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가격

Search Result 1,11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new & renewable energy capacity factor in Feed-In Tariff fund (신재생에너지 이용률이 발전차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eon, Byung-kyu;Moon, Joon-sang;Oh, Seok-hw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6a
    • /
    • pp.200-203
    • /
    • 2009
  • 현재 발전차액 지원을 받고 있는 신재생에너지 전원은 태양광, 풍력, 수력, 매립가스, 바이오 가스, 연료전지 등 6개 전원이 있다.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태양광, 조력, 연료전지, 풍력의 기준가격은 고정가격이며, 폐기물은 변동가격이고, 수력, 매립가스, 바이오가스, 바이오매스는 고정가격과 변동가격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난 2년간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실적 이용률을 기준가격 적용 이용률과 비교해 보면 매립가스(20MW 미만), 바이오가스, 연료전지 이용률은 기준가격 적용 이용률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바이오가스는 실적 이용률이 매우낮게 나타났다. 기타 신재생에너지 전원은 실적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발전차액(기반기금)은 기준가격에서 계통한계가격을 뺀 금액을 의미하며 고정가격, 변동가격의 요금선택에 따라 발전차액에 미치는 요소들이 달라진다. 고정가격을 선택한 경우는 계통한계가격, 이용률(전력 거래량)이 영향을 미치며 변동가격을 선택한 경우는 이용률만이 발전차액에 영향을 미친다.

  • PDF

에너지소비절약(消費節約)의 정책수단별(政策手段別) 경제적(經濟的) 효과(效果) -일반균형모형(一般均衡模型)을 이용한 비용(費用)-효과분석(效果分析)-

  • Kim, Seung-Rae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6 no.1
    • /
    • pp.59-86
    • /
    • 1996
  • 본(本) 연구에서는 에너지절약을 위한 주요 정책수단(政策手段)인 저리융자나 세제감면 또는 특별감가상각 인정 등 에너지절약 비용측면의 금융 세제지원이라는 과인성(課引性)정책과, 에너지수요조절를 위한 에너지가격 규제해제(energy price deregulation)나 에너지세(稅)의 추가부과 등 가격관리(조세) 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에너지세(稅)부과의 경우 과세단계별 효과분석을 통하여 바람직한 과세포인트를 선택하고, 이를 통하여 현행 에너지절약 지원(支援)정책이나 에너지가격 및 조세체계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결과, 약간의 물가상승 압박효과를 감수하더라도 에너지가격통제 해제나 에너지세 부과가 금융 세제지원제도에 비하여 에너지절약에 있어 그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에너지과세의 경우 그 대상과 실행시기에 대해서도 신축성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나 에너지의 소비감소라는 효율성 측면과 함께 수반되는 물가압박요인을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단기적으로 에너지가격의 상승을 감수하더라도 DSM 프로그램비용을 자본화해 나감으로써 점진적으로 가격상승요인을 흡수하고 효과적인 에너지소비의 절약을 통하여 국민경제의 에너지비용을 줄여나갈 수 있는 종합적인 에너지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background for import-cost linked gas pricing (천연가스 가격의 원료비 연동 필요성)

  • 박연홍;남궁윤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8.05a
    • /
    • pp.185-190
    • /
    • 1998
  • 요즈음 국제 에너지 회의 등에서 에너지가 더 이상 공공재가 아니며, 소비재로서 적정한 서비스 대가를 받아야 한다는 지적이 자주 거론된다. 그동안 경제성장 과정에서 우리 제품의 해외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에너지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게 추진해온 바 있다. 이 같은 저에너지 가격정책이 에너지 과소비와 비효율적 사용을 부추긴 원인의 하나였다고 볼 수 있다. 최근 국제 경제위기가 촉발된 '97년 말부터 에너지 가격이 폭등하였는데, 이것이 비록 정책적인 원인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환율 급등에 따른 것이었지만, 그 여파로 에너지 소비가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 것이 이점을 증명해준다 하겠다. (중략)

  • PDF

An Implication of Korean Renewable Energy Policy Through the Review of a Foreign Renewable Energy Policy (외국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의 검토를 통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의 개선방향)

  • Kim, Yu-Jin;Kim, Su-D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618-627
    • /
    • 2005
  • 본 연구는 신 재생에너지 보급제도 중 하나인 발전차액지원제도가 중유발전설비의 회피비용으로 기준가격을 책정하여 신 재생에너지원의 적정구매가치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발전차액의 보전은 소비자의 직접적인 부담 대신 전력기반기금을 통해 지원됨에 따라 보급제도의 지속가능성 문제가 있음에 주목하여, 그 대안으로 도입을 검토 중인 RPS와 독일, 프랑스의 FITs제도를 검토하여 보았다. RPS는 시장기능을 이용한 가격결정 등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시행 상 예상되는 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 마련의 필요성 등의 문제를 간과할 수 없다. 독일의 FITs는 시장을 통한 가격결정이 아닌 정책적으로 가격이 책정된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으나 신 재생에너지의 현장조건 등을 고려한 차별적인 가격산정방식과 기간별, 에너지산출량별 가격조정방식으로 문제를 보완하고 있다. 독일의 FITs제도와 프랑스의 가격산정모형을 국내 기준가격산정방식에 관련된 연구들과 비교 검토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해당에너지의 소비자가 직접 비용을 부담하게 함으로써 신 재생에너지보급정책이 지속 가능한 대안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수송용에너지가격체계 문제점 및 개편방안

  • Korea LPGas Industry Association
    • LP가스
    • /
    • s.92
    • /
    • pp.4-8
    • /
    • 2004
  • LPG가격공동대책위원회는 열린우리당을 방문하여 수송용에너지가격체계 문제점 및 개편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조속한 수송용에너지가격체계 개편을 건의했다.

  • PDF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 개선 및 RPS 제도 연계방안

  • Rhee, Chang-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519-529
    • /
    • 2005
  • 국내에서 시행중인 발전차액지원제도는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목적으로 2002년부터 시행 중에 있으며, 법적으로 인증된 신재생에너지 발전전원에 대하여 일종의 우대가격인 기준가격을 적용하고 있다. 2002. 5월에 최초 고시된 기준가격지침 고시기준은 그동안 두 차례의 개정을 거친 바 있으며, 2006년 10월경에는 전면 개정을 앞두고 있다. 향후, 개선될 기준가격 시스템은 국내의 현실적인 여건 등을 감안하여 대상 전원별로 고정, 또는 선택적인 요금제를 통하여 탄력적인 기준가격체계를 적용하는 방향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 of Energy Prices on Investment Sentiment: Applying the Wavelet Analysis Method (에너지 가격이 투자 심리에 미치는 효과 분석: 웨이블릿 분석 방법 적용)

  • Choi, Ki-Hong;Kim, Dong-Yoo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7 no.2
    • /
    • pp.119-131
    • /
    • 2021
  • Energy is an essential element in economic activity and people's lives, an important resource used by various industries, and the financialization of commodity markets has led to the growing importance of crude oil turning into the same asset as other assets. Accordingly, studies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energy prices and investor sentiment explain that investor sentiment affects oil prices through economic factors and speculation. In this study, we wanted to analyze whether the impact of the most representative changes in oil prices affects investor decision making, affecting investor sentiment, and applying wavelet consistency analysis to determine how energy prices relate to investor sentiment. Studies show that policies should be focused on policy and market changes because energy prices differ by time scale and investment sentiment should be more influential in the long term than in the short term.

A Study of Natural Gas Pricing by Computer Simulation Based on a Marginal Cost Concept (한계비용을 기준으로 한 천연가스 가격책정모형에 관한 연구)

  • 남궁윤;목영일;최기련;이수복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3.05a
    • /
    • pp.101-105
    • /
    • 1993
  • 국내 천연가스 공급가격을 산정하기 위해 천연가스 가격책정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가스공사 공급가격과 도시가스회사 공급가격을 구하고 도출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LNG를 전량 수입하는 국내 상황에서 천연가스가격은 외부조건과 기술여건에 상당히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모형에서 구한 가격을 현행 소비자가격과 비교하였을 때 모형에 의해서 도출된 가격이 다소 높이 책정되었으며, Peak 기간과 Off Peak 기간에 뚜렷한 가격격차를 나타내었다.

  • PDF

탄소세 부과의 경제적 효과 - 에너지 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분석 -

  • Lee, Man-Gi;Kim, Seung-Su;Mun, Gi-Hwan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7 no.2
    • /
    • pp.137-169
    • /
    • 1998
  • 본 연구는 탄소세 부과가 우리 나라의 에너지 및 국민 경제에 미치는 충격의 영향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에너지-경제 연계 계량경제모형을 수립하였는데 본 모형은 기존의 거시경제모형을 수정한 후 에너지 모형과의 연계를 통해 에너지 부문의 충격이 경제부문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배출량에 대한 규제가 탄소세 부과를 도입하도록 유도하고 에너지가격의 상승과 에너지수요를 감소시킴으로써 경제부문의 생산을 위축시키는 흐름도를 가정하고 있다. 분석의 과정에서 탄소세 부과가 에너지 및 국민경제 부문에 미치는 효과의 측정은 에너지가격 및 수요변화, 국내총생산액의 변화 등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탄소 배출량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탄소세가 상당히 높게 부과되어야 하며 전력가격 및 에너지가격의 상승에 미치는 효과와 국내총생산액 등 주요 경제 변수에 미치는 충격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계량경제모형을 통하여 여러 가지 정책수단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정책의 효과분석 및 동 분야의 향후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Methodologies of Feed-in Tariffs for Renewable Energy Generation (신재생에너지 구입가격 결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 Cho, Ki-Seon;Jo, In-Seung;Rhee,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1177-1178
    • /
    • 2006
  • 본 논문은 해외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의 구입가격에 관한 제도 및 구입가격 결정 방법론을 통해 시사점을 파악하여 활용방안을 도출한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은 기존 전원에 비해 발전원가 수준이 높은 상황에서 보급확산을 위해 유럽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 구매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발전차액지원제도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력을 높은 가격에 의무구매하고 있는 상황에서 해외 주요국의 제도현황과 접근방법을 파악하여 국내 발전차액지원제도의 수립에 활토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