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등학교급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전문성 요소와 차이: 과학고 수학·과학 교사를 중심으로

Elements and Changes of Teacher Expertise for the Science Gifted : Focused o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ers in Science High Schools

  • 투고 : 2015.01.02
  • 심사 : 2015.03.27
  • 발행 : 2015.04.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급 과학영재 지도교사에게 필요한 전문성의 요소를 도출하고, 과학고 수학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전공지식, 탐구지도, 교과교육, 학생지도, 학교업무로 크게 다섯 가지 요소와 각 하위 요소들을 추출하고,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전국 19개 과학고, 총 284명의 수학 과학 교사들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전문성 요소별로 바람직한 과학고 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준과 자신의 수준을 조사하여 비교하였으며, 과학고 재직 경력에 따른 차이, 학위의 종류(이학, 교육학)와 최종학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향후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elements of teachers'expertise for the science gifted in science high school, and examined teacher perceptions of expertise.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expert consultations, 5 categories such as subject knowledge, inquiry teaching, pedagogical knowledge, student guidance and school work were derived. Based on these 5 categories and sub-element,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Total 284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ers from 19 science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responded to the survey. The desirable level of expertise and current level of responding teachers' own expertise were examin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and group comparisons were accomplished according to teacher career, type of degree and final degree.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the science gift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감, 최선영 (2004).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6, 137-160.
  2. 곽영순 (2003). 좋은 수업을 하는 현장 교사들이 제안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방안.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17-127.
  3. 곽영순 (2006). 중등 과학교사들이 말하는 교과교육학지식의 의미와 교직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27-536.
  4. 김혜숙 (2003). 교원 '전문성'과 '질'의 개념 및 개선전략 탐색. 교육학연구, 41(2), 93-114.
  5. 김홍섭 (2007).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수분장 실태와 개선 방안. 경성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박경희, 서혜애 (2007).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영재교육연구, 17(1), 77-98.
  7. 박지은, 이봉우 (2012).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교과교육학연구, 16(2), 587-601.
  8. 박현주 (2005). 초임 중등과학 교사의 과학교수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421-430.
  9. 서경혜 (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10. 서예원, 김아름, 문대진, 김효미 (2014). 2013 영재교육 통계 연보. 한국교육개발원, 통계자료 SM 2014-01.
  11. 서혜애, 박경희, VanTassel-Baska, J. (2005). 영재교육 교원 전문성 계발 연구.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5-38.
  12. 성태제 (2007).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13. 심재호 (2006). 과학교사 전문성과 실험 연수에 대한 중등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1), 27-37.
  14. 여성희, 강순자, 심규철 (2003). 중등과학교사 교원연수 실태 및 인식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4), 339-346.
  15. 오필석, 이선경,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 전찬희, 오세덕 (2008). 과학 교사 전문성 연구의 방법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47-66.
  16. 윤미라 (2010). 초등학교 영재교육 담당 교사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실행 수준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7. 이영준 (2002). 요인분석의 이해. 석정; 서울.
  18. 이혜정 (2010).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사 전문성 신장방안 탐색: 교사 견해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18(3), 77-102.
  19. 정진철, 유미현 (2013).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영재교사의 전문성 인식 및 교수효능감 비교. 영재교육연구, 23(5), 751-769. https://doi.org/10.9722/JGTE.2013.23.5.751
  20. 최경희 (2002). 과학교사들의 현직 연수에 대한 인식과 개선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89-103.
  21. 최호성, 박인호, 서혜애, 정현철 (2009). 과학영재학교 확대에 따른 과학영재교육의 질 제고 방안. 한국과학창의재단.
  22. Barnett, J.& Hodson, D. (2001). Pedagogical Context Knowledge: Toward a Fuller Understanding of What Good Science Teachers Know. Science Education, 85, 426-453. https://doi.org/10.1002/sce.1017
  23. Garet, M., Porter, A., Disimone, L., Birman, B., & Yoon, K. (2001). What Makes Professional Development Effective? Result From a National Sample of Teache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8(4), 915-945. https://doi.org/10.3102/00028312038004915
  24.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국가과학교육 기준 [서혜애, 오필석, 홍재식 역]. 서울: 교육과학사.
  25. Tyler, R. (2007). School Innovation in Science: A Model for Supporting School and Teacher Development.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 189-216. https://doi.org/10.1007/s11165-006-9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