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Performance

  • 투고 : 2014.10.15
  • 심사 : 2014.12.06
  • 발행 : 2015.02.28

초록

본 연구는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역할수행, 셀프리더십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491명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스트레스 대처전략 질문지(박창순, 2005),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셀프리더십 질문지(박동현, 2014)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임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중 소극적인 대처방식은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적극적 대처방식은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초임유아교사의 적극적 대처방식은 셀프리더십을 통해서도 역할수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초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높을수록 교사가 경험하는 역할수행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경로는 셀프리더십이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적극적 대처방식과 역할수행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내에 셀프리더십 증진내용과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과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stress coping strategies, role performance, and self leadership.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91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Stress coping strategies questionnaire(Chang-Soon Park, 2005) and role performance questionnaire(Bog-Mae Park, 2011), an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Dong-Hyen Park,2014)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revealed that passive stress coping strategies does not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s on role performance, but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s on role performance. Also, 491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have statistically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s on role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 leadership. That is, the results explain that the higher the self-leadership of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s, the higher the role performance that they have experienced is. It shows that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self leadership mediates partially betwee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role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configure the subject content that enhance their self-leadership and develop active stress coping attitudes in a curriculum for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영자 (2007). 유아교사의 교직부합성과 사회적 지지에 따른 교사의 조직몰입 및 역할수행.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곽현주 (2004). 수업반성과정과 유치원 교사의 교수행동.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구지애 (2011). 사립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지도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민정 (2007).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세일 (2011).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학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수자 (2006). 셀프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옥주 (2012). 영아반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을 돕는 교사교육프로그램 모형 개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인영 (1994). 초임교사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주는 준거집단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우울에 대한 작용: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김정희, 최미경 (2013).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 직무소진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51-68.
  11. 김정희, 최미경, 최윤진 (2013).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5), 209-227.
  12. 김진영, 성원경 (2012). 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연구. 직업교육연구, 31(2), 123-140.
  13. 김현미 (2013). 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문혁준, 안효진, 김경회, 김영심, 김정희, 김혜연, 배지희, 서소정, 이미정, 이희경, 조혜정, 한민경 (2011). 보육교사론. 서울: 창지사.
  15. 박동현 (2014).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복매 (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신영 (2011).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창순 (2005). 초등학교 교사의 내외통제성과 직무 스트레스 대처전략과의 관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백은주 (2006). 유치원 초임교사의 어려움과 교사 자아개념 및 조직풍토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6(2), 27-47.
  20. 서윤희, 조부경 (2012). 매개변인으로서의 개인 내적 변인을 고려한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 (Self-Leadership)과 직무태도간 구조분석. 유아교육연구, 32(6), 217-242.
  21. 오현미 (2009). 초임보육교사 지원에 대한 인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란희 (2012). 초등학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서울시 초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민경 (2006). 어린이집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의 불안과 문제 및 지원 요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은미 (2002). 유아교육 교사의 교직전문성 인식, 정보자원 활용, 교사역할수행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진화 (2011).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6(1), 127-144.
  26. 이희경, 김성수 (2000). 유아교사의 역할 Q-set개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4(1), 27-54.
  27. 임진형 (2000). 유치원 초임교사의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정정희 (2012).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수실제의 관계.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조병남 (2010). 청소년 교육을 위한 교사의 셀프 리더십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포럼, 9(3), 151-171.
  30. 주연희 (2004). 유아교육기관 신임교사의 역할수행 관계 변인의 영향 분석.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1. Agron, P., Berends, V., Ellis, K., & Gonzalez, M. (2010). School wellness policies: Perceptions, barriers, and needs among school leaders and wellness advocates. Journal of School Health, 80(11), 527-535. https://doi.org/10.1111/j.1746-1561.2010.00538.x
  32. Armstrong, L. J., Kinney, K. C., & 3.Clayton, L. H. (2009). Getting started: Leadership opportunities for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Dimensions of early childhood, 37(3), 11-17.
  3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search,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4. Burden, P. R. (1983). Implications teacher career development: New roles for teachers, administrators. Action in Teacher Education, 4(4), 21-25.
  35. Curry, J. R., & O'Brien, E. R. (2012). Shifting to a wellness paradigm in teacher education: A promising practice for fostering teacher stress reduction, burnout, resilience, and promoting retention. Ethical Human Psychology and Psychiatry, 14(3), 178-191. https://doi.org/10.1891/1559-4343.14.3.178
  36. Dolbier, C., Soderstrom, M., & Steinhardt, M. (2001).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 leadership and enhanced psychological, health, and work outcomes. The Journal of Psychology, 135(5), 469-485. https://doi.org/10.1080/00223980109603713
  37. Fuller, F. F., & Brown, O. H. (1975). Becoming a teacher. In K. Ryan(Ed.), Teacher education(seventy-four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part II)(pp. 25-52).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8. Ho, J., & Nesbit, P. L. (2009). A refinement and extension of the self-leadership scale for the chinese contex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24(5), 450-476. https://doi.org/10.1108/02683940910959771
  39.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40. Huling-Austin, L. (1990). Teacher induction programs and internship. In R. Houston, & J. Sikula(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pp. 535-548.
  41. Kovess-Masfety, V., Rios-Seidel, C., & Sevilla-Dedieu, C. (2006). Teachers' mental health and teaching level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7), 1177-1192. https://doi.org/10.1016/j.tate.2006.07.015
  42. Lazarus, R. S. & Folkman, S. (1985). Stress and adaptational outcome: The problem of confounded measure. The American Psychologist, 40(5), 770-779. https://doi.org/10.1037/0003-066X.40.7.770
  43. Manz, C. C. (1998). Mastering self-leadership: Empowering yourself for personal excell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4. Manz. C. C.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 in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https://doi.org/10.5465/AMR.1986.4306232
  45. Marshall, G., Kiffin-Petersen, S., & Soutar, G. (2012). The influence personality and leader behaviour have on teacher self-leadership in vocational colleges. Educational management administration and leadership, 40(6), 707-723. https://doi.org/10.1177/1741143212456910
  46. Tankersley, A. A. (2010). Discovering curriculum concerns of begin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Childhood Education, 86(5), 293-297. https://doi.org/10.1080/00094056.2010.10521411

피인용 문헌

  1. 영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vol.11, pp.3,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45
  2. 영아교사의 민감성, 효능감, 영아와의 상호작용이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vol.11, pp.3,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3.001
  3. 원장역량, 기관 내 자원, 학부모의 기대 및 참여가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영아교사의 코칭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12, pp.5,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5.071
  4. 기독교인 영아교사의 신앙성숙도가 교사-영아 상호작용, 정서노동,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vol.12, pp.6, 2016,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6.169
  5. 유아교사와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고찰: 옹호 리더십 연구의 필요성과 가능성 탐색을 중심으로 vol.39, pp.6, 2015,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