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ternative Economies Examples in Jeju: Village Fishery and Isidore Farm as Community Economies

대안 공동체 경제 논의와 제주지역 사례: 마을 공동어장과 이시돌 목장

  • 권상철 (제주대학교 지리교육전공)
  • Received : 2015.11.27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Diverse alternative economies have been discussed to overcome the problems with the globalizing neoliberal capitalism. Social economy and cooperatives are those focusing on the community economies; most countries have local economy-society based on mutual aid and common properties. Various experiences and institutions across local areas have been evolved to keep using their local resources in sustainable way. While recent social economy discussions in Korea are mostly in relation to economic crisis and focus on the Western experiences and institutions, the local area experiences in Korea are similar to the rules universal across countries along with particulars developed from local circumstances. Jeju has maintained village common fishing ground and Isidore farm which has been developed as an innovative type of cooperatives. These cases help to find community economies in practices and studying local experiences would enhance the opportunity to succeed in finding and practicing real alternative community economies in other local areas.

최근 자본주의의 신자유주의적 확대에 따른 문제 극복을 위해 사회적 경제, 협동조합 등이 대안으로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다. 이들은 지역에 기초한 공동체 경제를 공통적으로 강조하는데, 대다수 국가들은 자신들의 상황에서 이용 가능한 지역 자원에 기반한 경제 활동을 발전시켜온 경험과 제도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한국에서의 대안 경제 논의는 경제 위기 대응책으로 서구의 경험과 제도에 치중하고 있어, 국내의 소지역 경험을 세계 다른 지역의 보편적 원리와 더불어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제주는 공동체 경제 사례로 마을 공동어장을 공유재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공동체 경제 이시돌 목장을 생산과 복지를 포괄하는 협동조합형 지역발전 경험을 가지고 있다. 국내의 지역 공동체 경제 사례를 외국의 경험과 더불어 찾아보는 노력은 대안 경제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도모하고 실천적으로 다른 지역에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며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기회를 제공해 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