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문항의 구인타당화

The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cale for Screening the Qualified Teachers for the Gifted in Music

  • 원영실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 Won, YoungSil (Korea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for the Gifted in Arts)
  • 투고 : 2015.03.06
  • 심사 : 2015.04.14
  • 발행 : 2015.04.30

초록

이 연구는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가 지녀야 할 자격 조건을 수렴하고, 수렴된 조건을 바탕으로 평가문항을 제작한 후, 그 문항에 대한 구인타당화를 도모함으로써 음악(국악)영재의 선발 및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궁극적으로는 예술영재교육의 내실화 및 체계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문항의 문항분석을 위하여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추정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최종 41문항을 수렴하였고, 전통음악을 포함한 음악영재 담당교사가 지녀야 할 심리학적 구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가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도 추정 결과 높은 신뢰도 수준(r=.974)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문항이 영재교육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교사 평가도구임을 반영해준다.

Teachers in music(including Korean traditional music) gifted education are a significant variable in both identifying the giftedness of students and a successful i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cale for Screening the Qualified Teachers for the Gifted i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SSQTGM),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SQTGM.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dministered the SSQTGM to 175 teachers of gifted students aged between 13 and 15 in middle schools for the arts. To validate the SSQTGM, I analyzed the criteria of the SSQTGM, and conducted an exploratory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 also examined an internal consistency.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 finally collected 41 items of the SSQTGM. Futhermore, I could identify psychological constructs of the qualified teachers for the gifted in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In consequence of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he model provided a good fit to observe data. As a result of the reliability analysi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knowledge in the music(korean traditional music) verified cronbach's ${\alpha}=.937$, and the expertise of the class management and instruction verified cronbach's ${\alpha}=.942$. Also, the teachers' aptitude and personality verified cronbach's ${\alpha}=.963$. This result of the construct validation reflects the fact that the SSQTGM is an available scale that can be applied in gifted education field instantl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휘 (1996). 영재학생의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필요충분조건들: 가정.영재자신.학교의 역할. 서울: 원미사.
  2.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 박경희, 서혜애 (2007). 영재교육 교사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77-98.
  4. 박창언, 서혜애(2010). 영재교육기관 교원자격에 관한 법 규정의 검토. 영재교육연구, 20(1), 231-256.
  5. 성태제 (2005). 현대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6. 원영실 (2011). 음악영재성 선별을 위한 교사관찰정보지의 개발 및 적용. 음악과 문화, 25, 147-176.
  7. 원영실 (2013). 음악(국악)영재성 선별을 위한 교사관찰정보지(OSTG)의 구인타당화. 영재교육연구, 23(1), 1-24. https://doi.org/10.9722/JGTE.2013.23.1.1
  8. 원영실, 김은경 (2014). 음악(국악)영재 담당교사 평가지표 개발. 영재교육연구, 24(2), 191-215. https://doi.org/10.9722/JGTE.2014.24.2.191
  9. 한국교육개발원 (2011).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 방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 교사 관찰추천제 바로 알기. 한국교육개발원 학부모자료집.
  10.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238-246. https://doi.org/10.1037/0033-2909.107.2.238
  11.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 Sage.
  12. Croft, L. J. (2003). Teachers of the gifted: Gifted teachers. In N. Colangelo & G. 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Boston, MA: Pearson.
  13. Karnes, F A., & Stephens, K. R. (2008). Achieving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 Old Tappan, NJ: Pearson Education Inc.
  14. Vidergor, H. E., Eilam, E. B. (2012). Israeli teachers' perception of gifted teachers' desired characteristics: A case cultural orientation. Roeper Review, 34(1), 26-37. https://doi.org/10.1080/02783193.2012.627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