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가적 지향성에 대한 이론적 동향 연구

A Theoretical Review of Research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Yoon, Hyun Joong (College of Business Administr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5.07.10
  • 심사 : 2015.10.06
  • 발행 : 2015.10.31

초록

기업가적 지향성의 개념은 "시장기회에 직면한 기업이 혁신적이고 위험을 감수하고 적극적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성"으로 파악되고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에 대한 연구는 지난 30년 동안 많은 논의를 통하여 개념적인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 현재 독자적인 이론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기업가적 지향성에 대한 초기 연구는 경영성과와 연계되는 메커니즘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관계를 촉진하거나 혹은 제약하는 상황적인 조건들에 주목하여 다양한 맥락에서 기업가적 지향성이 경영성과를 증대시키는 메커니즘을 파악해 오고 있다. 하지만 비록 기업가적 지향성이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논의들에도 불구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의 효과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있는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기업가적 지향성과 관련된 주요 실증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분류하고 종합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선 기업가적 지향성의 개념을 처음 제안한 Miller(1983)의 최초 연구부터 이를 회고한 Miller(2011)의 연구에 이르기까지 창업론 분야의 주요 저널에 게재된 기업가적 지향성과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보고하고 있는 분석결과들을 종합하여 기업가적 지향성의 '주효과'와 관련된 대표적인 연구를 소개하고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매개효과' 연구를 정리하고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환경특성과 조직특성이라는 주요 상황적 맥락을 기반으로, 기업가적 지향성의 성과 효과를 조절하는 주요 '조절효과' 연구들을 정리하고 종합하였다. 마지막으로, Miller(2011)의 연구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론적, 방법론적인 제안을 기반으로 기존 연구들에서 밝혀진 바는 무엇이며,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hereafter) can be described as firm level entrepreneurial tendencies. Initially Miller(1983) clarifies the construct of EO, and defines an "entrepreneurial firm as one that engages in product marketing innovation, undertakes somewhat risky ventures, and is first to come up with proactive innovations, beating competitors to the punch". After Miller (1983), Covin & Slevin(1989) adopted EO as a uni-dimensional construct, and insisted that these three dimensions can be combined into a single scale. Since Covin & Slevin(1991), researchers including Lumpkin & Dess(1996) have explored the usefulness of EO. However not many attempts have been tried to summarize the results of previous empirical researche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examine and find implications, current study classified the effects of EO as 1) main and mediating effects, 2) moderating effect, 3) other effects, and provide theoretical and empirical validation of EO, which suggested by Miller(2011). After analyzing research results published in major international and Korean journals in each research domain, current paper summarizes and evaluates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then suggests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In doing so, we hope to provid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nsight for management of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