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연물

Search Result 2,526,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 of Developing the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Natural Objects (유아를 위한 자연물 미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 Son, Hae-Kyoung;Son, Eun-K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0
    • /
    • pp.108-12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atural object configuration items of ar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hade verify compliance. To this en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and the Delphi investigation of natural objects art activities were developed natural objects of art education programs. The program was applied consisting of a total of 24 times periods for 12 weeks to five year olds, represented through the art skills of children and nature-friendly attitude tests were prove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atural objects of ar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in the study developed effective representation in art and nature-friendly attitude, the ability of young children. This study natural objects for the ar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rograms could be provided as a basis to help plan and practice the art education activities utilize the natural object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고화 피막층 형성이 있는 노심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전달

  • 박래준;김상백;김희동;최상민;조재선;정창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683-688
    • /
    • 1997
  • 원전의 중대사고 발생시 형성될수 있는 노심용융물의 고화피막층을 동반하는 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절달 특성에 대한 실험결과를 정밀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대상 실험은 종횡비가 작은 경우와 큰 경우에 대하여 용융물을 자연대류와 강제대류로서 냉각하는 조건에서 경계조건에 따른 용융물의 피막층 두께를 측정하였고, 피막층 주변의 열전달량을 측정ㆍ분석한 것이다. 실험결과를 정밀 분석한 결과, 용융물의 고화 피막층 형성이 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전달양에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종횡비가 큰 경우는 냉각 조건도 자연대류 열전달 양에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화층 두께 증가에 따른 종횡비 감소는 자연대류 열전달양 감소율을 작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막층 형성이 있는 용융물의 자연대류 열전달 해석 결과, 실험에서의 열손실 때문에 용융물의 고화 피막층 두께가 실험결과보다 다소 작게 나타났으며, 자연대류 열전달 흐름이 피막층 형성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Visual Representation Methods based on natural objects in Information Design (자연물을 모티브로 활용한 정보디자인의 시각화 기법)

  • Jeong, Hyun-Jeong;You, Sichoen
    • Smart Media Journal
    • /
    • v.3 no.2
    • /
    • pp.20-28
    • /
    • 2014
  • The issues of generation, delivery,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which have been treated importantly in information design field have evolved along with the evolution of the humankind. In the modern society, the vast amount of, complex, and artificial forms of information such as big-data is accounted for the majority and claims of interest focusing on how to effectively design those kinds of information are being increased. This study explored the visualization methods applied with the natural objects as motives as one of the ways for users to easily get their perception and cognition to the information. Nature has long influenced on the human figural activities. The natural objects take the optimum visual shapes and provide the diverse inspiration and emotion to the designers in the various design fields such as product design, architecture design, and so on. Through the literature studies, we suggested the compositional principles of natural objects and the principles for observing and analysing natural objects as a principle to use the natural objects for information design domain. We, also, suggested the information design approach model which is inspired the natural objects by linking those two kinds of principles to the information design's visual realization factors and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utilizing of the approach model by the case studies.

Numerical Analysis about Natural Convection of Water in the Ice-on-coil as a Static Ice Making Type (정적제빙형인 관외 제빙기내에서의 물의 자연대류현상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Yu, Jik-Su;Kim, Myoung-Jun;Kim, Sung-Yong;Jang, 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6a
    • /
    • pp.323-323
    • /
    • 2011
  • 본 연구는 냉각점이 중간에 위치하는 정적제빙형인 관외 제빙기내에서의 물의 자연대류 현상에 대해 수치적으로 다루고 있다. 자연대류현상과 열전도에 의해 조절되는 물에 이동을 유한차분법을 이용해 2차원적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물의 온도가 4[$^{\circ}C$]에서 밀도역전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수치해석의 결과와 비교한다. 자연대류의 변화에 따른 결과는 수치해석을 통해 등온선과 유선형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물의 온도와 밀도의 관계에 따라 자연대류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수치해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 PDF

Water cycle of an urbanized catchment, taking the case of Tancheon (탄천을 통해 살펴본 도시유역의 물순환)

  • Yoo, Sanghyu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3-123
    • /
    • 2022
  • 자연유역 내에 도시가 자리잡고 발달해 나가면 유역의 특성에 급격한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도시유역은 자연유역과는 상이한 수문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그 동안 도시수문학의 주된 관심사는 도심지 홍수예방, 상수관망 등에 주어졌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도시유역의 물순환에 대한 정량화는 별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급격하게 도시화가 이루어진 탄천 유역에 대해 도시유역의 장기적인 물순환에 대해 정량화하고 자연유역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강수량, 유출량, 증발산량, 상수공급량, 하수처리량 등의 가용한 자료를 동원하여 탄천 유역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탄천유역은 유역 외부에서 상수를 공급받고 사용된 용수는 하수처리시설을 통해 하천으로 방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출 특성이 자연유역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PDF

유역통합관리의 구현을 위한 과제

  • 박두호;윤석영
    • Water for future
    • /
    • v.37 no.3
    • /
    • pp.16-20
    • /
    • 2004
  • 인간이 직면하고 있는 대부분의 문제들은 시대적인 산물일 것이다. 인간들은 경제행위를 하기위해 주변의 자연과 환경을 그 시대적 배경과 역사적인 발전단계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시켜 왔다. 처음에는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인간은 강이나 하천 또는 해안가와 같이 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정주공간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어느 순간부터 인간은 그 같은 자연자원의 단순한 사용자로부터 그 자연자원을 필요에 따라 변화시키는 지배자가 되었다.(중략)

  • PDF

지도.독도요령

  • the National parks of Association of Korea
    • 공원문화
    • /
    • s.14
    • /
    • pp.24-29
    • /
    • 1980
  • 지도는 지구표면의 입체적인 지형을 일부 또는 전부를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자연물과 인조물을 규정된 기호로써 지면에 그린 것을 말하며, 등산 계획 및 산행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지도는 등산중에 언제나 손쉽게 펴 볼 수 있도록 휴대하여 등산중에 자기 위치를 알아보고 다음 목적지의 지형을 지도상에서 미리 연구한 후에 행동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지도는 산을 찾는 등산객의 눈이 되며 안내자가 되어 주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독도법 훈련은 평소부터 가까이 하여 충분히 읽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 PDF

Skin lightening effect of fermented Panax ginseng extract (자연삼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에 대한 연구)

  • Lee, Hyos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2
    • /
    • pp.285-292
    • /
    • 2019
  • Panax ginseng is known for various pharmacological activities mainly due to saponins. Since minor saponins, generated by the decomposition of major saponins, generally exert higher activities than major saponins, the fermentation may increase the minor saponin contents in ginseng products. In this study, we tested fermented ginseng extract whether or not provide a safe cosmetic ingredient for whitening purpose. In this regard, fermented Ginseng extract was prepared and evaluated the inhibitory activity toward tyrosinase and the melanin synthesis suppression. The safety was tested via cell viability and toxicity test. The skin lightening effect was also evaluated by clinical study. The fermented Ginseng extract exerted higher activities in tyrosine inhibition and in suppressing melanin synthesis compared to Kojic acid and arbutin. In the clinical test, skin lightening effecte of the sample was clearly higher than vehicle or Vitamin C. We thus concluded that the fermented Ginseng extract may provide a safe cosmetic ingredient for skin lightening purpose.

Urban Development and Social Circulation of Water in Daegu (대구의 도시 발달과 물의 사회적 순환)

  • Choi, Byung D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9 no.1
    • /
    • pp.75-96
    • /
    • 2013
  • This paper is to conceptualize the urban social circulation of water from the social constructivism and political ecology, and to analyze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social circulation of water, that is,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water in Daegu. The development of social circulation system of water in Daegu can be divided into 4 stages, that is, the beginning stage of modernization of water mainly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the take-off stage from the 1960s to the mid-1980s, the stage of reflexive modernization from the late 1980s to the 1990s, and that of neoliberalization of water since the 2000s. It can be seen that the development of social circulation system of water in Daegu has contributed the increasing urban popul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supporting the spatial expansion of the city and the way of modern way of urban life. But the social circulation system of water in Daegu seems to meet with a lot of problems such as relocation of the water intake station, over-equipment of filtration plants, distrust on tap water, inequality of water use, readjustment of water charge, liquid waste from industrial complexes within the urban area, creative destruction of waterfront environment, and privatization of water.

  • PDF

A Selective Attention Based Target Detection System in Noisy Images (잡영 영상에서의 선택적 주의 기반 목표물 탐지 시스템)

  • 최경주;이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622-62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선택적 주의에 기반한 잡영 영상에서의 목표물 탐지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특히 제안하는 방법은 목표물에 대한 아무런 지식을 사용하지 않고, 단지 입력되는 영상의 상향식 단서만을 사용하여 목표물을 탐지해냄으로써 여러 다양한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안하는 시스템에서는 몇 가지 기본 특징들이 입력된 영상에서 바로 추출되며, 이러한 특징들이 서로 통합되어 가는 과정에서 목표물 탐지에 유용하지 않은 정보는 자연스럽게 걸러지며, 유용한 정보는 추가되고 부각되어진다. 간단한 영상부터 복잡한 자연영상에 이르는 다양한 잡영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하여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