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he Economic Effects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ies Sector

  • 임슬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박소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Lim, Seul-Ye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Park, So-Yeon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Yoo, Seung-Hoon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투고 : 2014.10.30
  • 심사 : 2014.12.10
  • 발행 : 2014.12.31

초록

국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논의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방안의 하나로, 우리나라는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률 11% 달성을 목표로 하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국내 신재생에너지 부문은 8개 분야 재생에너지(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와 3개 분야 신에너지(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등 총 11개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정부와 민간의 투자가 늘어나면서,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규명할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12년도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를 분석한다. 둘째, 공급유도형 모형을 활용하여 공급 지장효과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레온티에프 가격모형을 통해 물가파급효과를 도출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된다. 첫째,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1원 생산 또는 투자는 2.1776원의 생산과 0.7080원의 부가가치를 유발한다. 아울러 신재생에너지 10억원 생산 또는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9.0337명이다. 둘째,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1원 공급지장으로 인한 국민경제 전체적인 생산 차질액은 1.6314원으로 분석되어 그 값이 작지 않았다. 셋째, 신재생에너지 부문 산출물의 가격이 10% 오를 때의 국민경제 전체적인 물가파급효과는 0.0123%로 작은 편이다. 이상의 정량적 정보는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생산 및 투자 확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하는 데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The Korean government made the 2nd Energy Basic Plan to achieve 11% of new and renewable energies distribution rate until 2035 as a response to cope with international discussion about greenhouse gas emission reduction. Renewable energies include solar thermal, photovoltaic, bioenergy, wind power, small hydropower, geothermal energy, ocean energy, and waste energy. New energies contain fuel cells, coal gasification and liquefaction, and hydrogen. As public and private investment to enhance the distribu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ies,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economic effects of the new and renewable energies sector. To the end,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an input-output analysis and analyze the economic effects of new and renewable energies sector using 2012 input-output table. Three topics are dealt with. First,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creation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are quantified based on demand-driven model. Second, supply shortage effects are analyzed employing supply-driven model. Lastly, price pervasive effects are investigated applying Leontief price model.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ne won of production or investment in new and renewable energies sector induces 2.1776 won of production and 0.7080 won of value-added. Moreover, the employment-inducing effect of one billion won of production or investment in new and renewable energies sector is estimated to be 9.0337 persons. Second, production shortage cost from one won of supply failure in new and renewable energies sector is calculated to be 1.6314 won, which is not small. Third, the impact of the 10% increase in new and renewable energies rate on the general price level is computed to be 0.0123%, which is small. This information can be utilized in forecasting the economic effects of new and renewable energies sector.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광하,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000.
  2. 김윤경, 김정인,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수소 에너지 도입에 따른 중장기 국내 총산출 변화 분석, 신재생에너지, 제2권, 제1호, 72-81, 2006.
  3. 김윤경, 산업연관표 2009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설비산업의 생산유발효과분석, 신재생에너지, 제8권, 8-17, 2012.
  4. 김태영, 진세준, 박세헌, 표희동,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에너지공학, 제22권, 184-196, 2013.
  5. 박소연, 이경실, 유승훈, 집단에너지 부문과 도시 가스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분석, 제23권, 83-92, 2014.
  6.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2014.
  7. 산업통상자원부,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 2014.
  8. 임슬예, 송태호, 유승훈, 에너지원별 가격조정의 물가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공학, 제22권, 376-385, 2013.
  9. 진세준, 정동원, 권용오, 유승훈, 풍력발전 해외 수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공학, 제 21권, 281-291, 2012.
  10. 홍준석, 박성환, 박중구, 한국 기후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신재생에너지산업을 중심으로, 에너지공학, 제21권, 109-117, 2012.
  11. 한국은행, 2012년 산업연관표, 2014.
  12. Bulmer-Thomas, V. Input-output Analysis in Developing Countries. New York: Wiley, 1982.
  13. Ciaschini, M. Input-output Analysis. London: Chapman and Hall, 1988.
  14. Davis, H. C., Salkin, E. L. Alternative Approaches to the Estimation of Economic Impacts Resulting from Supply Constraints. Annals of Regional Science, 18, 25-34, 1984. https://doi.org/10.1007/BF01287372
  15. Ghosh, A.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25, 58-64, 1958. https://doi.org/10.2307/2550694
  16. Giarratani, F. Application of an Interindustry Supply Model to Energy Issu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8, 447-454, 1976. https://doi.org/10.1068/a080447
  17. Han, SY., Yoo, SH., Kwak SJ. The Role of Four Electric Power Sectors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Policy, 32, 1531-1543, 2004. https://doi.org/10.1016/S0301-4215(03)00125-3
  18. Hirschman, A. O. The Strategy of Economic Developmen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58.
  19. Heo, JY., Yoo, SH., Kwak, SJ. The Role of the Oil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Sources, Part B: Economics, Planning, and Policy, 5(4), 327-336, 2010. https://doi.org/10.1080/15567240802533880
  20. Kwak, SJ., Yoo SH. Chang JI. Role of Maritime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Marine Policy, 29, 371-383, 2005. https://doi.org/10.1016/j.marpol.2004.06.004
  21. Miller, R. E., Blair, P. D.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New Jersey: Prentice-Hall, 1985.
  22. Miller, R. E., Polenske, K. R., Rose, A. Z. (ed.) Frontiers of Input-output Analy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89.
  23. Osterhaven, J. Leontief versus Ghoshian Price and Quantity Models. Southern Economic Journal, 62, 750-759, 1996. https://doi.org/10.2307/1060892
  24. Wu, R. H., Chen, C. Y.,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12, 71-76, 1990. https://doi.org/10.1016/0140-9883(90)90010-D

피인용 문헌

  1. The Supply Shortage Effects of Oil Refinery Industry in Korea vol.24, pp.3, 2015, https://doi.org/10.5855/ENERGY.2015.24.3.164
  2. The Industrial Economic Costs of Unsupplied Electricity in OECD Countries using Input-Output Analysis vol.7, pp.4, 2016, https://doi.org/10.15207/JKCS.2016.7.4.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