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Visual Representation Methods based on natural objects in Information Design

자연물을 모티브로 활용한 정보디자인의 시각화 기법

  • 정현정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 류시천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Received : 2014.03.10
  • Accepted : 2014.06.25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e issues of generation, delivery,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which have been treated importantly in information design field have evolved along with the evolution of the humankind. In the modern society, the vast amount of, complex, and artificial forms of information such as big-data is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claims of interest focusing on how to effectively design those kinds of information are being increased. This study explored the visualization methods applied with the natural objects as motives as one of the ways for users to easily get their perception and cognition to the information. Nature has long influenced on the human figural activities. The natural objects take the optimum visual shapes and provide the diverse inspiration and emotion to the designers in the various design fields such as product design, architecture design, and so on. Through the literature studies, we suggested the compositional principles of natural objects and the principles for observing and analysing natural objects as a principle to use the natural objects for information design domain. We, also, suggested the information design approach model which is inspired the natural objects by linking those two kinds of principles to the information design's visual realization factors and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utilizing of the approach model by the case studies.

정보디자인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정보의 생성, 전달, 처리하는 문제는 인류의 발전 과정과 함께 진화해오고 있다 현대에는 빅데이터 등과 같이 방대하고 복잡하며 인위적인 형태의 정보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 같은 정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디자인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방대하고 복잡한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지각하고 인지 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자연물을 모티브로 한 시각화 기법에 관해 탐구하였다. 예로부터 자연은 인간의 많은 조형 활동에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자연물은 시각적으로 최적화된 형상을 지니며 제품디자인, 건축디자인 등과 같은 다양한 디자인분야에서 디자이너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감과 감성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자연 물을 정보디자인에서 활용하기 위한 원리로서 '자연물의 구조적 원리'와 '자연물에 대한 관찰 및 분석 원리'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2가지 원리를 정보디자인의 '시각적 재현요소'와 연결시켜서 자연 물을 모티브로 한 정보디자인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사례연구를 통해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최경원,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 (good design), 길벗, p54
  2. 줄리 스틸.노아 일린스키, 아름다운 시각화, 인사이트
  3. H.D.F 키토, 고대 그리스 그리스인, 갈라파고스, 269p, 2008
  4. 김명호, 자연 사람 그리고 한의학, 역사비평사, 11-54p, 1995
  5. 이지나, 20C공간의 자연형태의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2002. 12. 31
  6. 로버트 제이콤스, 장동훈 역, 정보디자인, 안그라픽스
  7. 오병근.강성중, 정보디자인교과서, 안그라픽스, 2008
  8. 박소담, 정보그래픽 비주얼 표현 요소에 따라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2011. 12. 30
  9. 서나영, 자연의 유기적 형태를 응용한 패브릭 디자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004
  10. 공소영, 자연적 모티브를 대상으로 한 시각화 방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2003
  11. 안드레아스 슈나이더, 정보디자인, 2004
  12. 마크 스미시클라스, 인포그래픽이란 무엇인가, 에이콘, 2013
  13. 박종서, 자연에서 배우는 디자인 꼴, 좋다!, 디자인하우스,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