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xpression and Stress Coping Style on their Human Nature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 허수윤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 서현아 (경성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12.14
  • Accepted : 2014.02.12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xpression and stress coping style on their human natur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how teachers' human nature, self-expression and stress coping style are correlated with another and determine how much human nature is influenced by the other variables, ultimatel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necessary for improving the humanity of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rrelation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xpression, stress coping style and human nature were investigated to find that those teachers' human nature and self-expression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that the two variables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eir stress coping style. Second, the influences of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self-expression and stress coping style on their human nature were analyzed to find that the human nature of those teachers as a whole and some sub-areas of the variables like positive self-concept and human creativity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ir self-expression and stress coping style.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how to establish and manage a curriculum that helps to improve the human natur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f junior colleges. It also hopes to find effective ways to manage the department of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성과 자기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를 파악해보며, 각 변인들이 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봄으로서 예비유아교사의 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인성과의 상관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과 자기표현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검증하였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도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인성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인성 전체와 인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자아개념과 창의 인성은 자기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 예비유아교사 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과정운영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2008).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 30(1), 1-38.
  2.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2008). 인성교육. 서울: 양서원.
  3. 교육과학기술부(2010). 유아교육선진화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2013). 2013년도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심리학용어사전(2000). 교육심리학 용어사전. 서울: 학지사.
  6. 권영희(2010).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체방식이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직장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9(3), 487-498.
  7. 김경신(2010).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동호, 최종홍(2003). 집단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형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9. 김미경(2007). 정서성 및 성격적 특성과 가족탄력성의 관계. 상담학연구, 8(1), 395-409.
  10. 김옥희(2003). 진로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과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16(2), 141-153.
  11. 김용성(2011).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관련 배경변인에 따른 창의성 교육에 대한인식차이.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용조(2001). 초등학부모가 본 초등교서의 인성적 자질.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36, 267-295.
  13. 김지현(2007). 교사, 학부모가 선호하는 유아교사의 자질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형재, 김경미, 가종순(2010). 예비유아교사의 두뇌우성 사고유형과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 사고개발학회, 6(1), 125-154.
  15. 김호숙(2005).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화숙(2008). 유아교사의 특성에 따른 창의적 인성과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 수행.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류말순(2002). 유치원 인성교육 실태 및 인성교육에 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류혜숙, 조형숙(2008).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대학 입문 경험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49-276.
  19. 문용린, 최인수(2010). 창의.인성교육의 총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심포지움, 2010(10), 21-29
  20. 박상희, 김경의, 이효숙(2005).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교사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2(4), 165-185.
  21. 박수진(2009). 유치원 교사의 교직윤리의식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박윤아(2003).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박은혜(2013).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24. 박정선(2006). 인성교육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변경애(2008). 유아교사의 바람직한 자질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변창진, 김성희(1980). 주장훈련프로그램. 학생지도연구, 13(1), 51-85.
  27. 서미옥(2003). 성별과 전공계열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창의적 인성의 관계. 교육학연구, 41(4), 259-283.
  28. 설혜정(1999). 유아교육기관 내 동료교사 간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손진희(2008). 인성교육 참여가 청소년의 심리,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송명숙(1992). 대학생의 자기표현성에 관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신경희(1996). 교권확립을 위한 방안탐색.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신은수(2007). 세계 유아교육 학제와 유아교육과정의 비교분석. 아동교육연구, 15(4), 97-116.
  33. 신혜영(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신혜진, 김창대(2002).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4(4), 919-935.
  35. 양옥승(2002).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 Education in Korea. 유아교육학논집, 19(1), 25-43.
  36. 원인숙(2011). 유아 인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과 실태 비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경민(2010). 유아교사 인성교육세미나. 미간행,
  38. 이병래(2005). 예비부모로서의 대학생을 위한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 적용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0(4), 157-175.
  39. 이유미(2009). 인지적 대인관계 문제해결훈련이 결손가정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이은화(1985). 유아교육교사의 역할과 바른자세. 새세대 육영회 유아교사 연수자료,
  41. 이종문(1999). 심리극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이진화(2011).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6(1), 127-144.
  43. 이희경, 김성수(2010). 전문대학 3년제 유아교육과 전공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유아교사역할과 관련하여. 영유아연구, 12, 75-96.
  44. 윤기영, 손영빈(2010). 유아교육사상사. 서울: 양서원.
  45. 장은영, 박정윤, 이승미(2012). 유아, 초등교육 내에서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 가정관리학회지, 30(2), 87-99.
  46. 전재선(2011). 유아교사 인성 자기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정동화(2009).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불안 및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의 효과. 교육문제연구, 33, 221-244.
  48. 정은주(2005). 유아의 행동적.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아동교육, 10, 83-95.
  49. 조난심(2004). 인성평가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50. 조은명(2010). 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 및 유아 창의성 증진을 위한 역할수행과 놀이교수 효능감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조형숙, 이경민(2004).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영유아교사 양성체제 확립방안. 유아교육학논집, 8(4), 219-237.
  52. 채진영(2013).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육지원학회지, 9(6), 223-241.
  53. 최윤정, 이경민, 이민정(2010).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2010 한국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분과토론자료.
  54.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2).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 및 대처방안 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211-239.
  55. 황희숙, 강승희(2005).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 및 성격유형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0(2), 131-150.
  56. 홍길희(2013).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우울이 직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육지원학회지, 9(1), 263-280.
  57. Adler, A. (1993) The Individual Psychology of Adler. Eds, H.l. Anbacher & R. R. Anshacher. New York : Basic book inc.
  58. Arnon & Reichel (2007). Who is the ideal teacher? Am I?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perception of students of education regarding the qualities of a good teacher and of their own qualities as teachers. Teachers and Teaching, 13(5), 441- 464. https://doi.org/10.1080/13540600701561653
  59.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 Bantam Books.
  60. Kovess-Masfety. (2008). Psychological distress in first year university students: socioeconomic and academic stressors, mastery and social support in young men and women.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4(8), 643-650.
  61.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62. Lazarus, R. S., & Folkman, S. (2001). 스트레스와 평가 그리고 대처. 김정희(역). 서울: 대광문화사. (1984년 원저 발간).
  63. Noddings, N. (2006). Critical Lessons: What Our School Should Teach.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ited by

  1. 어린이집 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vol.13, pp.4,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4.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