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학교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의 직업가치관 구조분석: 사회네트워크적 접근

Analyzing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Values of Career: Social Network Approach

  • 투고 : 2015.01.28
  • 심사 : 2015.04.23
  • 발행 : 2015.04.30

초록

직업가치관은 학생들의 직업동기 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지속가능한 미래 과학기술인력 공급과 육성을 위해서 과학영재들의 이공계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형성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연구는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자신의 희망 직업과 관련된 직업 가치관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희망하는 직업과 그 직업을 선택한 이유에 해당하는 직업가치관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한 후, 사회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산출된 네트워크의 구조적 지표들을 바탕으로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크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 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학생들은 창의성을 가장 중요한 직업가치관 요소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들은 직업선택 과정에서 일반학생들보다 다양한 직업가치관 요소들을 고려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영재들은 이공계열과 의약계열 직업 모두에 대해서 능력발휘와 같은 자아실현 관점을 중심으로 직업가치관을 고려했으나, 일반학생들은 사회봉사를 가장 큰 직업가치관 요소로 보고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생들의 희망 직업에 대한 직업가치관 구조가 일반학생과 많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과학영재학생들의 진로 직업을 지도하는데 있어 직업가치관과 관련된 네트워크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career play a core role in formation of their career motivation. In particular, science gifted students should build sound values of career in science and technology so that our society can retain the human resources for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ucture of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job and values of career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ically, we first collected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preferred careers and the reasons of the career choice using survey method. Then, we structuralize semantic networks of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their preferred career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We identified the characters of networks that two different student groups showed based on the structure matrix indice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Findings revealed that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the creativeness as the most important value of career. Second,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more diverse values of career than general students. Third, science gifted students considered the self-realization such as displaying capability as a core value of career in STEM and medical science whereas general students considered the community service as a core value of the careers. This study identifi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ience gifted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values of careers. The structures of students perceived values of careers can be used for teachers to counsel their students about students' future care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희(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2. 권혁천, 하민수, 정덕호, 이준기(2012). 초등 영재학생의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교우 관계 분석. 영재교육연구, 22(3), 757-777. https://doi.org/10.9722/JGTE.2012.22.3.757
  3. 김경순, 신석진, 임희준, 노태희 (2008).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와 직업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90-900.
  4. 김미영, 최경희(2014). 중학교 과학우수아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6), 193-209.
  5. 김수겸, 유미현(2012).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22-124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222
  6. 김용학(2003). 사회 네트워크 이론. 서울 : 박영사.
  7. 김은숙, 안유민, 정원영, 계영희, 김희백, 노태희, 유준희, 이경우, 최승언, 김찬종(2014). 이공계와 의약계 진로 희망 초등학생의 진로 선택 이유, 과학과목과 수학과목 선호도,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포부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79-786.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8.0779
  8. 김정숙(2006). 중학생의 직업가치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7(1), 79-102.
  9. 매일경제(2014). 과학영재마저 의대로 올림피아드 참가학생 5명중 1명...혈세낭비 지적도. 10월 1일.
  10.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4). 교육학 용어 사전. 서울: 도서출판 하우.
  11. 손동원(2002). 사회 네트워크 분석. 서울 : 경문사
  12. 심준섭(2011). 언어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한 갈등 프레임의 분석. 한국정책연구, 20(2), 183-212.
  13. 심준섭, 김지수(2010). 갈등당사자의 프레임과 프레임 변화과정 분석. 행정논총, 48(4), 229-261.
  14. 아시아경제(2014). 서울대.카이스트 포기자...의.약대로 간다. 10월 15일.
  15. 안미정, 유미현(2012).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진로인식, 과학 선호도 및 과학자의 정형화된 이미지 비교. 영재교육연구, 22(3), 527-550. https://doi.org/10.9722/JGTE.2012.22.3.527
  16. 양한주(1998). 중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직업선호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이준기, 이태경, 신세인, 정덕호, 오상욱(2013). 중등학생들이 생각하는 융합인재에 대한 이미지 유형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7), 1486-1509.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7.1486
  18. 이준기, 하민수(2012).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과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23-840.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823
  19. 이지연, 조현주, 윤지원(2014). 제18대, 19대 대표발의안을 중심으로 본 국회의원 및 상임의원회의 입법활동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2(2), 11-25. https://doi.org/10.14400/JDC.2014.12.2.11
  20. 이혜숙, 최경희, 이재경, 마경희, 이기순(2005). 직업인으로서의 과학기술자 및 여성 과학기술자 그리고 역할모델에 대한 중 .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84-196.
  21. 임언, 정윤경, 장경아(2001). 중.고등학생을 위한 직업가치관검사 실시 요강.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2. 정덕호, 이준기, 김선은, 박경진(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교육과정 목표와 교과서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지구과학I 을 중심으로 - . 한국지구과학회지, 34(7), 711-726. https://doi.org/10.5467/JKESS.2013.34.7.711
  23. 정범모(1972). 가치관과 교육. 서울: 배영사.
  24. 한국과학창의재단(2012).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이해도 조사 결과 보고서.
  25. 황희숙, 강승희, 황순영(2010). 과학영재의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351-368.
  26. Archer, L., Dewitt, J., Orsborne, J., Dillion, J., Willis, B., & Wong, B. (2010). "Doing" science vs."Being a scientist": Examining 10/11-years-old schoolchildren's constructions of science through the lens of identity. Science Education, 94, 617-639. https://doi.org/10.1002/sce.20399
  27. Goodale, J.G., & Hall, D.T. (1976). Inheriting a career: The influence of sex, values, and par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1, 48-60
  28. Kinnane, J.F., & Pable, M.W. (1962). Family background and work value orient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9(4), 320-325. https://doi.org/10.1037/h0045208
  29. Lebo, R.B., Harrington, T.F., Tillman, R. (1995). Work values similarities among students from six countrie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3(4), 350-362.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5.tb00439.x
  30. Lent, R.W., Brown, S.D., Hackett, G. (2000).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7(1), 36-49. https://doi.org/10.1037/0022-0167.47.1.36
  31. Leung, S.A. (1998).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choice congruence of gifted and talented high school students. Counseling Psychology Quarterly, 11(3), 325-335. https://doi.org/10.1080/09515079808254064
  32. Lindsay, P., & Knox, W.E. (1984). Continuity and change in work values among young adult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9, 918-931. https://doi.org/10.1086/227950
  33. Madrill, H.M., Montgomery, T.C., Stewin, L.L., Fitzsimmons, G.W., Tovell, D.R., Armour, M.A., & Ciccocioppo, A.L. (2000). Young women's work values and role salience in grade 11: Are there changes three years later?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9(1), 16-28.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0.tb00748.x
  34. Newman, M.E.J. (2001). The structure of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 USA, 98(2), 404-409. https://doi.org/10.1073/pnas.98.2.404
  35. Rhodes, S.R. (1983). Age-related differences in work attitudes and behavior: A review and conceptual 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93, 328-367. https://doi.org/10.1037/0033-2909.93.2.328
  36. Schulenberg, J., Vondracek, F.W., & Kim, J. (1993). Career certainty and short-term changes in work values during adolescence.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41, 268-284. https://doi.org/10.1002/j.2161-0045.1993.tb00377.x
  37. Scott, J. (1991). Social Network Analysis : A Handbook, London : Sage Publications.
  38. Shore, L.M., Goldberg, C.B., & Cleveland, J.N. (2003). Work attitudes and decisions as a function of manager age and employee ag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3), 529-537. https://doi.org/10.1037/0021-9010.88.3.529
  39. Simpson, R.D., Koballa, T.R., Oliver, J.S., & Crawley, F.E. (1994). Research on the affective dimension of science learning. In D.L.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211-234).
  40. Slocum, J., & Cron, W. (1985). Job attitudes and performance during three career stag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6, 126-145. https://doi.org/10.1016/0001-8791(85)90013-2
  41. Tai, R.H., Liu, C.O., Maltese, A.V., & Fan, X. (2006). Planning early for careers in science. Science, 312(5777), 1143-1144. https://doi.org/10.1126/science.1128690
  42. Thompson, O. (1966). Occupational value in high school students.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44(8), 850-853. https://doi.org/10.1002/j.2164-4918.1966.tb03607.x
  43. Wagman, M. (1965). Sex and age differences in occupational values.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44, 258-262. https://doi.org/10.1002/j.2164-4918.1965.tb03514.x
  44. Walberg, H.J. (1982). Improving educational standards and productivity: the research basis for policy. Berkeley: McCutchan.
  45. Woolnough, B.E. (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6), 659-676. https://doi.org/10.1080/095006994016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