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ified Systems on Surveying and Geoinformation Management in Korea - New Conceptual Design of Korean NSDI Model -

우리나라 측량·공간정보관리에 관한 통합시스템 연구 - 새로운 국가공간정보기반(NSDI) 모델의 도입 -

  • 이영진 (경일대학교 건설공학부/지구관측센터/GGIM-Korea포럼)
  • Received : 2014.04.03
  • Accepted : 2014.05.30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In this study, it aims to research for unified system of "the surveying and geo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new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NSDI) as new paradigm against the strategy of "global geo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The country's existing NGIS projects and the policies of spatial information were examined in this paper, then it was defined newly by modification of NSDI's data coverage with bottom-up method. The new NSDI strategy is based on large scale digital map which was influenced by the local and global trend such as open data, e-Government, Earth observation, etc. (refer to Fig. 1). It was also suggested with new concept of NSDI model that the public-private sharing data can be added to digital map on equal term with spatial core data. (refer to Fig. 2) It is proposed the institutional model of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s new concept of NSDI which was applied(refer to Fig. 4). The new model is improving localization and reinforcing cooperation system with not only the other departments within the MOLIT but also the other ministries(forestry, environment, agriculture, heritage, etc.) from independent operation system as a part informatization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t the new SDI institutional model of the MOLIT, the spatial information is reorganized as common data infrastructure for all applications, Goverment 3.0 can be feasible according to common data related to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data vertically or horizontally. And then, it can be practical strategy model to integrate and link all the map and the register which are managed by the laws and institutions if this unified system as a common data can include all spatial core data(digital map), such as base map data of NGA(national gespatial agency), land data and facility data of local government.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공간정보관리" 전략에 대응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측량 공간정보관리"를 위한 통합시스템을 연구하고 새로운 국가공간정보기반(NSDI)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기존 NGIS사업 및 공간정보정책을 검토하고 공공데이터 개방, 전자정부, 지구관측 등 국내외 흐름을 반영하여 대축척지도를 기반으로 하는 Bottom-up 방식으로서 NSDI의 정보영역을 수정하여 새롭게 정의하고[그림 1], 수치지도 등을 기본공간데이터와 동등한 개념으로 하여 공공-민간데이터의 공유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게 하는 새로운 개념의 NSDI 모델을 제시하였다[그림 2]. 또한, 현재의 독립적인 국토교통정보화의 운영체계는 다른 부처의 응용분야(산림, 환경, 농업, 문화재 등)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 내부인 다른 부문과의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지방 중심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새로운 개념의 NSDI를 국토교통부에 적용한 기관모델을 제안하고 있다[그림 3]. 새로운 국토교통부 SDI 기관모델에서는 공간정보 부문을 모든 활용 부문의 공통 기반으로 하고 데이터를 재편성하는 모델이며, 공통기반데이터를 통하여 소속기관 및 지방정부 데이터를 수직적 또는 수평적으로 연계하여 정부3.0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통합시스템은 국토지리정보원 기본도 데이터, 지방정부 KLIS 데이터, 지방정부 공공시설물 데이터를 모두 기본공간데이터 개념에 포함하게 되면, 현재 법령 또는 관리기관에 따라 독자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모든 도면과 공부를 공통 기반(수치지도)과 통합, 연계하여 현행화할 수 있는 전략모델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경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