 분석 및 정책개발. 한국과학재단.
  7.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 (2012). 추적 연구를 통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의 진로탐색. 한국교육, 39(3), 85-105.
  8. 한국교육개발원 (2004). 영재성의 발달 및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종단 연구(2004-2018) : 1차년도 연구(검사도구 개발을 중심으로).수탁연구 CR2004-41.
  9. 한국교육개발원 (2005). 영재성의 발달 및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종단 연구(2004-2018) : 2차년도(조사 대상자 선정 및 횡단 분석. 수탁연구 CR2005-35.
  10. Benbow, C.P. (1992).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nd science of students between ages 13 and 23: Are there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the top one percent of mathematical abil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 51-61. https://doi.org/10.1037/0022-0663.84.1.51
  11. Benbow, C.P., & Lubinski, D. (1995). Optimal development of talent: Responding educationally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Educational Forum.
  12. Clark, B. (2010). 영재교육과 재능계발. [김명숙, 서혜애, 이미순, 전미란, 진석언, 한기순,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7).
  13. McAdams, D.P. (1993). The stories we live by: Personal myths and the making of the self. New York: William Morrow.
  14. McAdams, D.P. (2006). The Redemptive Self: Stories Americans Live B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5. Penner-Williams, J.& Elizabeth, S. (2007). High Level Thinking through Online Debate. In R. Carlsen et al.(Eds.), Proceedings of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2007 (pp.919-924).Chesapeake, VA: AACE.
  16. Perleth, C., & Heller, K.A. (1994). The Munich longitudinal study of giftedness. Subotnik, Rena Faye (Ed); Arnold, Karen D.(Ed), (1994).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 giftedness and talent. pp.77-114.
  17. Terman, L.M., & Oden, M.H. (1959). The gifted group at mid-life: Thirty-five years' follow-up of the superior child.Genetic studies of genius: Vol.5.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2 June 2013.
  18. Weber, K., Maher, C., Powell, A., & Lee, H.S. (2008). Learning opportunities from group discussions: Warrants become the objects of debat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8(3), 247-261. https://doi.org/10.1007/s10649-008-91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