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Design of Narrative Structure for Documenting Environmental Conflicts : Case of Mi-ryang Transmission Towers Construction Conflicts

환경갈등의 기록화를 위한 내러티브 설계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을 사례로

  • 설문원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4.09.30
  • Accepted : 2014.10.20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Documenting environmental conflicts will be a priority target for documenting localities, because those conflicts are critical events that make intensive 'place experiences' of local residents. This study is to design a narrative structure for documenting conflicts in the process of Transmission Towers Construction in Miryang. This study begins with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nflicts, and draws a conflicts documentation model including basic rules, narrative structure and development process. Basic rules are set up as mixed documentation of memory and evidence, application of 'frame', and dynamic description. Based on the rules, this study suggests a dynamic and open narrative framework adopting the metadata model of ISO 23081. This model is applied to documenting Transmission Towers Construction Conflicts in Mi-ryang. The full narrative and 'frame' of the conflicts are set after analysing development and issues of the conflicts, stakeholder, and properties of each conflict problem. Records descriptions are related to the context(each event occurred in the conflicting conditions, mandates, and stakeholder) descriptions to make multiple narratives in digital environments. Event description contains elements for articulating the 'frame' of each party of the conflict. The merits of this model are; i) to accumulate the adequate context information systematically by adopting dynamic narrative model, and ii) to acquire the new items and connect them to related items easily and consistently through multi-entity description. This documentation model of environmental conflicts may support to shape the collective memory of community, and to achieve good governance by managing conflicts in the process of locating non-preferred facilities with due regard to values and perceptions of residents and communities.

환경갈등은 지역주민들의 장소 경험이 압축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역의 핵심 사건이며 로컬리티 기록화에서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영역이다. 이 연구는 밀양 고압 송전탑 건설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주민이 10년에 걸쳐 경험한 환경갈등을 기록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갈등사건의 기록화는 이해관계자들의 입장과 관점에 대한 이해 없이 추진하기 어려우며, 기록의 수집 기술이 갈등의 내러티브에 따라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프레임을 고려한 동적 내러티브 구조를 제안하였다. 먼저 환경갈등의 특징을 조사한 후, 환경갈등 기록화의 원칙과 절차, 내러티브의 구조와 개발 절차가 포함된 모형을 설계하였다. 갈등 기록화 원칙은 복합적 기록화, 프레임 적용, 동적 내러티브의 구현으로 설정하였다. 동적 내러티브가 형성될 수 있는 기록화의 구조는 ISO 23081의 메타데이터 영역을 응용하여 설계하였으며, 내러티브 설계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 모형을 밀양 송전탑 건설 갈등 사례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갈등사건의 전개과정, 쟁점, 이해관계집단, 갈등의 성격 등을 분석한 후 갈등의 전체 내러티브 및 프레임을 설정하였다. 기록생산 맥락에 대한 기술(사건, 법규, 이해관계자)과 기록 기술을 연계하고 각 사건 기술에 사건을 둘러싼 대립되는 프레임을 추가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중층적 내러티브를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 모형의 장점은 사건, 이해관계자, 법규에 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축적함으로써 기록 생산 맥락정보를 풍부하게 제공하고, 다중 개체를 이용한 동적 기술 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정보의 갱신과 추가, 연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방식의 환경갈등 기록화는 공동체의 집단기억 형성을 지원하며 비선호시설의 입지 사업을 추진할 때 지역민의 가치와 인식을 고려한 거버넌스 행정이 이루어지도록 촉구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Cited by

  1. 기록학과 윤리적 관점 vol.50,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6.50.005
  2.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vol.51,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7.51.175
  3. 역사학과 기록학 학문의 인연, 학제의 괴리 vol.54,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7.54.179
  4. 차세대 공공 전자기록의 조직 모형 개발을 위한 방향 탐구 vol.56,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8.56.183
  5. 동시대 사건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 연구 L코믹스 사태를 중심으로 vol.62, pp.None,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9.62.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