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 탐색

Feasibility Exploration of Social Cooperatives as a Community Social Work Practice Model

  • 투고 : 2014.08.10
  • 심사 : 2014.09.20
  • 발행 : 2014.09.30

초록

본 연구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토대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사회적 배제와의 투쟁 전략으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복지법인이나 사회적기업과 더불어 새로운 형태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기관일 뿐인가? 사회복지부문은 협동조합의 속성에서 비롯되는 효과를 사회통합의 기제로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기존의 사회복지기관은 정부와 이용자 사이의 중간 매체로서 기능했다면, 사회적협동조합은 지역사회 안에서 다양한 이해당사자와 협동의 관계 속에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관점에서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로서 사회적협동조합의 가능성을 찾아보았다.

This study explored feasibility of social cooperatives as a strategy of struggle to social exclusion in the social services area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Is social cooperatives on the Fundamental Act on Cooperatives a new type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s comparing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s and social enterprises? Would be expected as social inclusion processes effects arising from the properties of cooperative in social welfare sector? I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unction as an intermediate medium between government and users, social cooperatives can be performed function in the community in a variety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Multiple stakeholders, e.g. various service providers, care-givers, social workers, and users, etc., conflicting the interests. In this perspective, looked the possibility of social cooperatives as community welfare practice model.

키워드

참고문헌

  1. 공정원. (2013). 사회서비스 전달체계로서 협동조합의 의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협동조합연구, 31(2), 49-66.
  2. 김신양. (2013). 협동조합을 통한 지역복지 활성화방안. 복지동향, 176, 56-61.
  3. 김용득, & 황인매. (2013). 사회(복지)서비스 주체들의 추동과 전망-이용자, 종사자, 제공기관, 정부의 지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1), 139-167.
  4. 김정섭. (2013). 농촌 지역사회의 자율성과 협동조합: 홍동면 사례 연구, 농촌사회, 23(2), 173-223.
  5. 김정섭, 마상진, & 김미복. (2012). 협동조합기본법 제정의 시사점과 농업.농촌 정책의 과제. 정책연구보고서, 9-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김정섭, & 조미형. (2013). 농어촌의 지역사회복지와 협동조합: 체계와 생활세계를 가로질러. 농어촌복지연구, 11, 1-25.
  7. 김찬호. (2011). 지속가능한 지역사회와 협동조합. 생협평론, 5, 7-19.
  8. 김형미. (2011). 협동조합운동과 복지. 생협평론, 4, 32-42.
  9. 김형미. (2013). 농촌과 협동조합운동. 2013 국립목포대학교 복지사회연구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3-13.
  10. 김형용. (2013). 지역사회기반 서비스와 사회복지관-사회서비스 공급체계에 대한 비판과 대안 찾기-.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5(1), 169-195.
  11. 박태영. (2012).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639-668.
  12. 오세웅. (2013). 일본의 사회복지법인에 의한 사회공헌사업과 지역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4, 247-273.
  13. 이상무, 장종익, 정관영, & 양희택. (2013). 사회복지서비스기관들의 협동조합으로 의 전환가능성에 대해 조사, 한국협동조합연구, 31(1), 10-127.
  14. 이철선. (2013). 고용복지 대안수단으로서 사회적 협동조합의 가능성 진단. 보건복지포럼, 2013. 3, 65-79.
  15. 이혜경. (2009). 복지국가의 재편과 사회적 기업: 한국의 선택. 2009년도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 및 WORKSHOP 자료집, 3-24.
  16. 전형수. (2012). 협동조합기본법에서 본 사회적협동조합의 문제점. 한국협동조합연구, 30(1), 61-78.
  17. 조미형. (2011). 제도적 환경변화에 대한 사회복지관의 인식과 대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1), 103-132.
  18. 채종헌, & 최준규. (2012).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경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14(3), 195-225.
  19. 황의식. (2013). 협동조합의 기본 이해. KREI협동조합연구회 세미나(2013.2.26.). (미간행물)
  20. 장종익. (2013). 협동조합(운동)의 이론과 실제. KREI협동조합연구회 세미나 (2013.4.22.). (미간행물)
  21. 히라노 타카유키. (2012). 일본의 지역복지 정책 및 방법. 김영종.박유미 역, 서울:학지사.(original work published 2008)
  22. Alerlof. G. (1970). The market for Lemons: Quality uncertainty and the market mechanism.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84, 488-500. https://doi.org/10.2307/1879431
  23. Fulton, M., & Ketilson, L. (1992). The Role of Cooperatives in Communities: Examples from Saskatchwon. Journal of Agricultural Cooperation, 7, 15-42.
  24. Reimer, B. (2004). Social exclusion in a comparative context. Sociologia Ruralis, 44(1), 76-94. https://doi.org/10.1111/j.1467-9523.2004.00263.x
  25. Zeuli, K., & Radel, J. (2005). Cooperatives as a Community Development Strategy: Linking Theory and Practice. The Journal of Regional Analysis and Policy, 35(1), 43-54.
  26. 기획재정부 협동조합홈페이지 http://www.cooperatives.go.kr/e_condition.html (2014.1.9. 조회)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Plan for Transforming Social Service Agencies into Social Economy vol.43, pp.3, 2014, https://doi.org/10.15855/swp.2016.43.3.213