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정보관리

Search Result 3,421,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A study of strategy on Geo-information database construction and data management for reservoir sediment deposition (저수지퇴사 공간정보 DB구축방안 및 자료관리방안 수립)

  • Jung, Seung-Kwon;Choi, Jung-Min;Lee, Kyoung-Do;Yoon, Tae-You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52-1657
    • /
    • 2009
  • 종이지도, CAD 도면, 항공사진과 같은 형태로 구축되어 있는 저수지 퇴사자료는 자료의 훼손 변질 등에 대한 문제뿐만 아니라 자료관리를 위한 인력의 업무중복 및 시간부족에 따른 조사자료의 질의 저하 및 부정확성 문제 등 퇴사자료 관리에 있어 해결되어야 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수지 퇴사자료의 DB구축 및 자료관리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구축되고 있는 항공사진과 같은 3차원 공간정보 DB구축으로 기존 자료와의 상호 활용성 미흡, 관련 사업의 연계성 부족 등의 문제점에 대처할 수 있는 체계적인 사업 추진방향을 제시하여 3차원 공간정보 DB구축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퇴사자료 구축현황을 분석하고, 저수지퇴사 공간정보에 대한 구축방안을 수립하였으며, 구축된 공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저수지퇴사 공간정보 관리방안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공간정보 DB의 구축과 자료관리방안 수립으로 시 공간적 변화로 인한 저수지 퇴사를 쉽고 신속히 활용할 수 있는 공유기반 및 활용체계를 마련하게 되었으며, 효율적인 댐운영관리 및 수자원기초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Circulation and Management of Spatial Data (공간정보 유통 및 관리에 관한 연구)

  • Cho, Hae-Gyung;Kim, Young-Sup;Kim, Sang-E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 no.1
    • /
    • pp.28-38
    • /
    • 1998
  • This paper describes difficulties for the producer's distribution and the user's acquisition of the spatial data because the circulation of them is complicated according to its kind in Korea. The way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would be to develop the clearing house system to incorporate GIS technology on Internet. This research proposes the problem statement, the architecture, 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system. The system contains the functions such as metadata generation, metadata registration, metadata version management, catalogue creation and update, reports generation, forms processing, metadata search, payments, GIS information pool, and spatial data browsing.

Design of Customize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Chronic Disease Patients Based on PHR.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 설계)

  • Shim, Jae-Sung;Park, Seok-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568-5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PHR과 만성질환 및 공간정보에 대하여 분석하고, 식당, 커피숍 등과 같은 실내공간에서 PHR 정보를 활용하여 자가 건강관리에 필요한 맞춤형 공간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PHR 기반 만성질환자 맞춤형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서비스 공간정보 관리 기능과 사용자 정보 관리 기능 및 맞춤형 공간정보 매칭 기능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동작절차를 설계하였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patial Database System Using Shareware DBMS based on Linux (Linuz 기반 Shareware DBMS를 이용한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윤재관;장염승;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65-67
    • /
    • 2000
  • 최근 들어 지리 정보 시스템(GIS)의 사용이 점차 다방면화되고, 점차적으로 다양한 계층의 사용자가 접근을 하게 되면서 뛰어난 성능의 지리 정보 시스템이 점차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성능의 지리 정보 시스템의 사용은 고가의 운영체제와 지리 정보 시스템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형태의 서비스에는 쉽게 사용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저가의 시스템 비용으로 지리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점차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저가의 안정적인 시스템인 Linux 환경에서 경량급이면서 성능이 뛰어난 Shareware DBMS를 사용하여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이나 WEB 인터페이스에서 본 시스템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관리자, 요청된 질의를 처리하기 위한 질의 관리자, 공간 데이터의 획득 및 공유를 위한 수입/지출 관리자, 공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공간 연산 관리자, 공간데이타에 대한 Collection을 처리하기 위한 Collection 관리자, 그리고 공간 데이터의 빠른 검색을 위한 인덱스 관리자로 구성된다.

  • PDF

The Establishment of BPR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Quality Management System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품질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BPR 수립)

  • Youn, Jun 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4
    • /
    • pp.81-89
    • /
    • 2014
  • In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has implemented in order to integrated manage and share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roducted by public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The necessities of systematic quality management are raised, because information, which is generated by different agencies, is integrative managed by national level. In this paper, the establishment of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quality management system. Quality management business is defined as quality management object definition, quality measuring, evaluation and analysis, and quality enhancement process. Next, activities for each process are designed. For the quality management business, business rule(BR) is required for determining error. We derive the BR for six objects(legal-dong, railway boundary, railway centerline, road boundary, road centerline, building) among the basic spatial information. Other information's BR can be generated by using the derivation method describ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BPR of this paper and derived B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quality management system can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a Configuration Version Manager for a Web-based Spatial OODBMS (웹 기반 공간 OODBMS를 위한 형상 버전 관리자의 개발)

  • 김동오;장염승;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7-9
    • /
    • 2001
  • 최근 웹이 활성화되고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지리 정보 시스템 분야에서도 웹 상에서 공간 데이터의 검색 및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다루는 공간 데이터는 가변적이고 대용량이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웹 기반 공간 OODBMS의 사용이 적합하다. 이러한 웹 기반 공간 OODBMS를 사용하는 실제 응용프로그램에서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협동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객체들의 버전 뿐만 아니라 일정 영역내의 연관된 객체들의 접합인 형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형상 관리 시스템, 버전관리 시스템, 협동작업 기법을 분석하여 웹 기반공간 OODBMS를 위한 형상 버전 관리 모델을 제시하였다. 형상 버전 관리 모델은 형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형상 그래프와 형상 버전 클래스, 형상 Genetic 클래스, 형상 노드 클래스와 같은 세 개의 형상 버전 관리 클래스를 내부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형상 버전 관리 모델에 따라 형상 버전 처리 모듈, 형상 Genetic 처리 모듈, 형상 노드 처리 모듈, 형상 그래프 처리 모듈, 협동 작업 처리 모듈로 구성되는 웹 기반 공간 OODBMS를 위한 형상 버전 관리자를 개발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aster Processor for Spatial Object Management System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을 위한 래스터 처리기의 설계와 구현)

  • 박재진;황태규;김광;허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b
    • /
    • pp.147-14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국가 지리정보 시스템 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현재 연구, 개발되고 있는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에서 래스터 형태의 공간 정보를 처리하는 래스터 처리기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먼저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의 저장 시스템안에 저장될 래스터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고, 이를 클래스 라이브러리의 형태로 구현하여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작성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래스터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질의문 작성에 포함되는 질의 연산 및 관련 모듈을 구현하여 공간 객체 관리 시스템의 질의 수행기에 삽입하여 래스터 정보의 질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velopment of a Configuration Manager for a Web-based Spatial OODBMS (웹기반 공간 OODBMS를 위한 형상 관리자의 개발)

  • 박인하;신명철;이강준;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358-360
    • /
    • 1999
  • 최근 웹의 활성화로 인하여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지리 정보 시스템 분야에서도 웹 기반의 공간 데이터의 검색 및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한, 지리 정보 시스템에서 다루는 공간 데이터는 가변적이고 대용량이기 때문에 이러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공간 OODBMS의 사용이 적합하다. 이러한 웹 기반 공간 OODBMS를 사용하는 실제 응용프로그램에서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의 협동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객체 중심의 버전 관리에 그치지 않고 일정 영역내의 연관된 버전화된 객체들의 집합인 복합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중 사용자 환경에서 연관된 버전화된 집합인 복합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웹기반 공간 OODBMS를 위한 형상 관리자를 설계 및 구현한다. 이를 위해 형상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기존의 시스템인 Open OODB와 RCS, 그리고 SCM에서의 형상 관리 모델에 대해서 알아보고, 형상 관리자의 관리 모델과 자료 구조를 설명한 후 형상 관리자 설계시의 고려사항에 대해서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형상 관리자의 구성 모듈과 형상 관리가 API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Version Based Spatial Record Management Techniques for Spati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위한 버전 기반의 공간 레코드 관리 기법)

  • 김희택;김명근;김호석;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b
    • /
    • pp.76-78
    • /
    • 2004
  • 기존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공간 데이터의 검색 연산이 주된 연산이었지만. 최근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이동 객체의 실시간 위치 갱신 및 추적 등 공간 데이터의 갱신 연산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트랜잭션간 동시성 향상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트랜잭션의 동시성 문제를 해결하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많은 기법들이 연구되었으며, 그 중에서 다중버전 알고리즘은 각 트랜잭션간의 상호간섭을 최소화시키면서 동시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하지만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트랜잭션의 동시성 향상을 위하여 기존의 멀티버전 알고리즘을 적용할 경우, 공간 레코드의 속성 데이터만 변경되어도 공간 레코드 전체에 대한 버전을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저장 공간의 낭비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레코드에 대해 트랜잭션간의 동시성을 향상시키고, 공간 레코드 버전의 저장 공간 낭비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속성 데이터 버전과 공간 데이터 버전을 분리하여 생성, 관리하는 레코드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은 검색 트랜잭션은 갱신 트랜잭션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트랜잭션을 진행할 수 있으며, 갱신 연산시 공간 레코드 전체의 버전을 생성하는 대신에 공간 레코드를 속성 데이터 버전과 공간 데이터 버전으로 분리하여 갱신된 데이터 버전만 생성 관리하는 기법이다.

  • PDF

Improvement Plan of Quality Control for 3D Geospatial Database (3차원 국토공간정보 품질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Seo, Chang-Wan;Choi, Yun-Soo;Kim, Jae-Myeong;Kim, Young-Hak;Kim, Young-Gi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7 no.2
    • /
    • pp.231-241
    • /
    • 2009
  • Recently, The importance of a quality control for implementing 3D geospatial database has being emphasized to build a 21st century knowledge society and an ubiquitous land. The improvement of 3D geospatial database quality control through establishing an integrated quality control makes data suppliers update data efficiently and users get high quality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improvement plan of 3D geospatial database quality control through the analyses of the existing 3D geospatial database quality control and case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e defined the concept of 3D geospatial database quality control. Secondly, we set the boundary, factors and process of 3D geospatial database quality control through classifying it in detail. Lastly, we drew improvement contents such as the quality control checklist by implement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plan of 3D geospatial database impleme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