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Jondeokjeong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창덕궁 후원 존덕정(尊德亭)의 조영사적 특성

  • Song, Suk-Ho (Major in Environmental Planning &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
  • Sim, Woo-Ky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 송석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 전공) ;
  • 심우경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Received : 2014.01.29
  • Accepted : 2014.03.24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The purposes for this research were to find the correct building background of Jondeokjeong(尊德亭)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昌德宮)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for the area of Jondeokjeong and investigate the internal theory of construction through the metaphysical consider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uilding background of Jondeokjeong was related to Sohyunseja(昭顯世子) and Bongrimdaegun(鳳林大君) as forms of rear garden where was not built in the area of Jondeokjeong, bamboo pavilion, hexagonal pavilion, octagonal pavilion, etc. They were built two or three times after returning of Sohyunseja and Bongrimdaegun from China, and the area of Jondeokjeong was continuously developed by building Chunhyanggak(天香閣), Mangchunjeong(望春亭) and Cheoknoidang(滌惱堂) after Hyojong(孝宗) succeeded the royal authority of Hyunjong(顯宗) who was born in Shenyang(瀋陽) and hung a signboard of Jondeokjeong after then, etc. 2. Dazhengjeon(大政殿) of Shenyang Palace(瀋陽故宮, 1625) played the roles of major hall, Jeongjeon(正殿) which held national big events as a one-storied building with two piles of roof similar with Jondeokjeong (1644). Also, it was the building encountered when Sohyunseja and Bongrimdaegun participated in breakfasts held in the palace or banquets supervised by a king, so building background of Jondeokjeong was judged to be related with Dazhengjeon. 3.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which are shown commonly in Jondeokjeong and Dazhengjeon, relations of two buildings were verified and characteristics of Jondeokjeong were examined. First, dragon which is representatively symbolizing royal authority was formed. Therefore, Jondeokjeong was judged as a garden building which purposes were to obtain and train natural reasons, govern the nation and let people comfortable. Second, the purposes of sun dial, Ilyoungdae(日影臺) were judged to examine the accurate time and express appropriateness of the king. Third, Taechungmun(太淸門) around there is related to Samcheong(三淸) of Taoism and judged to be caused by floral wall and secular happiness accomplishment for king's longevity without disease. Fourth, for building style, one-stories pavilion of duplicated roof and building with only cylinder were to king's embodiment of supporting the sky and governing the nation.4) 4.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Jondeokjeong and Dazhengjeon, Jondeokjeong's own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First,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Jondeokjeong were changed by existing of pond and it was changed for characteristics, location and function of pavilion built in the garden while accepting oversea culture and embodied by absorbing to Joseon culture. Second, the appearance of the pond in Jondeokjeong was shown as the situation that half moon typed pond with the form of young moon is full by stream to the East. It was to express movement of moon which was always changed through the form of pond and stream of water iconographycally and it was considered as an imaginary environment method of the period.

본 연구는 창덕궁 후원이 세계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물리적인 구조물로만 인지되고 있는 경향이 많아 진행하게 되었으며, 존덕정 일원을 대상으로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존덕정의 올바른 조영배경을 밝히고 고찰을 통해 내재된 조성원리를 구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요약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존덕정 권역에 그동안 후원에 조영되지 않은 형태인 죽정과 육각정, 팔각정 등이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두, 세 차례 귀근과 귀국에 맞물려 조영된 점과 효종이 왕위를 계승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천향각, 망춘정, 척뇌당을 조영하는 등 존덕정 일원의 개발을 늦추지 않은 점, 심양에서 태어난 현종이 훗날 존덕정의 현판을 직접 편액한 점 등에서 존덕정의 조영배경에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결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심양고궁 대정전(1625년)은 존덕정(1644년)과 같이 두 겹의 지붕을 갖는 단층건축물로 국가의 큰 행사를 거행하는 정전의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궁에서 열린 조참이나 황제가 베푸는 연회에 참석하였을 당시 당면했던 건물이기 때문에 존덕정의 조영배경에 대정전이 결부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3. 존덕정과 대정전에서 공통적으로 보이고 있는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두 건축물의 연관성을 증명하고 존덕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째, 왕권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신수인 용이 형상화되어 있다. 그러므로 존덕정은 자연의 이치를 체득하여 수신하는 목적이외에도 치국안민의 뜻이 가미된 정원건축물로 판단하였다. 둘째, 일영대를 둔 점은 정확한 시간을 알기 위한 것 외에도 군왕의 당위성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셋째, 주변에 태청문이 존재하는 점은 도교의 삼청과 연결되며 꽃담과 더불어 왕의 불로장생을 염원하는 현세적 행복성취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건축양식에 있어서 겹 지붕의 단층 정자이고 원기둥만을 사용하여 조영한 점은 왕이 봉천지정의 뜻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4. 존덕정과 대정전의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써 존덕정만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첫째, 지당의 존재 유무에 따라 존덕정의 건축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외래문화를 수용함에 있어서 정원 속에 조영되는 정자의 특성, 입지, 기능에 알맞도록 변용한 것이며 우리문화에 습합되어 구현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존덕정에 표현된 지당의 모습을 상현달 형태의 반월지가 동쪽에 흐르는 계류에 의해서 만월이 되는 형국으로 보았다. 이는 지당의 형상과 물의 흐름을 통해 항시 변화하는 달의 운행을 도상학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써 당대의 상상적 조경 수법으로 판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樓慶西 저, 한동수 역(1996). 중국고대건축총서I궁궐건축. 서울 : 발언.
  2. 孟彭興 저, 김순림 역(2008). 중국을 말한다 14 석양의 노을. 서울 : 신원문화사.
  3. 計成 저, 김성우, 안대회 역(1993). 원야. 서울 : 예경.
  4. 李允鉌 저, 이상해, 한동수, 이주행, 조인숙 역(2000). 중국고전건축의 원리. 서울 : 시공아트.
  5. 강성애(1998). 조선시대 궁원의 괴석에 대하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강세황 저, 김종진, 변영섭, 정은진, 조송식 역(2010). 표암유고. 파주 : 지식산업사.
  7. 경기도박물관(2008). 심양고궁 박물원 소장 淸 황실 보물전 도록. 경기도박물관.
  8. 구미래(2012). 달의 민속. 불교신문 2876호.
  9. 국립중앙박물관(2010). 고려동경 거울에 담긴 고려 사람들의 삶. 서울 : 국립중앙박물관 역사부.
  10. 국립고궁박물관(2011). 조선왕실의 천문 과학문화. 2011년도 국립고궁박물관 학술연구용역 보고서.
  11. 국립중앙박물관(2013). 한국의 도교문화 행복으로 가는 길. 서울 : 국립중앙박물관.
  12. 김규원(2013). 사찰 홍예교에 내재된 의미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2013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pp.3-7.
  13. 김남윤(2012). 소현세자의 인질생활, 심양일기. 장서각 아카데미 2012 역사문화강좌 자료집.
  14. 김정호(2013). 만주족 주거문화의 수수께끼. 파주 : 이담.
  15. 담헌서(한국고전종합DB).
  16. 문화재청(2006). 궁궐 주련의 이해. 고궁 주련 학술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서.
  17. 민경현(1998). 주종첨과 부등변삼각의 미. 서울 : 예경.
  18. 배미정 해제(2006). 천향각기적록. 한국학중앙연구원(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19. 손용훈, 함광민(2011). 창덕궁 후원의 시문분석에 의한 의경과 경관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3) : 123-133.
  20. 송석호(2013). 창덕궁 후원 존덕정 일원의 조영사적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심우경(2010). 조경학에서 상상환경복원에 관한 교육의 필요성. 한국전통조경학회 2010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pp.15-17.
  22. 심우경, 박주성, 정용조(2010). 광한루원에 내재된 상상환경요소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1) : 38-48.
  23. 심전고(한국고전종합DB).
  24. 안경전(2006). 개벽 실제상황. 서울 : 대원출판.
  25. 어제궁궐지(K2-4363, 5-1, 장서각소장).
  26. 열하일기(한국고전종합DB).
  27. 임영주(2004). 한국의 전통문양. 서울 : 대원사.
  28. 정동오(1986). 한국의 정원. 서울 : 민음사.
  29. 정우진(2011). 동궐후원의 변천과정과 원형경관 해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정재서(2006).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31. 조선왕조실록(한국고전종합DB).
  32. 증보어제궁궐지(K2-4363, 5-2, 장서각소장).
  33. 한국건축가협회(2013). 한국건축개념사전. 파주 : 동녘.
  34.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문화사. 서울 : 대가.
  35. 허균(2010a). 서울의 고궁산책. 서울 : 새벽숲.
  36. 허균(2010b). 십이지의 문화사. 파주 : 돌베개.
  37. 허균(2011). 궁궐장식, 조선왕조의 이상과 위엄을 상징하다. 파주 : 돌베개.
  38. RuJinghua, PengHualiang(2012). Palace Architecture-Imperial Palaces of the Last Dynasty. China Architecture & Building Press.
  39. http://105man.blog.me/110148756668(백오인의 주유천하)
  40. http://blog.daum.net/kieury/11296076(즐거움을 찾아서)
  41. http://blog.daum.net/kdn2801/6032385(대지의 나그네)
  42. http://blog.daum.net/ribbon3/4199581(지니와 함께하는 심양 이야기)
  43. http://whc.unesco.org(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44. http://www.hanokschool.biz(한옥학교)
  45. http://www.mfa.org(보스턴 미술관)

Cited by

  1.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Buyongjeong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 Palace vol.34, pp.1, 2016, https://doi.org/10.14700/KITLA.2016.34.1.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