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자이너 역량 요인 도출 및 디자이너-협업자간 중요도 인식 차이 분석

Developing Designers’ Competency Factors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between Designers and Coworkers

  • 권혁인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 이재화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Kwon, Hyeog-In (The Department of Culture-Art Business, General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
  • Lee, Jae-Hwa (The Department of Culture-Art Business, General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 발행 : 20140000

초록

연구배경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의 변화된 위상과 확장된 범위를 반영한 디자이너의 필요 역량 요인을 도출하고, 디자이너 및 협업자들 (디자이너들과 같이 협업하는 이해관계자들: 예_CEO, 관리자, 마케터, 기술자 등)이 인식하는 중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확인해, 그 인식의 격차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디자이너 역량 요인 도출’ 및 ‘디자이너와 협업자간 디자이너 역량 요인의 중요도 도출 및 인식 차이 확인’을 Proposition으로 설정하고, 2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1차 설문조사는 디자이너 역량 요인을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 대상 ‘In-depth interview(심층면접법)'와 개방형 설문을 병행 실시하여 이를 텍스트 분석하였다. 2차 설문조사는 디자이너 필요 역량에 대해 디자이너와 협업자간 인식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디자이너와 협업자를 분리하여 폐쇄형 설문을 실시, T-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디자이너 역량 요인은 공통역량(9개), 직무수행역량 (12개), 리더십역량(7개)으로 총 28개의 주요 역량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중요도 분석 결과 역량 요인 28개에서 디자이너와 협업자 모두 전체 역량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 중요도의 인식 차이는 전반적으로 크게 나타나지 않으나 일부 역량 요인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디자이너의 경우, 모든 역량을 고르게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반면, 협업자는 직무수행역량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고전적 의미(제품의 심미성 창조 등)의 디자이너 역량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하는 역량 요인 28개-공통역량 (9개), 직무수행역량(12개), 리더십역량(7개)-를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또한 디자이너와 협업자 모두에서 디자이너가 갖추어야하는 역량에 대한 인식차이가 크게는 없으나, 협업자의 디자이너 역량 인식이 고전적 의미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한데 그 의미가 있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first, to develop designers’ competency factors considering the shifted status and extended bounds of the design field; and, seco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about the competency between designers and coworkers (stakeholders working with designers, ex. CEO, manager, marketer, engineer, etc.) by verifying core competency which designers and coworkers recogniz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ducted by two surveys with set ‘developing designers’ competency factors’ and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between designers and coworkers’ as a proposition. In the primary survey for developing designers’ competency factors, after the in-depth interview and open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expert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ext analysis. In the secondary survey for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about the competency between designers and coworkers, clos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each designer and coworker,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T-test.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designers’ competency factors are composed of nine common competencies, twelve job competencies, and seven leadership competencies, 2) both designers and coworkers consider every factor important, 3)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ab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designers’ competency factors between designers and coworkers except for a few factors, and 4) coworkers attach a little more importance to job competencies than others and have classical recognition of designers’ competency (creating the esthetics of products), while designers consider every factor equally important. Conclusion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developing twenty-eight competency factors for designers and verifying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about the relative importance of designers’ competency factors between designers and coworkers beyond the finding that. Coworkers’ recognition of designers’ competency is still classica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