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지산업 육성을 위한 표준화 방안 연구

A Study on Standardization Plan to Foster Hanji Industry

  • 장세길 (전북발전연구원 문화관광연구부)
  • 투고 : 2014.08.08
  • 심사 : 2014.09.20
  • 발행 : 2014.09.30

초록

이 논문은 농촌의 전통문화자원인 한지의 산업화를 위한 표준화의 방향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한지는 종이로서의 쓰임새를 넘어, 융복합화를 통해 건축용, 농업용, 의류용, 의료용, 식품용으로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표준화가 미흡해 한지시장 확대가 한지관계자의 수익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표준화를 위해서는 첫째, 다른 종이와 차별화되는 한지 고유특성을 반영한 한지의 산업적 정의가 필요하다. 전통성을 유지하되, 한지산업의 현실적 여건을 고려해 한지정의와 품질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둘째, 한지품질을 좌우하는 한지만의 특성(닥섬유 함유량, 장기보존성)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표준화해야 한다. 셋째, 한지제품 선택 시 소비자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제품표준이 시급하다. 이미 시장이 형성돼 있거나, 새롭게 개발된 한지 융복합 제품과 기술의 표준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plores standardization plans concerning industrialization of Hanjii which is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of rural community. Hanji is very useful in many ways, and its usefulness is not confined to only paper. In other words, it comes to have architectural uses, agricultural uses, clothing uses, and medical uses through fusion and convergence. However, the expansion of Hanji market dose not lead to profits for related stake holders because its standardization is not nurtured yet. For standardization, this paper argues, first, a industrial definition of Hanji is needed in which Hanji's own characteristics is involved. Besides maintaining traditional characteristics, the definition and quality standards of Hanji needs to be established by considering a given condition of Hanji industy. Second, a satisfactory method to measure Hanji's own material characteristics(i.g., mulberry paper content and long-term sustainability), which affects Hanji's quality, needs to be developed and standardized. Third, a government standard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keep consumers from being confused when they select Hanji products. The standardization of Hanji products and technology needs to be established in both case of current Hanji market and newly developed products and technology.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기술표준원. (2004). 문화산업 표준화 5개년 계획 수립을 위한 방안 연구.
  2. 김미희. (2013). 농업농촌 전통지식의 가치. 전북대학교 무형문화연구소 강의자료집.
  3. 문화체육관광부. (2013). 한눈에 보는 한지. 서울. KCDF 한국공예.디자인진흥원.
  4. 박진아, & 채승진. (2010). 한지의 물성을 활용한 제품디자인 실험. 기초조형학연구, 11(2): 111-119.
  5. 박태영. (2011). 한지사 양말의 제조와 특성 평가. 패션과 니트, 9(1), 48-56.
  6. 산림청. (2011). 임업통계연보, 40.
  7. 심재인, & 이현수. (2012). 현대한옥 실내디자인에서의 한지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자료집, 14(1), 160-163.
  8. 유동환. (2012). 전통문화산업 육성 진흥전략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연구용역보고서.
  9. 이원태. (2011). 전통문화산업 실태조사 및 종합육성계획 수립 기초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연구용역보고서.
  10. 이종원, & 임정명. (2004). 한지가 실내습도조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설비공학 논문집, 16(6), 599-607.
  11. 이종호, 조일식, 유창균, 최영희, & 오정무. (1984). 한지(창호지)의 열적 성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8(117), 63-68.
  12. 장세길, 김시백, & 변혜진. (2013). 전통문화의 산업화.세계화, 표준화가 먼저다: 전통문화산업 표준화의 의미와 필요성. 전북발전연구원 이슈브리핑 vol.110.
  13. 장세길, 김시백, & 변혜진. (2014). 지식경제 기술혁신사업 한스타일(전통문화) 표준화 개발. 산업통상자원부 기술료 사업 보고서.
  14. 전 철. (2002). 수록 한지의 초지방식과 도침이 강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목재공학, 30(2), 134-143.
  15. 전 철. (2012). 한지의 이해. 전북. 도서출판한글.
  16. 최연수. (2011). 도자공예 해외진출을 한식기 표준화 필요성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연구용역보고서.
  17. 최태호, 조남석, 최인호, & 정택상. (2001). 초지법에 따른 한지의 물성비교. 펄프.종기기술, 33(4), 21-27.
  18. 한지산업지원센터. (2013). 한지산업 생산 및 유통현황. 내부자료.

피인용 문헌

  1.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Korean Paper Hanji vol.33, pp.6, 2017, https://doi.org/10.12654/JCS.2017.33.6.05
  2. 한약과 건강기능식품의 의료담론 분석 - 농촌생산물의 소비담론을 중심으로 - vol.22, pp.4, 2014, https://doi.org/10.12653/jecd.2015.22.4.0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