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당뇨 예방

Search Result 56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특집 - 2007 당뇨협회가 만난 사람들 - 당뇨병, 예방 교육에 힘써야... -

  • Park, Seong-U
    • The Monthly Diabetes
    • /
    • s.217
    • /
    • pp.18-20
    • /
    • 2007
  • "당뇨병은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노력해 전단계인 사람들을 찾아내야하고 교육, 관리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박성우 교수는 당뇨병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 예방과 교육이라고 강조한다. 전당뇨인들이 당뇨병에 걸리기 전 미리미리 예방하고, 이미 당뇨가 온 환자라면 올바르게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의료진과 협회, 국가정책 당국이 함께 손잡아야 한다는 것이 박 교수의 생각이다.

  • PDF

특집_당뇨병환자의 감염증 - 당뇨병 환자, 예방접종 합시다!

  • Gwak, Jeong-Eun
    • The Monthly Diabetes
    • /
    • s.240
    • /
    • pp.20-22
    • /
    • 2009
  • 예방접종. 요즘 예방접종에 대한 권유를 많이 받았을 것이다. 또한 때가 때이니 만큼 일찌감치 예방접종을 시행한 사람들도 있을지 모르겠다. 신종플루 덕분에(?) 예방접종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어린이에게만 해당된다고 생각했던 예방접종의 중요성이 이제는 성인들 사이에서도 통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고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정희진 교수의 자문을 받아 감염의 고위험군인 당뇨병환자에게 꼭 필요한 예방접종을 강조하고자 한다.

  • PDF

고삼투압성 혼수의 치료 및 예방

  • 김상진
    • The Monthly Diabetes
    • /
    • s.136
    • /
    • pp.38-39
    • /
    • 2001
  • 고삼투압성 혼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아무리 심하지 않은 당뇨병 환자라도 규칙적으로 혈당검사를 하면서 당뇨를 관리하여야 하며, 의식이 없거나 혼탁한 상태로 병원이나 수용시설에 수용되어 있는 환자, 혹은 거동이 불편한 노인일 경우는 꼭 당뇨병에 대한 검진을 시행해야 하며, 감염 증상이 있을 때는 빨리 치료해야 하고 독감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뇌졸중의 위험인자와 예방

  • 한국당뇨협회
    • The Monthly Diabetes
    • /
    • s.156
    • /
    • pp.20-23
    • /
    • 2002
  • 어떤 질병도 예방보다 나은 치료방법은 없겠다. 뇌졸중이 특히 그러한데, 뇌졸중은 그 원인이 어느 정도 밝혀져 있어 조금만 주의한다면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병이다. 또한 일단 죽은 뇌세포는 재생되지 않기 때문에 뇌졸중이 발생한 후라고 하더라도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 뇌졸중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 것들로서 `위험인자` 라고 불리는 것들을 먼저 알아야겠다. 뇌졸중을 예방하는 데는 의사가 처방하는 약만으로는 부족하다. 앞으로는 위험인자를 잘 조절하여 더 이상 뇌졸중이 생기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환자가 꼭 협조하여야만 예방이 제대로 된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 PDF

특집 : 올바른 신장합병증 관리를 위해 - 예방과 조기발견이 최선 - 당뇨병성 신증 어떻게 진단하나

  • 사단법인 한국당뇨협회
    • The Monthly Diabetes
    • /
    • s.261
    • /
    • pp.16-17
    • /
    • 2011
  • 당뇨병성 신증은 당뇨병의 제 3대 합병증 중 하나로 당뇨병환자가 사망하게 되는 주요 원인중 하나이다. 신장합병증의 경우 당뇨병환자의 약 30%에게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 후 말기신부전증까지 진행이 되면 투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두려워하는 합병증 중 하나이며, 삶의 질적인 면에서도 손상이 커 혈당조절이 안정적으로 관리해서 신장합병증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PDF

경구혈당강하제와 관련된 운동요법

  • 제세영
    • The Monthly Diabetes
    • /
    • s.173
    • /
    • pp.32-33
    • /
    • 2004
  • 당뇨병 환자에 있어 규칙적인 운동은 인슐린 민감도를 좋게 하여 혈당조절을 원활하게 하고 체중을 감소시키며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거나 지연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슐린이나 경구혈당강하제를 치료받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단독적으로 약물만 치료할 때 보다 운동을 병행할 경우에는 혈당관리 및 합병증 예방에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운동은 당뇨병 환자들에게 필수적으로 권고 되어지는 요소이다.

  • PDF

'당뇨'의 올바른 길잡이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내분비내과

  • Hong, Ji-Yeong
    • The Monthly Diabetes
    • /
    • s.206
    • /
    • pp.61-63
    • /
    • 2007
  • 잘못된 생활습관, 운동량 감소, 비만, 스트레스 등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인의 '당뇨 전쟁'이 시작되고 있다. 따라서 매년 증가하고 있는 당뇨병환자와 당뇨병전단계의 환자를 위한 국가적인 관리와 예방 또한 필요한 실정이다. 본 호에서부터 게재되는 '당뇨인을 위한 병원 탐방'에서는 각 대학병원 또는 개인병원의 내분비내과와 당뇨교실 등을 직접 찾아 소개하고 병원마다의 특성과 당뇨 예방과 관리를 위한 방법을 직접 들어보고자 한다. 이번 호에는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을 찾아가 보았다.

  • PDF

당뇨병의 예방및 관리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6 no.11 s.288
    • /
    • pp.6-13
    • /
    • 2002
  • 지난 30여년 동안 급속한 경제 성장과 생활 양식의 변화는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고 한국인의 질병 양상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동물성 식품과 지방질 섭취의 증가, 신체활동 감소,노령인구 증가, 생활양식의 서구화 및 도시화 등은 한국인에서 만성질환의 발생과 이환을 증가시키고 있다. 통계청의 2001년 사망원인통계를 보면 1위가 암, 2위가 뇌혈관 질환, 3위가 심장질환, 4위가 당뇨병, 5위가 간질환으로 모두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만성질환이다. 이중에서도 당뇨병은 지난 1991년 이후 암 다음으로 많이 증가한 질병으로 인구 10만명 당 23.8명이 당뇨병으로 사망했으며 하루 평균 당뇨병으로 31명이 사망한다. 2002년 4월, 대한당뇨병학회의 "한국인의 당뇨병 발생 현황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의 당뇨병 유병률은 10%선으로 최소 3백만명에서 최대 5백만명 정도가 당뇨병을 앓고있다. 우리나라는 식생활의 서구화, 고령화 등으로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생활 양식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앞으로 10년 안에 전체 국민의 1/4정도인 1천2백만명 가량이 당뇨병으로 고통을 받게 될 것이라 한다. 당뇨병은 당뇨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만성 합병증이 매우 무서운 병으로 일단 발병하면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정상으로 회복되기 어렵다. 따라서 합병증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특별한 임상 증상이 없더라도 당뇨병을 처음 진단 받은 날부터 주기적인 검진을 통하여 조기에 발견해 낼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이와 더불어 주기적인 혈액 검사와 주치의 면담을 통하여 정상 혈당을 유지할 수 있는 혈당 조절 방법과 함께 만성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활 습관 개선(금연, 금주,표준체중 유지,규칙적 운동,정상 혈압 유지,정상 혈중 지질 유지등)을 반드시 실천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