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당뇨 관련요인

Search Result 18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노인 당뇨환자의 당뇨 자가관리와 관련요인)

  • Kim, KiSook;Ko, JiWoon
    • 한국노년학
    • /
    • v.32 no.4
    • /
    • pp.961-973
    • /
    • 2012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levels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and find associated factors of the elderly with Type 2 diabete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64 elderly Koreans over 65 years old who visited one general hospital in S city in South Korea for their medical treatment. In the results, there are fe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related variables according with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DSCA). DSCA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r=-.278, p=.033)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ADLs(r=.310, p=.013)and IADLs(r=.415, p=.001).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implementing self-care activities to the elderly with diabetes based on their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and functional capacities (ADL and IADL). In addition, the advanced research will be needed for developing tailored nursing educations and interventions to improve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of elderly patients.

Analysis of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nd Related Factors for the Local Seniors (국내 거주노인의 당뇨 유병현황 및 관련요인 분석)

  • Sung, Min-Jee;Kim, Eun-Jung;Lee, Hyun-Joo;Noh, Jin-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5
    • /
    • pp.244-250
    • /
    • 2014
  • Recently, the Diabetes Mellitus is the major cause of death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 2011, 34% of adult(over 19 years) are diagnosed as a DM and 21.5% of the aging(over 65 years) are also DM. So in this study, we find out the status of DM prevalence among old people and related factors. Using the results, we will suggest several ways to prevent DM. We us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2006, version1.2)that those diagnosed with Diabetes Mellitus. We carried out X2 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by IBM SPSS 19. 65~79 ages (p=0.006, OR=1.482), Urban people (p=0.008, OR=1.366), People diagnosed with Hypertension (p<0.001, OR=1.237), have high probability of Diabetes Mellitus. However, Subjective health condition(good) (p=0.005, OR=0.648), Subjective health condition(normal) (p<0.001, OR=0.335), and People diagnosed with Chronic lung disease (p=0.002, OR=0.778) have low probability of diabet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politic proposals were disccused.

모든 성인병은 복부비만에서 부터

  • Park, Yong-U
    • The Monthly Diabetes
    • /
    • s.188
    • /
    • pp.23-25
    • /
    • 2005
  • 복부비만(내장지방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임상에서는 대사증후군의 형태로 나타나고,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적 요인, 운동부족, 섭취량 과다, 고지방 고단순당식 등이 주요 원인이며, 치료는 원인을 찾아 이를 해결하고 동반질환이나 위험요인을 치료하며 식사요법과 운동을 병행하여 체중을 줄이고 필요한 경우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 PDF

당뇨병환자의 발에 나타나는 말초혈관질환

  • Han, Seung-Gyu
    • The Monthly Diabetes
    • /
    • s.213
    • /
    • pp.14-16
    • /
    • 2007
  • 당뇨병 합병증 중의 하나인 당뇨발을 일으키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련된다. 이들 요인 중 특히 조심해야 할 사항이 세 가지 있는데 말초혈관이상, 세균감염, 신발 등에 의해 발에 가해지는 과도한 압력이다. 세균감염이나 부적절한 신발착용, 보행에 의한 발부위의 압력증가는 적절한 치료와 주의를 통해 충분히 극복 될 수 있는 문제지만 말초혈관병변은 사실 불가항력적인 면이 있기 때문에 가장 치료가 어려운 부분이다. 따라서 당뇨발 환자의 말초혈관질환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 PDF

Factors Influencing Influenza Vaccination Among Korean Adults Diabetic Patients (우리나라 성인 당뇨병 환자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관련요인)

  • Park, Ji-Hy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6
    • /
    • pp.447-45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za vaccination rate and vaccination-related factors in adult diabetics in Korea using the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KCHS). Data on 228,261 adults aged 19 years and over were derived from the KCHS, which was conducted in 2015.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behavior, comorbid disease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analyzed for their relationships with influenza vaccination by the chi-squared test and multiple logistic analysis. As a result, the level of influenza vaccination rate among adult diabetics in Korea was as low as 62.4%. For those with diabetes, Influenza vaccination was related with age, gender, education level, residency, marital status, occupation, smoking, health screening, and comorbid diseases (p<0.05).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influenza vaccination rate among diabetic patients, systematic education and publicity are essential to raise awareness of vaccination. At the same time,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m with their policies such as free vaccination expansion.

Diabete Care: Pharm story - 당뇨병과 정신건강

  • Lee, Ji-Hyeon
    • The Monthly Diabetes
    • /
    • s.288
    • /
    • pp.51-57
    • /
    • 2013
  • 당뇨병과 정신건강은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 당뇨병이 스트레스나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데 다른 정신건강 문제와도 관련이 있을까? 당뇨병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만도 수월하지 않은 당뇨병 환자에게 정신건강 관리를 하라는 것은 또 다른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정신건강에 관심을 기울이고 함께 관리하지 않을 수 없다. 건강하고 안정적인 정신건강 상태는 당뇨병 관리의 뒷받침이 되므로 당뇨병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요소이다. 종종 정신건강 문제는 당뇨병 관리의 방해요인이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도 정신건강 관리는 당뇨병 관리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 정신건강 문제들이 어느 정도 해결될 때, 비로소 당뇨병 자가관리를 지속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는 진단기준을 충족시키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가끔은 정신장애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일부 환자는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장기간의 심각한 정신과적 증상으로 고통을 받기도 한다. 당뇨병 진단 후 당뇨병을 심리적으로 수용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정신장애를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정신장애도 만성질환의 속성을 가지므로 정신장애를 동반한 당뇨병 환자는 만성질환 관리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정신장애를 최대한 예방하고 적시에 적절한 치료를 통해 심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당뇨병과 관련 있는 정신장애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 PDF

관상동맥합병증과 당뇨병

  • O, Dong-Ju
    • The Monthly Diabetes
    • /
    • s.194
    • /
    • pp.24-27
    • /
    • 2006
  • 관상 동맥성 심장 질환의위험 요인들은 거의 모두가 평소의 생활습관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관상 동맥성 심장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런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습관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또 효과적인 대책이라고 할수 있다.

  • PDF

Comparision of Health Behaviors, Diabetes Mellitus(DM) 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HRQoL) between DM Groups with and without Diabetic Education Experience (당뇨병 환자의 교육 경험에 따른 건강행태, 당뇨병 관리,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 Lee, Sanghwa;Kim, Hyunli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3 no.2
    • /
    • pp.85-9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compare health behaviors, DM management and HRQoL among Diabetic patients according to education experience.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Community health Survey(CHS) of 2015. The participants were 22,937 diabetic patients who had education experience or not. Data were analyzed on complex sample anaysis using SPSS 24 program. Results: The education experience group showed higher percentages of health behaviors and DM Management and higher HRQoL. The significant negative factors influencing HRQoL were Bed ridden experience, higher subjective stress, depression expereince, age, low education and positive factors were good subjective health status, walking, mod-exercise, drinking, employment, spouse, good subjective happiness.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education experience is a way to help diabetic patients' health behavior, DM management, HRQoL.

지피지기 백전백승: 당뇨병, 복부비만을 조심하라!

  • Gwak, Jeong-Eun
    • The Monthly Diabetes
    • /
    • s.254
    • /
    • pp.34-35
    • /
    • 2011
  • 당뇨병을 유발시키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 비만은 당뇨병 뿐 아니라 심혈관질환 등의 관련된 합병증의 주요 원인으로 악명이 높다. 실제로 2009년 대한 당뇨병학회지에 실린 논문에 의하면 제 2형 당뇨병환자의 80%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나타났다. 비만은 전신적인 지방의 총 양 이외에도 체내 지방의 분포에 따라서 그 위험도가 달라지는데, 특히 복부에 축적된 지방은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더욱 증가시킨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