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vestigative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and Industrial Institu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Asan Area

아산지역 특성화고 설치에 대한 중학교 학생, 학부모, 산업체의 요구 조사 연구

  • Received : 2014.02.20
  • Accepted : 2014.03.24
  • Published : 2014.03.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to investigate and analyze requests of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and people in charge of human resources of industrial institution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which are necessary to establish vocational high schools in Asan area. To achieve them, demands, for the establish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requests of desirable department, area, etc. which are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and people in charge of human resources of industrial institutions in Asan-si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students and parents who were selected from one third grade class out of each of all the middle schools of Ansan-si. Also, for the people in charge of human resources of industrial institutions, industrial institutions including more than 10 employees were firstly sampled and selected. The number of students analyzed is 484, parents 458, industrial institutions 8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hird graders, there were 18.5% students who wanted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s and 72.6% students that replied saying they may enter if vocational schools are established in Asan-si. Among them, 8.8% students replied that they will definitely enter. Second, among the parents, 30.8% wanted their children to enter vocational high schools and 76.9% replied that they may enter if vocational high schools are established in Asan-si. Among them, 8.4% replied that their children will enter certainly. Third, people in charge of human resources of industrial institutions replied that they may recruit 98.8 percent of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 Asan area. Among them, they replied that 17.3% will be recruited certainly. For the replies of recruitment time, there were 49.4% of 'within 1 year', 30.9% of 'within 1~5 years' and for working, there were 60.8% of 'mechanical operators and assembly workers' and 31.6% of 'technicians and functional workers'. Fourth, for the most preferred departments when establishing vocational high schools in Asan-si, middle school students wanted hospitality management, parents were for electricity and electronics, industrial institutions replied with vehicle mechanics. By affiliation, more than the half of respondents wanted industrial affiliation. Fifth, for the most preferred departments when establishing vocational high schools in Asan-si, middle school students and parents preferred Onyang-dong, industrial institutions preferred Dunpo-myeon.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desirable areas were in the vicinity of one's own residential area.

이 연구는 중학교 학생 및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요구를 조사 및 분석하여 아산지역 특성화고 설치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아산시 중학교 학생 및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가 인식하는 아산시 특성화고 설치에 필요한 수요, 희망학과 및 지역 등의 요구를 설문 조사 및 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대상은 아산시 전체 중학교에서 학교별 3학년 1학급에서 표집된 학생과 학부모를 선정하였다. 또한, 산업체 인사 담당자는 종사자수 10명 이상의 산업체를 무선 표집하여 선정하였으며, 분석 대상 수는 학생 484, 학무모 458, 산업체 81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3학년 학생중에서 직업교육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은 18.5%이고,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치된다면 72.6%가 진학 가능성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중에서 8.8%는 반드시 진학하겠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학부모 중에서 직업교육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부모는 30.8%이고,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치된다면 76.9%가 진학 가능성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중에서 8.4%는 반드시 진학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산업체 인사 담당자는 아산지역 특성화고 졸업생 중에서 98.8%를 채용 및 채용 가능성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중에서 17.3%는 반드시 채용하겠다고 응답하였다. 채용 시기에 대한 응답은 '1년 이내'가 49.4%, '1~5년 이내'가 30.9%였으며, 근무할 직종은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가 60.8%, '기능원 및 기능종사자'가 31.6%였다. 넷째, 아산시 특성화고 설치시 가장 선호하는 학과에 대하여 중학생은 가정가사, 학부모는 전기전자, 산업체는 자동차기계로 응답하였다. 계열별로는 응답자의 절반이상이 공업계열을 희망하였다. 다섯째, 아산시 특성화고 설치시 희망 지역에 대하여 중학생과 학부모는 온양동, 산업체는 둔포면으로 응답하였고, 대체로 희망하는 지역과 주거지가 일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원, 옥준필(2000). 특성화 고등학교 발전 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교육과학기술부 보도자료(2013. 1. 22.). 올해 전국 특성화.마이스터고 취업률 48.5%.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2010). 고등학교 직업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4. 김안국 외(2012). 2011년 지역별 인력 및 훈련 수요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김영훈, 김태훈(2013). 중학생이 인식하는 특성화고등학교 이미지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114-135.
  6. 박세훈(1998). 학교선택제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행정학연구, 16(3), 191-210.
  7. 아산시(2009). 2009년 아산시 GRDP 추계결과 요약.
  8. 아산시(2012). 2010년 기준 사업체조사 보고서. 통계표.
  9. 옥준필(1999). 직업교육분야 특성화 고등학교의 최근 현황과 발전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유명의, 서리나(2003). 가사실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의 체제 개편 모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4(3), 11-24.
  11. 이병욱(2012). MB정부의 중등교육단계 직업교육 성과와 차기 정부의 직업교육 방향. 2012 한국직업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이병욱 외(2013).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48-67.
  13. 이병환(2002). 국내외 학교모형 비교를 통한 학교선택권 보장 방안. 교육행정학연구, 20(2), 215-235.
  14. 장명희(2012). 고졸 취업 촉진 정책과 추진 경과와 방향.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주최 주요 교육정책에 대한 현장 간담회 자료.
  15. 충청남도(2011). 2011 제 51회 충남통계연보.
  16. 충청남도교육청(2012). 학교현황(2012. 9. 1. 기준).
  17. 황윤주(2005).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선택시 개인, 사회적 환경요인 및 결정요인간의 차이분석.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Goldhaber, D. D. & Eide, E. R. (2002). What do we know(and need to know) about the impact of school choice reforms on disadvantaged students?. Harvard Educational Review, 72(2), 157-176. https://doi.org/10.17763/haer.72.2.j7q1082836753047
  19. 아산시청 기업사랑 홈페이지(2013) http://giup.asan.go.kr.
  20. 충청남도교육청(2013). http://www.cne.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