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rmal Efficiency according to Configuration Change and Contact Resistance of Solar Collector with Single Evacuated Tube-type

단일진공관 태양열집열기의 형상변화 및 접촉저항에 따른 집열효율 연구

  • Choi, Bo-Won (Graduate School, Dept. of Automotive Engineering, Gyeongnam Nat'l Univ. of Sci. and Tech.) ;
  • Yang, Young-Joon (Dept. of Automotive Engineering, Gyeongnam Nat'l Univ. of Sci. and Tech.)
  • 최보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자동차공학과 대학원) ;
  • 양영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자동차공학과)
  • Received : 2014.06.30
  • Accepted : 2014.11.28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e use of solar energy among renewable energy tends to increase because of its infinity and cleanness of resources. Even though the consumption rate of solar energy in our country is still low, however, in recent years, the research for solar energy have been widely conducted due to policy support of governmen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iciency of heat collection using solar collector with single evacuated tube-type. As the results, the temperature of radiation fin for solar collector with single evacuated tube-type was lower in spite of high temperature of heat pipe compared that of double evacuated tube-typ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eat colle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ss of heat collection due to contact resistance as well as performance improvement for solar collector should be decreased.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특히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분야는 자원의 무한 및 청정성 때문에 그 사용량이 증가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에서 태양열에너지의 이용률이 전체 에너지 사용량 중 아직 미미한 실정이지만, 근래 정부의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태양열집열기의 형상 변화에 따른 집열효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단일진공관 태양열집열기를 이용한 실험 및 이중진공관 태양열집열기와의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본 실험장치에서 히트 파이프의 최고온도의 차이로부터 태양열집열기 형상 변화에 따른 집열효율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대상 태양열집열기의 히트파이프의 온도가 비교대상 태양열집열기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방열핀의 온도가 낮게 관측되었다. 이것은 본 연구대상의 태양열집열기는 히트파이프 방열부인 헤드부와 방열핀 사이의 접촉저항이 비교대상의 접촉저항보다 크다는 것을 나타내며, 집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태양열집열기의 여러 부분의 성능개선뿐만 아니라 접촉저항에 의한 집열손실도 감소시켜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임홍탁, 김신, "후발국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의 동력 한국의 :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사업사례 연구", 한국에너지공학회, Vol. 20, No. 4, pp. 267-277, 2011.
  2. 박종찬, 이석호, 이충구, "마이크로 세라믹 윅을 사용한 루프 히트파이프의 특성 연구",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권, Vol. 31, No. 10, pp. 823-831, 2007.
  3. 오승진, 현준호, 김남진, 이윤준, 천원기, "비유리식 진공관의 진공도가 집열판의 열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태양에너지학회, Vol. 28, No. 3, pp. 67-73, 2008.
  4. 김철영, 남명식, 곽희열, "태양열 집열기에 사용되는 구리-유리관 접합기구", 한국세라믹 학회, Vol. 38, No. 11, pp. 1000-1007, 2001.
  5. 정의국, 부준홍, 곽희열, "물-에탄올 혼합물을 작동유체로 하는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용 히트파이프의 작동특성", 한국태양에너지학회, Vol. 28, No. 5, pp. 78-84, 2008.
  6. 김용, 서태범, 강용혁,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의 열성능 해석", 한국태양에너지학회, Vol. 23, No. 2, pp. 43-49, 2003.
  7. 곽희열, 윤환기, 유창균, 강용혁, 전홍석, 한귀영, "태양열 집광형 집열기의 열성능 연구", 태양에너지, Vol. 16, No. 4, 1996.
  8. 김인환, 허남수, 김만석, 이정언, "PTC와 평판형 태양열집열기의 성능평가 비교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Vol. 30, No. 6, pp. 28-33, 2010.
  9. 정원복, 정의국, 장혁, 부준홍, 곽희열, "진공관형 태양열집열기용 히트파이프 개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 pp. 80-85, 2005.

Cited by

  1. Evaluation of Solar Collector to Introduce Natural Convection in Water Tank to Obtain Warm Water vol.17, pp.2, 2018, https://doi.org/10.14775/ksmpe.2018.17.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