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 Focusing on 'Happy Family Life and Culture Led by Family' Unit of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배려와 나눔 실천을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 고등학교 기술·가정 '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5.11.14
  • Accepted : 2015.12.24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to improve character of highschool students through Home Economics subject.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consisting of 13-session lessons has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for the unit of 'Happy Family Life and Culture led by Family'. The unit was divided into two themes: Theme I caring through sharing and Theme II caring through practice. Six practice elements of caring and sharing such as communication, gratitude, courage, love, empathy, and environment drawn from Theme I are applied to Theme II. Various activities and teaching materials as well as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The plan was applied to 8 classes, 287 freshmen of S highschool in Jeonju-si from March to May, 2014. Three factors were drawn from 35 character-related items: self-perception, perception of caring and sharing, and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These factors were related to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Two factors except self-perception improved through 13 lessons. Students evaluated that the whole caring and sharing practice lessons of Theme I and II gave them the chance to realize a actual practice in everyday life was important even with small efforts such as cooking for special family. Also students commented that the praising workbook was impressive. All 23 items of evaluation gained from over 3.5 to 4.2 on 5-point scal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the practice of caring and sharing for the unit of 'Happy Family Life and Culture led by Family' would improve character of highschool students through the Home Economics subject.

본 연구는 급변하는 교육환경에서 더욱 요구되는 인성을 갖춘 학습자 역량을 기르기 위해 고등학교 기술 가정 교과서 '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배려와 나눔 실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평가하였다.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배려와 나눔 실천 교수 학습 과정안 테마 I과 II 개발, 학생 활동 및 결과물 평가, 사전 사후 설문지 평가 3부분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13차시분의 배려와 나눔 실천 교수 학습 과정안은 테마I(나눔으로 통하는 배려)과 테마 II(실천으로 통하는 배려)로 나누어, 테마 I은 '건강한 가족문화'와 '지속가능한 소비생활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총 5차시분을, 테마 II는 '의식주 생활 속 배려와 나눔' 단원을 중심으로 총 8차시분을 개발하였다. 둘째, 테마 I에서 추출된 배려와 나눔 실천 요소(소통, 감사, 용기, 사랑, 공감, 환경)를 우리나라 가정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가족의 상황(맞벌이, 한부모, 다문화, 장애인, 3세대, 수험생 가족)에 맞게 테마 II에 적용한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모둠별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가족과 이웃 그리고 환경을 고려한 배려와 나눔 실천 활동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셋째, 사전 검사로 실시한 청소년 인성 측정 문항의 요인 분석 결과 자아인식, 배려와 나눔 인식, 배려와 나눔 실천 3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대상자의 가족관계 만족도나 학교생활 만족도가 높을수록 세 인성 변수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배려와 나눔 실천 수업 활동 결과,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적용되었고 배려심, 배려와 나눔 실천 능력 향상과 인성 함양에도 도움이 되었다. 학생들은 배려와 나눔 실천 수업을 통해 배려와 나눔 실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알게 되었고 실천에 대해 더욱 관심 갖게 되었으며, 연구자 역시 배려와 나눔 실천 활동 수업이 학생들로 하여금 일상 생활에서도 배려와 나눔 공동체 문화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인성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수업을 진행하는 내내 보람과 행복감을 느꼈다. 이에 따라 가정 교과가 인성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장 적합한 교과로 자리매김 하는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Cited by

  1.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영역 분석 연구 - 청소년의 소비 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vol.28, pp.2, 2016, https://doi.org/10.19031/jkheea.2016.06.28.2.79
  2. 충북지역 취약계층 아동을 위한 가정배달 반찬도시락의 섭취현황 및 만족도 vol.29, pp.5, 2015, https://doi.org/10.9799/ksfan.2016.29.5.716
  3.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년 역사의 성과와 가정과교육의 미래 비전과 사명 vol.31, pp.4, 2015, https://doi.org/10.19031/jkheea.2019.12.31.4.163
  4. 전통 생활 문화 교육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통 문양과 오방색을 중심으로 vol.32, pp.1, 2015, https://doi.org/10.19031/jkheea.2020.03.3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