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Related Factors for the Local Seniors

국내 거주노인의 당뇨 유병현황 및 관련요인 분석

  • 성민지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김은정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
  • 이현주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노진원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Received : 2014.03.26
  • Accepted : 2014.05.14
  • Published : 2014.05.28

Abstract

Recently, the Diabetes Mellitus is the major cause of death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 2011, 34% of adult(over 19 years) are diagnosed as a DM and 21.5% of the aging(over 65 years) are also DM. So in this study, we find out the status of DM prevalence among old people and related factors. Using the results, we will suggest several ways to prevent DM. We us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2006, version1.2)that those diagnosed with Diabetes Mellitus. We carried out X2 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by IBM SPSS 19. 65~79 ages (p=0.006, OR=1.482), Urban people (p=0.008, OR=1.366), People diagnosed with Hypertension (p<0.001, OR=1.237), have high probability of Diabetes Mellitus. Howev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good) (p=0.005, OR=0.648), Subjective health condition(normal) (p<0.001, OR=0.335), and People diagnosed with Chronic lung disease (p=0.002, OR=0.778) have low probability of diabet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politic proposals were disccused.

최근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 중 당뇨병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1,176만 명중 10.5%가 당뇨를 앓고 있으며, 65세 이상 인구에서는 21.5%가 당뇨를 앓고 있었다. 본 연구는 당뇨 유병률이 높은 65세 이상 노인의 당뇨병 발생률을 확인하고, 당뇨병 발생과 관련 있는 요인을 찾아낸다. 연구 방법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주관하는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2006년도 공개용 연간데이터 버전 1.2를 자료원으로 하여 당뇨를 앓고 있는 4,165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도구로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19.0 version)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65세 이상 79세 이하인 사람이 80세 이상 노인보다 당뇨병 진단을 받을 확률이 높았으며 대도시에 사는 사람이 읍면부에 사는 사람에 비해 당뇨병 진단확률이 높았다. 주관적 건강상태 항목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은 사람인 경우와 보통인 경우가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쁜 사람에 비해 당뇨병 진단확률이 낮았다. 폐질환을 진단받은 사람은 폐질환은 진단받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당뇨병 진단확률이 낮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당뇨를 예방 할 수 있는 주요 요인들은 분석하여, 당뇨 발병 저하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장달현, 지속적 혈당모니터링을 통한 당뇨환자 치료향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2. 김재용, 건강보험자료를 활용한 당뇨병 발생 및 의료이용 현황분석 :In 대한당뇨병학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공동 심포지엄 Diabetes in Korea, 2005.
  3. 보건복지가족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2차년도, 2011.
  4. 윤희숙, 고령화를 준비하는 건강보험 정책의 방향, 한국개발연구원 경제동향, 2013.
  5.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Year Book, 2011.
  6. 박용수, "당뇨병은 유전되는가", 한국당뇨협회, 제 5권, pp.60-63, 2007.
  7. M. J. Franz, E. S. Hortom, and J. P. Sr, Bantle, "Nutritional principles for the management of diabetes and related complication(Technical Review)," Diabetes Care, Vol.17, pp.490-518, 1994. https://doi.org/10.2337/diacare.17.5.490
  8. 허갑범, "당뇨병의 만성 혈관성 합병증의 개요", 대한당뇨병학회, 제13권, 제2호, pp.71-74, 1989.
  9. 이태화, 강수진, "한국 노인의 건강 문해(Health Literacy)실태와 영향요인-인구사회학적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노인학회, 제28권, 제4호, pp.847-863, 2008.
  10. 홍세훈, 조은희, 최미영,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낙상 발생현황 및 관련요인 : 고령화연구패널 (KloSA)자료를 이용하여", 노인간호학회지, 제 12권, 제3호, pp.211-224, 2010.
  11. 안지연, 탁영란, "관절염 노인의 연령별 우울정도와 위험요인",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1호, pp.72-83, 2009.
  12. M. D. Goldman, "Lung Dysfunction in Diabetes, "Diabetes Care, Vol.26, No.6, 2003.
  13. 신경철,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체중감소와 TNF-$\alpha$, sTNF-R55, sTNF-R75및 leptin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14. 유형준, "당뇨병과 비만", Medical Review, 제1권, 제1호, pp.82-85, 2004.
  15. 김귀정, 한정수, "당뇨 및 심혈관 질환자를 위한 개인 맞춤형 의료정보 융합시스템 설계",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9호, pp.90-96, 2009.
  16. 손연정, "일반 성인의 성별에 따른 특성분노,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신체증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제5권, 제3호, pp.197-205, 2005.
  17. 고성경, "40대 이후 고혈압, 비만 및 당뇨병 여성의 혈중 지질 개선을 위한 유산소성 운동량", 한국운동생리학회, 제11권, 제1호, pp.247-257, 2002.
  18. 이영호, 김종훈, 김재권, "스마트 폰 기반의 당뇨병 환자를 위한 개인 맞춤형 식단 관리 시스템",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2호, pp.1-9, 2010.
  19. W. H. Chung, T. H. Kim, and I. H. Chang, "Relation of Resistin to Prostate Cancer Differentiation and Aggressiveness, " Korean Journal of Urology, Vol.50, No.6, pp.540-546, 2009. https://doi.org/10.4111/kju.2009.50.6.540
  20. 엄홍대, 이덕철, 이상이, "규칙적 운동과 제2형 당뇨병 발생에 관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 : 공복혈당장애군을 대상으로", 대한예방의학회지, 제41권, 제1호, pp.45-50, 2008.
  21. B. D. Lee, Y. P. Bae, andB. G. Kim, "The Association between Type 2 Diabetes Mellitus and Colorectal Cancer, "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26, No.2, pp.126-132, 2011. https://doi.org/10.3803/EnM.2011.26.2.126
  22. D. G. Sh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Hypertension, "Korea Neurological Asso ciation, Vol.32, pp52-59, 2013.
  23. 한국 산업안전보건공단, 뇌심혈관질환 예방 교육 매뉴얼, 2008.
  24. 식품의약품 안전청, 간질환 환자에 대한 의약품 적정사용 정보집, 2012

Cited by

  1. Identifying Latent Classes of Risk Factor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vol.47, pp.6, 2017, https://doi.org/10.4040/jkan.2017.47.6.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