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Provenance of the Lead Beads

납환의 제작방법 및 납동위원소비 특성 연구

  • Kim, So-jin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wang, Jin-ju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Han, Woo-rim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Lee, Eun- woo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Rim, Seok-gyu (Research Institute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
  • Jeong, Youn-joong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황진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한우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 이은우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
  • 임석규 (불교문화재연구소) ;
  • 정연중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Received : 2014.09.12
  • Accepted : 2014.10.27
  • Published : 2014.12.30

Abstract

More than 30 lead beads have been excavated from buddhist temples and sites but the production times are unknown the origi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manufacturing technique and provenance of 11 beads through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isotope analysis. Results shows that the lead beads are composed of high-purity lead and cast using for 2 semicircle moulds. Furthermore, 11 lead beads are similar in size, chemical composition and casting methods. Lead isotope analysis data suggest that the provenance of lead beads are not Korea peninsula. Also it is estimated that 11 lead beads were divided in 2 groups considering the time and places of production. The future works will be executed additional scientific analysis and historical background due to confirm the manufacturing system and provenance.

전국 사찰이나 폐사지의 탑주변에서 납으로 만들어진 납환(납구슬)이 약 30여 점 이상 출토되었고, 납환의 제작시기 및 제작목적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납환 11점에 대한 성분분석 및 납동위원소비분석을 통해 제작방법 및 동위원소적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납환은 반구형의 주형 2개를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며, 납 농도는 96%이상의 높은 순도를 보여준다. 11개 납환은 크기, 성분 및 주조방법 등에서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에 따른 원료물질의 산지는 한반도 영역 외 지역으로 추정된다. 또한 납동위원소비 분석 자료에 의해 11개의 납환은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지는데, 이를 원료 물질의 혼합과 연관시킨다면 그룹별 제작시기 또는 장소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추가적인 납환의 과학적인 분석과 문헌사학적인 연구를 병행한다면 납환의 제작방법이나 제작목적을 밝히는 연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