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별 이동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Mathematics achievement - Utiliz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

  • 투고 : 2015.02.24
  • 심사 : 2015.03.28
  • 발행 : 2015.03.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하여 기존의 연구들을 분석하고, 특히 학교수준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학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선택편의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의 6차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사용하여 수학 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이 수학성취도의 지표인 수능 수리영역 표준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수준별 이동수업과 수학성취도 사이의 양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수준별 이동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 정책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mathematics achievement empirically. We use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method to minimize selection bias and estimate the effect of ability grouping on the mathematics standard score of Scholastic Ability Test with the KELS(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6th stage data. The result indicated that relationship between ability grouping and mathematics achievement is positive and Policy efforts is needed to operate ability grouping effectivel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상진.황정원 (2010). 학교책무성 체제에서 학업성취도에 기초한 학교성과지표는 중등학교 학교평가 지표로서 적합한가? : 학교효과 이론에 의한 타당도 검증, 교육학연구, 48(1), 23-52.
  2. 김근진.이현철 (2010). 사립학교가 중학교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 경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교육행정학연구, 31(1), 31-52.
  3. 김기석 외 (2009). 하향평준화 현상의 실증 분석 - 고입 전형방식에 따른 학생 성적 변화의 비교, 교육사회학연구, 19(1), 29-54.
  4. 김달효 (2006). 능력별 집단편성의 비판적 이해. 서울 : 시그마프레스.
  5. 김대석.조호제 (2013). 수준별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수학교과 수준별 이동수업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26(2), 1-24.
  6. 김민성 (2010). 초.중.고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수준, 학교수준 변인의 효과: 학교급별, 상.하위 학교집단 간 비교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자료 분석 심포지엄, OMR 2010-55.
  7. 김소영.김진한 (2011). 학교 특성이 중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49(4), 205-229.
  8. 김양분, 박병영, 남궁지영, 황지희 (2007).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중학교 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7-21.
  9. 김재춘 (1997). 다시 생각해 본 수준별 교육과정 :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편성, 운영논의와 관련된 몇 가지 쟁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15(2), 19-50.
  10. 남궁지영, 김위정, 김양분 (2012).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 1-3주기 초.중.고등학교 종합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2-23.
  11. 남궁지영.김위정 (2014). 수학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급별 특성 비교 분석, 교육평가연구, 27(1), 231-254.
  12. 박현정 (2010).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와 수학 성취도 및 수학 수업이해도간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교육평가연구, 23(4), 887-907.
  13. 박혜숙 (2012). 수학교과 사교육 경험패턴, 성별, 자율학습시간과 수업이해도 탐색, 교육심리연구, 26(3), 695-716.
  14. 배호순(2000).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국내외 연구성과의 메타분석, 한국교사교육, 17(1), 279-313.
  15. 성열관 (2008). 수준별 교육과정의 감환된 의미로서 영어, 수학 이동수업의 효과성 검토, 교육과정연구, 26(2), 167-189.
  16. 안종수 (2014), 학급 내 수준별 협동학습이 수학 학업성취도 및 협동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4), 465-492.
  17. 이현철 (2010). 수학.과학 학업성취도 결정요인 종단연구, 과학교육연구지, 34(1), 1-11.
  18. 임선아 (2011). 부모와 학생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에 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25(4), 811-833.
  19. 임현정, 김양분, 장윤선, 기경희 (2008). 학교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초등학교 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8-3-2.
  20. 임현정, 김양분, 신혜숙, 신종호, 이광현(2011).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III): 초등학교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1-22.
  21. 정혜경 (2012). 비실험 연구에서 인과효과 추정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교육학연구, 50(3), 29-50.
  22. 황여정 (2008).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연구, 14(1), 71-101.
  23. 황혜정 (2006), 국가 수준에 준하는 수학과 수준별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활용,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3), 317-345.
  24. Ainsworth, J. W. (2002). Why does it take a village? The mediation of neighborhood effects on educational achievement, Social Forces, 81(1), 117-152. https://doi.org/10.1353/sof.2002.0038
  25. Alexander, L., & Simons, J. (1975). The Determinants of School Achievement in Developing Countries, World Bank Staff Working Paper.
  26. Coleman, J. S. et al.(196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 W.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27. Coleman, J. S. et al (1982). Achievement and Segregation In Secondary Schools: A Further Look At Public And Private School Differences, Sociology of Education, 53, 162-182.
  28. Finn, J. D. & Rock, D. A. (1997). Academic success among students at risk for school failure,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2), 79-92. https://doi.org/10.3200/JOER.98.2.79-93
  29. Guay, F., Larose, S., & Boivin, M. (2004). Academic self-concept and educational attainment level : A ten-year longitudinal year, Self and Identity, 3, 53-68. https://doi.org/10.1080/13576500342000040
  30. Hoffer et al. (1985). Achievement Growth In Public And Catholic Schools, Sociology of Education, 58, 74-97. https://doi.org/10.2307/2112249
  31. Hoy & Miskel (2005).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7th ed. The McGraw-Hill.
  32. Keliher, A. C. (1931). A critical study of homogeneous grouping, Bureau of Publication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33. Kulik, J. A. (1991). Findings on grouping are often distorted : Response to Allan, Educational Leadership, 48(6), 67.
  34. Marsh, H. W. & Yeung, A. S. (1997). Causal effects of academic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 Structural equation models of longitudinal data,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9(1). 41-54.
  35. McDill & Nariello (1986). Performance Standards, Student Effort On Homework, And Achievement, Sociology of Education, 59, 18-31. https://doi.org/10.2307/2112483
  36. Miller, W. S., & Otto, H. J. (1930). Analysis of experimental studies in homogeneous group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1, 95-102. https://doi.org/10.1080/00220671.1930.10880020
  37. Oakes, J. (1985). Keeping track, New Haven CT : Yale University Press.
  38. Rosenbaum, P.R. and Rubin, D.B. (1983).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70, 41-55. https://doi.org/10.1093/biomet/70.1.41
  39. Stuart E.A. (2007). Estimating causal effects using school-level data sets, Educational Researcher, 36(4), 187-198. https://doi.org/10.3102/0013189X07303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