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lementing a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 Archives for Shipbuilding Labor Digital Archives in Young-do, Busan Metropolitan City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실행 방안 부산 영도 지역 조선(造船) 노동 아카이브 구축을 위하여

  • 현문수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 전보배 (부산대학교 기록관리협동과정) ;
  • 이동현 (부산대학교 기록관리협동과정)
  • Received : 2014.09.29
  • Accepted : 2014.10.20
  • Published : 2014.10.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a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 archives for shipbuilding labor archives in young-do, Busan, and to find possibilities of building digital labor archives as participatory ones. The methodology of locality documentation has been applied, and locality archives accepting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experiences from shipbuilding industry have been examined. Omeka was applied because it is an open-source software and provides additional functions which support various user participations and web-publishing. Following the the model, firstly,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nd research of participatory agents and records was proceeded. Secondly, it collected and described information of the agents and records by institutions with records and provenance. Thirdly, it developed archival contents specific to events, persons and workplaces in association with archival information. For the follow-up study, plugins were installed and tested to apply for further experiment with participation.

이 연구는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을 부산 영도 지역의 주요 산업인 조선 산업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노동 아카이브 구축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참여형 기능을 갖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록 수집에서부터 아카이브 구축까지 기본적인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을 적용하면서도 특정 공간과 공간에서의 산업 경험을 공유한 주체들의 참여를 수용할 수 있는 아카이브 구축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아카이브 구축 실험에 사용한 도구는 오메카(omeka)이며, 개방형 소프트웨어이면서도 참여 기능을 다양하게 지원할 뿐 아니라 디지털 공간에서 기록을 다각적으로 연계한 콘텐츠 구축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어 실험에 적용하였다.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이 제시하는 절차에 따라, 선정된 대상을 중심으로 예비 조사를 거쳐 참여 주체와 맥락 및 기록을 조사하고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기록은 소장처와 출처를 중심으로 집합을 구성한 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아카이브에 축적된 기록 및 기술정보를 연계 활용하여 사건, 인물, 사업장별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후속연구로 진행될 참여 실험을 위해 오메카 추가 기능 중 참여를 지원하는 기능을 추가 설치하고 그 기능사용을 실험해보았다. 마지막으로 구축 실험의 의미와 한계를 밝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